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acing for a Brexit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racing for a Brexit

With the chance of Brexit looming,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s are fluctuating sharply. The index of Tokyo Stock Exchange has tumbled below 15,000 and the Chinese yuan neared its lowest level since 2011. London Stock Exchange saw a whopping 160 trillion won worth of shares vanish in just four days. As global hot money chases risk-free assets, the Japanese yen skyrocketed and interest rates of government bonds in Germany, Switzerland and the United States fell below zero. The fluctuations originate with the fear for the UK’s departure from the European Union, as suggested by a poll for The Times which gave Brexit a seven-point lead. We can hardly rule out a possibility of a global tsunami hitt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Market jitters primarily stem from huge economic repercussions of Brexit. If it happens, the eurozone could exacerbate the global recession and trigger a political and social unrest in Europe.

Europe has been proud of a single community renowned for its cultural homogeneity and socio-political similarities. Division and isolationist moves always caused a massive cost. The continent could be unified with the historic launch of the common currency euro in 1999 as a result of the 1991 Maastricht Treaty.

But it was unstable cohabitation from the beginning as Britain decided not to join the eurozone even when it became an EU member. Brexit is an offshoot of the union’s inability to overcome inherent economic gaps between member nations. Those who support Brexit have been complaining about the unfair system which forces the UK to offer aid to comparatively poor member nations as a result of the forced integration of economies with different size and strength. They don’t want to see the hefty benefits — enjoyed by as many as 2.2 million immigrants from their poorer peers in the areas of housing,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 — anymore.

As those in support of a Brexit increasingly make strong voices, the results of the Times’ survey ahead of the June 23 referendum in the UK shows Brexit supporters will likely win. If Brexit becomes a reality, the EU based on the membership of 28 countries will suffer schisms. The UK’s isolationist move will surely wreak havoc on the economies of Ireland, Belgium and Netherlands — which heavily rely on Britain for their export — and affect Korea in a far-reaching shockwave across the globe.

Such a scenario is fatal to our economy vulnerable to outside shocks. We could face another economic emergency as we witnessed in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and the 2008 global economic meltdown. The government and corporate sector must thoroughly prepare for the dismal ramifications of Brexit.


JoongAng Ilbo, Jun. 16, Page 30

영국의 유럽연합(EU) 탈퇴(Brexit·브렉시트) 가능성이 눈앞에 어른거리고 있다. 먼 나라 얘기로 무심코 지내는 사이 브렉시트가 가시화하면서 국제금융시장이 요동치고 있다. 일본 증시가 1만5000선대로 맥없이 무너지고 중국 위안화값은 최근 5년 내 최저 수준에 근접했다. 영국 증시에서는 나흘 사이에 160조원이 사라졌고, 국제자금이 안전자산으로 몰리면서 일본 엔화값이 급등하고 독일·스위스·미국 국채 금리는 제각각 마이너스와 사상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디언·더타임스 여론조사에서 탈퇴가 잔류를 7% 포인트 앞지르면서 나타난 브렉시트 공포증이다. 쓰나미처럼 간발의 시차를 두고 국내 금융시장을 덮칠 상황도 조만간 가시화할 할 수밖에 없다.
브렉시트가 세계 금융시장을 불안하게 하는 것은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몰고올 경제적 파장에 대한 우려에서 나오고 있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미국·일본과 함께 세계 선진 경제권의 3대 축 가운데 하나인 유럽연합이 침체를 거듭하고 있는 세계 경제를 더욱 약화시키고, 유럽의 정치·사회적 불안까지 야기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유럽은 오래 전부터 하나의 문화를 공유하면서 정치·경제·사회가 하나로 맞물려 돌아가는 지역공동체였다. 이런 체제에서 분열과 고립주의는 언제나 큰 비용을 치렀다. 이런 역사적 경험을 토대로 유럽연합은 1991년 마스트리히트 조약을 모태로 출발해 99년 단일통화 유로를 출범시키면서 하나로 뭉쳤다.
하지만 처음부터 불안한 동거가 시작됐다. 영국은 유럽연합에 참가하되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 국)에는 합류하지 않으면서다. 브렉시트는 결국 회원국간 경제 격차를 극복하지 못한데 따른 파국이다. 탈퇴파는 경제 체력이 다른 국가간 살림 통합으로 영국이 끊임없이 경제가 취약한 회원국에게 돈을 퍼주는 불평등 구조에 불만을 제기해왔다. 영국엔 유럽연합 출신의 취업자가 220만 명에 달하는데다 최근에는 대규모 난민까지 몰려들고 있다. 이들에 대한 주택·교육·보건 혜택을 더 이상 두고보지 않겠다는 것이다.
이런 배경에서 경제주권을 되찾겠다는 탈퇴파의 목소리가 점차 커지면서 23일(현지시간)로 임박한 국민투표를 앞두고 실시된 여론조사는 탈퇴파의 우위를 예고하고 있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현실화하면 28개 회원국 체제는 균열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영국의 고립주의는 영국 수출 비중이 큰 아일랜드·벨기에·네덜란드에 직격탄을 날리고, 도미노처럼 전 세계로 충격파를 던져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 수출에도 타격을 입힐 가능성이 크다.
이런 상황은 외풍에 취약한 한국 경제에 치명적이다. 1997년 외환위기로 국가부도 위기에 내몰린 데 이어 2008년 세계 금융위기로 저성장 터널로 빠져든 한국으로선 다시 위기 앞에서 설 수도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기업은 브렉시트에 따라 벌어지게 될 후폭풍이 어느 정도의 파장을 불러일으킬지 충분히 예측하고 만반의 대비에 나서야 할 때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