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no complaint to China?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Why no complaint to China?

I thought it only happened in other countries: people make a big deal when nice weather comes and take time to enjoy the sunshine. But it is happening to Koreans now, thanks to fine dust.

There were only four days in April when the fine-dust density in Seoul was below the Ministry of Environment standards. There was not a single day when it was below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recommendation. So it is not strange that people wait for a day without fine dust. No one can blame people for only engaging in outdoor activities on certain days.

At first, I thought we might be overly sensitive. As we became well off, we became sensitive to air quality. The fine-dust level in Seoul is clearly lower today than in the early 2000s.

But the air quality has not improved since 2013, and the actual air quality that people feel has worsened because of the dust. In 2012, there was only one day with high levels of dust.

But last year, the frequency went up to 15 days. Even when yellow dust, mostly dry soil particles, occurs, fine dust and pollutants may be low. But no one can distinguish invisible fine dust and obviously visible yellow dust. So it is only natural that people complain about air quality.

I thought Seoul would be the worst, but that wasn’t the case. The fine-dust level on Baekryeong Island in the West Sea was similar to the level in the Seosomun area near Seoul City Hall. The top of Mount Gwanak was not much different from downtown Seoul.

The Ministry of Environment explains that when there is little wind and the air is not circulated, domestic factors matter more. When the westerlies blow, foreign factors become more significant. In other words, while foreign factors make up 30 to 50 percent, it could easily increase to 60 to 80 percent when the pollution level goes up.

We need to start with what can be done. Domestic measures should be the priority, but it is hard to understand that plans for external factors are nowhere to be found. We cannot blame China entirely, and naming domestic factors as solely responsible is also misleading. But we can hardly ignore the accomplice that is responsible for at least 30 percent and as much as 80 percent.

Government measures do mention plans for foreign factors, such as environmental ministerial meetings, cooperation on air quality monitoring and expansion of joint research. But they are already in place. No reinforcement or new plans for the aggravating fine-dust situation are included.

Korea can rightfully protest. The United States already growls at China over the tariff on chicken feet. Is the fine dust that affects our daily routines and threatens our health not as significant as chicken feet?

Environmental groups’ responses are not satisfactory either. They should protest against China as much as they yell at thermal power generation.
If the government cannot protest or make demands because we are not powerful enough, it is a sad thing. If there is not sufficient evidence to prove the effect, it is pathetic. If the government tries to avoid diplomatic friction, it means the government doesn’t take people’s lives seriously. Is Korea unable to complain to China at all now?

JoongAng Ilbo, June 9, Page 30


*The author is head of the digital team at the JoongAng Ilbo.

KIM YOUNG-HOON


딴 나라 얘기라고 생각했다. 날씨 좋은 날은 사람 표정이 달라지고, 시간을 내서라도 볕을 쬐는 것 말이다. 그런데 어느새 우리도 이러고 있다. 미세먼지 때문이다. 4월 한 달간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가 환경부 기준치 이하인 날은 나흘뿐이었다. 세계보건기구 권고치 이하였던 날은 단 하루도 없다. 그러니 먼지 없는 날을 기다리는 게 이상할 이유가 없다. 야외 활동을 몰아서 한다고 핀잔줄 수도 없다.
혹시 과민한 것 아닌가라고 생각했다. 살만 하니 공기 질도 챙기게 된 것 아닌가 하고 말이다.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2000년대 초반보다 분명 낮아졌다. 그런데 대기 질 개선은 2013년부터 주춤하고 있다. 체감하는 공기 질은 더 나빠졌다. 황사 때문이다. 2012년 황사가 온 날은 하루였다. 지난해에는 15일이나 됐다. 흙바람인 황사가 심해도 오염물질인 미세먼지는 적을 수 있다. 그러나 보이지 않는 먼지와 보이는 황사를 구분할 재주는 누구도 없다. ‘공기가 더 나빠졌어’라고 불평하는 건 정당하다.
당연히 서울이 제일 심할 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그렇지 않다. 서해 백령도의 미세먼지 농도는 서울 시청 주변 서소문과 비슷하다. 관악산 정상과 서울 도심의 농도 차이도 크지 않다. 환경부의 설명도 크게 다르지 않다. 바람 없이 공기가 갇혀있으면 국내 영향이 커진다고 한다. 그러니까 편서풍이 불면 국외 영향이 더 커진다는 얘기다. 환경부의 종합 정리는 이렇다. “국외 영향이 30~50%라고 분석되나 고농도일 때는 60~80%에 육박합니다.”
할 수 있는 것부터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순서상 국내 대책이 1번이어야 한다. 그렇다고 국외 대책이 코빼기도 보이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모두 중국 탓’은 핑계고, ‘모두 내 탓’은 오도다. 심할 때는 80%, 적어도 30%에 해당하는 책임이 있는 공범을 그냥 둘 순 없는 것 아닌가. 정부 대책에 국외 대책에 대한 언급이 없지는 않다. 환경장관회의, 대기질 모니터링 협력, 비상채널 구축, 공동 연구 확대 등이다. 이미 해오던 것들이다. 극심해진 미세먼지 고통에 따라 강화하거나 새로 하겠다는 건 잘 보이지 않는다.
꾸준히 제대로 하는 게 매번 새로 하는 것보다 낫다고 생각한다. 그래도 항의는 해야할 것 아닌가. 미국은 중국이 닭발에 붙인 관세를 놓고도 으르렁 된다. 일상적 삶을 바꿔놓은 미세먼지가, 건강을 위협하는 오염물질이 닭발보다도 하찮은가. 환경단체의 태도도 아쉽다. 화력 발전을 향한 고함처럼 중국에 대해서도 아우성쳐야 한다. 항의도, 요구도 못 하는 정부 태도가 우리가 소국이어서 그렇다면 서글프다. 제대로 따질 만큼 실증 연구가 안 돼 있어서라면 한심하며, 소탐대실이라는 외교적 판단 때문이라면 국민 일상의 무게를 너무 가볍게 여기는 것 아닌가 싶어 아쉽다. 이제 우리는 중국에 항의도 못 하는 처지인가.

김영훈 디지털제작실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