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xing local festival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Fixing local festivals

Fancy local festivals turned out to have dark sides. After pouring in pork-barrel budgets, most festivals resulted in deficits. The aging population increased welfare demands, and the populism of elected officials led to excessive local festivals.

The Ministry of the Interior’s Local Government Finances 365 (lofin.moi.go.kr) revealed the conditions on May 1. According to the website, 361 local festivals that cost more than 300 million won ($260,000) were held in 2014, and only one that did not lose money was the Hwacheon Sancheoneo Ice Festival in Gangwon.

The taxpayers ended up with the expensive bills. A 29-year-old Chuncheon resident said, “I am angry that taxpayers’ valuable money was wasted on these meaningless and boring events.”

Of course, there are positive aspects to local festivals as they can vitalize local economies by attracting tourists. However, local governments in charge of community finance are organizing festivals and events without thorough preparation. Financial situations of local governments are not very good. Among the 226 local autonomous governments, 75 of them could not afford to pay the civil servants’ payroll costs with their own earnings.

The Ministry of Security and Public Administration wants to revise the Basic Act on Local Tax so that the local corporate tax collected in wealthier cities and counties can be redistributed to struggling cities and counties. And it led to discord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t this juncture, criticism is increasing as some festivals and events incurred major deficits — as much as 11 billion won.

Yoo Seong-cheol, secretary general of the Gangwon Civil Groups Association, said that festivals and events that are essential to the community due to historic and public value should be maintained even when they result in a loss, but an evaluation committee of cultural experts and artists needs to be formed to make sure an event is worth investing in.

Experts say that other local governments should learn from the example of Hwacheon County, Gangwon, the only event that was in the black. Hwacheon, whose population is only 27,000, had a gain of 52 million won from the Sancheoneo Festival. The festival started with 220,000 visitors when it first began in 2003, and last year it had a record number of 1.54 million visitors. Hwacheon County encouraged participation of the local people and led aggressive facility investment and marketing campaigns.

Lee Sun-chul, an adjunct professor at Sookmyung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and Industry, underscored that local governments must study hard to create added values to the region and abolish and merge redundant festivals.

Before it’s too late, we must rearrange meaningless festivals and events that only waste taxpayers’ money.

JoongAng Ilbo, May 4, Page 33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PARK JIN-HO


화려한 지역 축제의 어두운 이면이 고스란히 드러났다. 선심성 예산을 펑펑 쏟아붓고도 적자투성이였다. 고령화로 갈수록 복지 수요가 늘고 있는데다 선출직들의 포퓰리즘까지 기승을 부리면서 외화내빈의 지역 축제가 과도하게 난립하고 있다.
이런 실태는 행정자치부가 1일부터 공개한 지방재정통합공개시스템인 '지방재정365(lofin.moi.go.kr)’를 통해 드러났다. 이에 따르면 2014년 전국에서 열린 361건의 축제·행사(비용 3억원 이상) 중 흑자를 낸 것이 강원도 화천군의 ‘얼음나라 화천 산천어축제’가 유일했다.<본지 5월3일자 14면>
세금을 내는 시민들로서는 뒤늦게 비싼 고지서를 받아든 셈이 됐다. 춘천에 거주하는 이모(29·여)씨는 “재미도 없고, 의미도 없는 행사에 시민 혈세가 줄줄이 새고 있었다는 사실에 화가 난다"고 말했다.
물론 관광객 유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지역 축제의 긍정적 측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공동체의 살림을 책임지는 지자체들이 방만하게 축제 등 이벤트에 몰두하는 것은 문제다. 요즘 가뜩이나 지방재정 상황이 좋지 않다.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 중에서 올해 자체수입으로 공무원 인건비조차 해결하지 못하는 자치단체가 75개나 된다.
급기야 행자부는 지방세기본법을 개정해 부자 시·군이 거둔 법인지방소득세를 가난한 시·군에 재분배해 세수 격차를 줄여보겠다고 할 정도다. 이 때문에 중앙과 지방의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이런 판국에 많게는 110억원의 적자를 본 축제와 행사가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자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강원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 유성철 사무처장은 “역사적 가치와 공공성 등 지역에 꼭 필요한 축제·행사라면 흑자를 못 내더라도 유지해야겠지만 문화예술인 등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위원회를 만들어 예산을 투입할 가치가 있는지 꼼꼼하게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유일하게 흑자를 낸 강원도 화천군 사례를 모범으로 삼아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인구가 2만7000여 명에 불과한 화천군은 산천어 축제로 5200만원의 흑자를 봤다. 2003년에 시작된 산천어 축제는 첫 해 관광객이 22만 명이었지만 지난해 역대 최고 기록(154만 명)을 세웠다.주민참여를 적극 이끌어내고 시설투자와 공격적인 마케팅을 추진한 결과다.
숙명여대 정책산업대학원 이선철(50) 겸임교수는 “지역에 부가가치를 창출할 방안을 치열하게 고민해야 한다"면서 "중복되는 축제는 과감히 통폐합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 늦기 전에 세금만 축내는 선심성·전시성 축제와 행사를 이제 손봐야 할 때다.
박진호 사회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