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sons from history
Published: 02 Jun. 2016, 17:58
I wanted to talk to 84-year-old Peng Qian as I prepared for the special feature on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I had hoped to visit the Cultural Revolution Museum he had founded and discuss the legacy of the revolution on today’s China and Chinese people. Upon retiring from his service as a deputy mayor of Shantou, Guangdong Province, Peng discovered some 70 untended graves on Tashan Mountain, a local tourist attraction, in 2003. They were the graves of the victims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madness of the Cultural Revolution had hit even Shantou, one of the most remote regions in China.
Peng himself was also a victim of the Cultural Revolution. When he was the deputy secretary of the province, he was branded as a follower of capitalism and suffered countless criticism sessions. He had a sense of indebtedness as a survivor, and he used his own assets and donations to build the only Cultural Revolution Museum in China. Along with the exhibitions on the tragedy, he has also erected a memorial monument and tombstones and held memorial services every year.
But due to his health, he recently transferred operation and management to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museum lost its original significance. The walls have coverings, and the monument and the entrance are covered with posters promoting “Chinese Dream” and “Key Values of Socialism.” The museum that had been in operation without much trouble for over 10 years has been shut down in the 50th anniversary of the Cultural Revolution.
The People’s Daily ran one editorial claiming that the Cultural Revolution is settled in the 1980s and remains silent. It was practically an order not to discuss the past that has already been finalized by the official resolution of the Communist Party. It also proves that the Communist Party still finds the Cultural Revolution uncomfortable after a half century. And the discomfort tells us that the history has not been settled. Research on the Cultural Revolution is still a taboo.
It is human instinct unwilling to remember the painful past. But some memories cannot be forgotten no matter how hard you try. The Cultural Revolution is such trauma for the Communist Party. Also, it is a collective memory that can never be forgotten. The only way to reduce the pain is to remember the painful past and never to repeat such catastrophe. History records not just the memories of glory but the memories of regrets.
While Peng was reluctant to answer my questions, he made his point when I asked why he established the museum. “I want to contribute to the efforts to learn from the history and not to repeat the tragedy.” In fact, “learning lessons from history” is a phrase Chinese leaders like to use.
JoongAng Ilbo, May 31, Page 30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YEH YOUNG-JUNE
“이제 나는 더 이상 박물관 운영에 관여하지 않습니다. 꽤 오랫동안 발걸음을 하지 않아 현재 상황을 잘 모릅니다. 그러니 더 이상 묻지 마세요.” 청력이 떨어지는 팔순 노인과 전화로 대화를 이어나가기란 처음부터 쉬운 일이 아니었다. “찾아가면 만나 주시겠습니까”라고 묻자 "거동하는 것도 쉽지 않습니다”며 완곡하게 인터뷰를 사양했다. 결국 취재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펑치안(彭啓安·84) 노인을 만나고자 한 건 문화대혁명 50주년 기획기사를 준비하면서였다. 그가 세운 문혁박물관을 관람하고 문혁이 오늘의 중국과 중국인들에게 남긴 유산에 대해 얘기해 보고 싶었기 때문이다. 광둥성 산터우(汕頭)시에서 부시장을 지내고 물러난 펑 노인은 2003년 어느날 지역 관광지인 타산(塔山) 기슭에 제대로 관리되지 않은 봉분 70여기가 흩어져 있는 걸 발견했다. 문혁 희생자들의 무덤이었다. 중국에서 가장 외딴 지방인 산터우까지 문혁의 광풍이 불어닥쳤던 것이다. 그 자신 문혁의 피해자기이도 했다. 현 부서기였던 그는 주자파(走資派·자본주의 추종자)로 몰려 셀 수 없이 '비판투쟁'장에 불려나가 조리돌림을 당했다. 사재를 털고 지인들로부터 성금을 모아 중국 유일의 문혁박물관을 짓기까지 마음 한켠엔 살아남은 자의 부채(負債)의식이 있었다. 그는 당시의 비극을 되새겨주는 자료 전시관과 함께 위령탑과 비석을 세우고 해마다 제사를 지내왔다. 그런데 최근 건강 때문에 운영·관리를 지방 정부로 넘긴 사이 박물관은 제모습을 잃고 말았다. 박물관 외벽에는 차단막이 처졌고 입구의 패루와 위령비는 '중국의 꿈(中國夢)'과 '사회주의 핵심가치관'을 선전하는 포스터로 가려졌다. 10여년간 아무 탈없이 운영되던 박물관을 폐쇄하는 '자폐현상'이 문혁 50주년에 일어난 현실이다. 인민일보는 "문혁 청산은 1980년대에 이미 끝났다"는 요지의 논평을 한차례 싣고는 내내 침묵했다. 공산당의 공식 결의문에 의해 평가가 확정된 과거사를 더 이상 들춰내지 말라는 다그침이나 다름 없었다. 그만큼 반세기가 지난 지금도 공산당은 문혁에 불편해 한다는 방증이다. 그 불편함이야말로 역사 청산이 온전하지 않았음을 말해준다. 지금도 문혁 연구는 금기다. 아픈 기억을 되살리고 싶지 않은 건 사람의 본능이다. 하지만 아무리 잊으려해도 잊혀지지 않는 기억들이 있는 법이다. 문화대혁명이란 중국 공산당에게 바로 그런 존재다. 더구나 그건 영원히 망각될 수 없는 집단의 기억이다. 아픈 기억을 되새겨서 같은 아픔을 반복하지 않도록 하는 게 그나마 고통을 줄이는 길이다. 영광의 기억뿐 아니라 통한의 기억까지 역사에 기록하는 이유다. 펑 노인은 전화 질문의 대부분에 답변을 회피했지만 박물관을 세운 까닭을 묻는 질문만큼은 분명하게 답했다. "역사를 거울로 삼아 불행을 되풀이하지 않도록 하는 데 보탬이 되고자 했습니다." ‘이사위감(以史爲鑑)’. 그 어느 누구보다 중국 지도자들이 자주 쓰는 말이다. 예영준 베이징 총국장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