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oneering spirit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Pioneering spirit

In July, “Pi-Ville” is coming to Korea University’s Seoul campus. Named after the first syllable of “Pioneer,” the warehouse-style space is a start-up laboratory. Yonsei University has already opened the “Design Garage,” equipped with four 3-D printers that allow students to make prototypes. The 3-D printer workshops are always full.

The “garage start-up” boom at universities is to produce Korea’s Steve Jobs. In 1976, the 21-year-old Jobs started his venture in his parents’ garage in California, and his success has become an inspiration for many young entrepreneurs.

It is a desirable change. The opportunities to experience and create things are rare in Korea. These days, children grow up attending after-school classes or playing with smartphones. They are used to learning with their eyes, not their hands. It is not easy to come up with the technology, ideas and challenges that create money and jobs.

In this culture, asking them to display entrepreneurship is not going to work. Nothing can be accomplished overnight. The United States is leading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a corps of entrepreneurs based on time spent becoming close to technology through personal involvement and experience. Following the American model, China created the Zhongguancun garage cluster in Beijing and other start-up districts, producing 10,000 ventures daily.

And what about Korea? The Korea Automobile Manufacturers Association president and a former Korea Institute for Advancement of Technology director, Kim Yong-geun, said, “Technology class in middle and high school is not an independent subject but is linked with ‘home economics,’ and many of the teachers did not major in the specialty.”

The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nounced a plan to have the STEM curriculum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be continued to college education. However, it won’t be easy when education is so focused on college admissions.

The government’s new growth engine promotion, an inter-ministerial initiative, is not much different. It offers tax benefits to 10 key industries, the Internet of Things and smart cars. However, it is only a halfhearted plan. There is no vision for technology education and training, which are inseparable from the new industries.

In the end, we need an action plan encompassing education, society, industry and culture for real change. The Blue House should be ready to create garage offices. Instead of bureaucratic policy makers, they need to meet with field experts and interested parties and change the paradigm of technology education. Just in time, the architects of the creative economy initiative have been appointed as Blue House secretaries. They should be reminded of the lessons of warehouses and garages.

Jobs told his employees that “it’s better to be a pirate than join the navy.” Field experts with a pioneering spirit are the best weapons. We cannot let our children’s generation be the victims of pirates.

JoongAng Ilbo, May 18, Page 30


*The author is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KIM JUN-SUL


오는 7월 고려대 서울 캠퍼스엔 ‘π-Ville(파이빌)’이란 이색 공간이 들어선다. ‘개척자’란 뜻의 영단어(Pioneer) 발음에서 따온 ‘창업 실험실’이다. 컨테이너를 쌓아 올려 ‘창고ㆍ차고’ 같은 분위기를 낸다. 연세대도 최근 경영관에 ‘디자인 개러지(Garageㆍ차고)’를 설치했다. 창업 필수품인 ‘3차원(3D) 프린터’ 4대를 갖춰 학생들이 맘껏 시제품을 만들 수 있다. 프린터 사용법을 교육할 때마다 정원이 가득 찬다.
대학의 ‘차고형 교육’ 바람은 제2의 스티브 잡스를 배출하겠다는 시도다. 잡스는 1976년 21세에 캘리포니아 로스알토스의 부모 차고를 빌려 창업에 성공해 젊은이들의 자극제가 됐다.
환영할만한 변화다. ‘손’으로 직접 만들고 체험하는 교육과 경험의 장(場)이 대한민국에선 절대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금 우리 아이들은 학원의 칠판 강의에 치중하거나 틈나면 스마트폰을 쥐고 산다. ‘눈’으로 배우고 익히는데만 익숙해진다. ‘돈’ 되고 일자리를 만드는 기술ㆍ아이디어ㆍ도전은 나오기 힘들다.
풍토가 이러니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라”고 다그쳐도 말짱 도루묵이다. 뭐든 갑자기 되는 일은 없다. 미국이 창업가 군단을 앞세워 ‘제4의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비결도 마찬가지다. 직접 만들고 체험하면서 기술과 친해지는 ‘축적의 시간’이 뒤에 있었다. 중국도 이를 본떠 베이징 중관촌의 ‘처쿠(車庫ㆍ차고) 카페’를 비롯한 수많은 창업 공간을 통해 하루 1만개 벤처를 배출하고 있다.
우리는 어떤가. 산업기술진흥원장을 지낸 김용근 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의 지적은 씁쓸하다. 그는 “중고교 ‘기술’은 독립 과목도 아닌 ‘가정’과 묶여 있고, 전공자가 아닌 교사도 많다”고 말했다.
그나마 미래창조과학부ㆍ고용부 등이 올 초 초중등 이공계 수업이 향후 대학 교육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는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강고한 ‘입시 교육’앞에서 쉽진 않을 것 같다. 학부모 인식도 함께 바뀌어야 성공한다.
정부가 ‘관계부처 합동’이란 이름으로 최근 내놓은 ‘신성장 동력 육성책’도 마찬가지다. 사물인터넷(IoT)ㆍ스마트카 같은 10대 산업의 세금을 깎아준다는 게 뼈대다. 하지만 역시 ‘반쪽 짜리’ 같다. 신산업과 뗄 수 없는 ‘기술 교육’ 생태계 조성과 인력 양성의 청사진은 보이지 않는다.
결국 변화를 위해선 ‘교육ㆍ사회ㆍ산업ㆍ문화’ 전반을 아우르는 액션 플랜이 필요하다. 그러자면 제대로 된 ‘콘트롤 타워’가 절실하다. 청와대부터 ‘차고형 사무실’을 만들겠다는 각오를 보여야 한다. 책상머리 정책 대신 현장 전문가들과 이해관계자들을 만나고 설득해 ‘기술 교육’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마침 현 정부의 ‘창조 경제’ 밑그림을 그린 인사들이 청와대 수석으로 새롭게 진용을 짰다. 이 분들이 ‘창고ㆍ차고’의 교훈을 다시 새겼으면 한다. 잡스는 평소 직원들에게 ‘해군이 아닌 해적이 돼라(Pirates! Not the Navy!)’고 주문했다. 도전적인 현장형 인재가 무기라는 얘기였다. 우리 아이들 세대가 ‘해적의 제물’이 되도록 이대로 놔둘 참인가.

김준술 경제부문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