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llenges from the election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Challenges from the election

The April 13 general election is over, leaving tricky challenges for the country and its people. No other election could have better avoided discussions of the unprecedented challenges facing the country. They pose a heavy burden on the people who sent a clear message through their votes that things must change. So what are the imperative issues and challenges that concerned the people — and which our politicians shamefully ignored during the last election campaign?

First is the direction of inter-Korean relations, which are on the brink of what a foreign minister of a neighboring country referred to as a flash-point. Yet we heard nothing from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y candidates about North Korea and inter-Korean ties throughout the campaign. Does that mean they are content with the current status quo and strategy, or think discussions and the public consensus on North Korea are enough?

Second, a majority of the public and the media are in agreement that Korea’s politics and governance system have reached a limit in their efficiency. Most believe the 1987 constitutional system that established a five-year, single-term presidency is no longer viable for the country’s future. But again, this urgent issue went ignored in the latest campaign.

Third, inequalities across Korean society as a result of rapid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re deepening and broadening more than ever. The 2012 presidential election served as a platform for both the ruling and opposition parties to turn attention to imbalances in the economy. Despite much hype, however, progress has been slow toward fixing it. Yet the most recent election failed to provide a persuasive solution for balancing economic growth and social welfare. It has become imperative for the three-party system in the 20th National Assembly, born in the latest election, to carve out some kind of a solution to the problem. It must answer the public’s demand for change and a breakthrough in the conundrum.

To design a long-term national strategy on inter-Korean relations based on a public consensus, Germany’s successful coalition government could be benchmarked. Germany achieved unification through political solidarity from a grand coalition among the Christian Democratic Union (CDU), Social Democratic Party (SPD) and Free Democratic Party (FDP). Unification was led by CDU Chancellor Helmut Kohl, but could not have happened without help from SPD Chancellor Willy Brandt and Foreign Minister and Vice Chancellor Hans-Dietrich Genscher of the FDP. Each of the three major parties of the 20th National Assembly in Korea need to field two to three representatives in a policy consultation group and establish a tradition of working closely with the president and government in mapping out a policy toward unification.

The 1987 constitutional reform was a turning point in the country’s democratization by institutionalizing a single-term presidency and direct election to preclude the possibility of another dictatorship. But it has outlived its purpose and instead undermined the efficacy of representative democracy. By next year, the constitution will be 30 years old, producing six presidents. Constitutional rewriting should not be further delayed.

The 20th Assembly will be a legislature serving in an emergency rather than normal times. It must form a special committee on constitutional reform as soon as it begins its term. Studies have already been made. They should hold hearings to gauge public opinion and take steps toward amendments. The leadership for these reforms to advance Korean democracy should come from the president. The president could share with the people the rewards of achieving historical reforms for the country, along with economic progress.

The work of fixing inequalities and imbalances in the economy is only possible by using the efforts and wisdom of all the people. Religious leaders worried about dehumanization and ill effects from industrialization in the 1960s and 1970s. What was lacking was not will but wisdom — especially from politicians and intellectuals. The people are eagerly waiting for a clear outline and feasible action plan for a new growth model in balance with broader social security. Leaders must provide the wisdom to muster the will of the people.


총선은 끝났으나 나라와 국민은 정말 어려운 숙제를 떠안게 되었다. 이번처럼 힘든 과제에 대한 논의를 완벽하게 피해간 선거는 없었던 것 같다. 오직 이대로는 안 되겠다는, 판을 바꿔야겠다는 민심이 폭넓게 작동하다보니 결국 나라와 국민에게 남겨진 것은 결코 쉽지 않은 숙제들뿐이다. 이렇듯 국민들의 관심과 선거이슈의 논의에서 외면된 대한민국의 중요한 당면과제는 무엇일까.

첫째, 전쟁과 평화의 기로에 다시 선 듯싶은 일촉즉발의 남북관계를 어떤 방향으로 처리해 나갈 것인가. 한반도에선 화약냄새가 나는 것 같다는 이웃나라 외교부장의 심상치 않은 언급을 들으면서도 당사자인 한국의 선거과정에서는 여야를 불문하고 이렇다 할 논의가 전혀 없었다. 이 문제의 대처방안과 전략에 관하여는 이미 충분한 논의와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졌다는 것인가?

둘째, 대다수 국민과 언론은 한국정치와 국정운영체제의 효율성이 한계에 부딪쳤다는 결론으로 모아진지 이미 오래다. 모두가 87년체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없다는데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어떻게 개혁할 것인지에 대한 대안제시가 이번 선거에서는 전혀 없었다.
셋째, 한국사회와 경제의 근대화과정이 수반한 불평등과 양극화의 문제는 그 심각성이 점차 한계점에 도달해 가고 있다. 2012년 대통령선거에서 여야가 공히 경제민주화란 큰 목표를 내세웠던 것은 시의적절 하였다. 그러나 그 이후 이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진전이 지지부진하다보니 국민들의 불만은 쌓여만 가는데 이번 선거에서도 어떻게 성장과 복지를 동시에 이루어갈 것인가에 대한 설득력 있는 전략을 제시한 예는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이번 총선의 결과로 출범하는 20대 국회의 3당체제는 바로 이 세 가지 중요과제에 대한 적극적 대처방법과 방향을 마련하는 것이 현 비상시국의 선결요건으로 부상하였다. 그것이 곧 판을 바꾸면 숨통이 트일 것이라는 민심의 막연한 바람을 구체화하는 첫걸음이 될 수도 있겠다.

첫째로 국민적 합의의 기반 위에서 남북관계에 대처하는 국가전략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3당 연립정권의 성공사례로 꼽히는 독일의 경우를 참고할 수 있다. 독일통일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1980년대 및 90년대의 독일정치는 기민당(CDU), 사민당(SPD), 자민당(SDP)의 공고한 정책협조와 연립정권운영으로 이루어졌다. 1990년의 통일은 기민당의 콜총리 때에 이루어졌지만 사민당의 브란트총리나 자민당의 겐셔외상 등의 공헌이 만든 합작품임을 잊을 수 없다. 우리도 20대국회에선 각 당이 국가적 차원에서 통일정책수립에 참여할 2~3인을 추천하여 정책협의그룹을 구성하고 정부, 특히 대통령과 긴밀한 공동작업을 추진하는 새로운 관행을 만들어 갈 필요가 있다.

둘째로는 장기집권과 독재정권의 폐해방지를 목표로 대통령단임제와 직선제를 핵심으로 한 1987년의 개헌은 민주화로의 성공적인 전환에 기여하였으나 대의민주주의와 국가운영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데는 심각한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는 국민적 판단에 부딪치고 있다. 내년이면 여섯 대통령, 30년에 걸친 실험이 끝나게 되는데 더 이상 제도개혁을 지체하지 말고 개헌작업에 들어가야 되겠다.

20대국회는 통상국회보다 비상국회의 성격이 짙을 수밖에 없다. 개원 즉시 헌법특위를 구성하여 지난 18대국회에서 준비했던 상당한 수준의 보고서를 기초로 하여 공청회 등을 통한 국민들의 의견수렴을 거쳐 개헌절차를 밟아나가야 할 것이다. 한국민주정치가 보다 능률적이고 생산적인 방향으로 약진하는 개혁의 리더십은 누구보다도 대통령이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경제화와 민주화에 이어 명실공이 선진화를 다짐하는 개혁이란 역사적 업적을 국민들과 함께 성취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불평등과 불공정의 늪에서 벗어나려는 경제민주화로 다가가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은 전 국민의 꿈과 땀과 지혜가 함께 어우러졌을 때만 가능한 것이다. 이미 1960-70년대 산업화과정의 초기에 강원용목사, 김수환추기경, 법정스님 등 많은 선각자들은 우리사회의 양극화를 걱정하고 인간화를 강조하였다. 그동안 우리에게 현저한 부족함이 있었다면 그것은 꿈이나 땀보다도 지혜가, 특히 정치인과 지식인들의 지혜가 모자라지는 않았는지 반성하게 된다. 복지와 성장을 동시에 이룩하는 발전과정에 대한 구체적 설계도와, 실현가능한 정강정책을 국민들은 목마르게 기다리고 있다. 부지런히 지혜를 모아 전 국민의 땀으로 꿈을 이루어가야겠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