Lessons from Abenomics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Lessons from Abenomics

The underpinning of the Abenomics is the weaker yen. Japan endeavored to revive its lackluster economy and stagnant consumption by lowering the yen’s value through the fiscal stimuli called quantitative easing followed by a restructuring of the economy in order to put an end to Japan’s “lost 20 years.”

To achieve the goal, Prime Minister Shinzo Abe appointed Haruhiko Kuroda — former president of the Asian Development Bank and an ardent advocate of looser monetary policy — as the governor of the Bank of Japan. As the leader of the monetary blitzkrieg, Kuroda did his best to help the Abenomics work a miracle through limitlessly pumping money into the economy.

In February, the central bank governor introduced negative interest rates for the first time in Japan’s history. That translates into a determination to arbitrarily lower the yen’s value through the QE as a last resort. But the yen’s exchange rate didn’t move as Kuroda expected. The yen’s value against the U.S. dollar soared to 107 yen per dollar Monday from the 120 yen per dollar. The yen rose to the highest point in the past 18 months after the currency has emerged as a relatively safe asset amid the world’s deepening concerns about the global economy. Major global financial institutions forecast that the yen will get stronger to the level of 100 yen against the dollar.

If the weaker yen comes to an end, the Abenomics will most likely fail because it means the collapse of a virtuous cycle from a weaker yen to revitalization of export to increased revenues for companies to more investment to wage increases and finally to more consumption. Since the start of the Abenomics in 2012, the yen plunged by a whopping 38 percent point in mid-2015.

But the recent steep rise of the yen says a totally different story as it shows that all the government’s effort to rejuvenate the lethargic economy through fiscal expansion alone only helps the economy to rebound “temporarily” unless it is accompanied by a relentless restructuring campaign.

We must learn lessons from Abenomics. The ruling Saenuri Party has come up with a Korean equivalent of quantitative easing as a campaign platform for the April 13 general election. Despite the party’s vow to confine the scope of QE to restructuring, it is nevertheless increasing money supply to the market. If our government delays the pivotal restructuring process, it leads to nowhere — except mounting national debt and more favors for insolvent enterprises. Our government must expedite the restructuring of our economy if it really does not want to follow in Japan’s footsteps.

JoongAng Ilbo, Apr. 12, Page 30


엔저는 아베노믹스의 핵심이다. 돈을 풀어 엔화 가치를 떨어뜨려야 수출 기업이 살고 소비가 늘어날 수 있다. 그런 다음 구조개혁을 통해 경제 체질을 바꾸고 잃어버린 20년을 정리하겠다는 게 아베노믹스의 구상이었다. 엔저를 위해 아베 총리는 중앙은행 총재도 자기 사람으로 바꿨다. '돌격대장'으로 불리는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다. 구로다는 무제한 돈 풀기로 아베노믹스를 지원했다.
지난 2월엔 사상 처음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했다. 극약 처방을 통해서라도 돈을 풀어 인위적 '엔저'를 만들어내겠다는 의지였다. 하지만 환율은 아베나 구로다의 마음대로 되지 않았다. 달러당 120엔대이던 엔화 가치는 올 들어 가파르게 올라 어제는 107엔으로 18개월 만에 최고를 기록했다. 미국의 금리 인상이 미뤄지고 세계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엔화가 안전자산으로 떠올랐기 때문이다. 주요 글로벌 금융사들은 연내 100엔 선이 깨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엔저가 사라지면 아베노믹스도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 엔저→수출 활성화→기업 실적 개선→투자 활성화→임금 상승→소비 활성화의 선순환 구조가 뿌리부터 무너지기 때문이다. 2012년 아베노믹스의 시작으로 지난해 중반 엔화 값은 3년 새 38%나 추락했다. 일본 기업들의 이익이 늘면서 닛케이지수는 같은 기간 9000에서 2만 선을 돌파했다. 하지만 가파른 엔고는 이 모든 것들을 원점으로 돌리고 있다. 구조개혁은 소홀히 하면서 돈을 풀어 경기를 띄운 결과는 결국 '반짝 효과'였다는 사실을 아베노믹스가 온몸으로 웅변하고 있는 셈이다.
우리에겐 반면교사다. 새누리당은 총선 공약으로 '한국판 양적완화'를 내놨다. 일본의 양적완화와 달리 구조조정 자금용으로 한정한다고는 하나 돈 풀기는 돈 풀기다. 언제는 돈이 없어 구조조정이 안 됐나. 돈만 풀고 구조개혁을 미루면 결과는 뻔하다. 나라 빚만 늘리고 부실 기업주 좋은 일만 시키게 될 것이다. 구조개혁을 미루다 밑 빠진 독에 물붓기한 일본 꼴이 나지 않도록 구조조정의 고삐를 더 단단히 조여야 할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