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s moral hazard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DB’s moral hazard

The state-run Korea Development Bank (KDB) has worsened the state of Daewoo Shipbuilding & Marine Engineering (DSME) because of its incompetence and immorality, according to findings by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BAI).

As its largest stakeholder and administrator of tax funds, the bank should have been overseeing the shipbuilder and ensuring management was running the company well. But it was under poor management itself and neglected, or turned a blind eye, to accounting irregularities.
Despite its analytic risk control system, the bank failed to employ it for the shipbuilder and catch 1.5 trillion won ($1.3 billion) in overstatements on its balance sheets for two years. It kept idle while the shipbuilder expanded to incur over 1 trillion won in losses. It did not stop the company from paying out bonuses worth 87.7 billion won to employees even after making an operating loss of over 3 trillion won last year.

DSME is de facto bankrupt, with deficits overwhelming capital after it incurred its single largest deficit of 5 trillion won last year. As much as 7 trillion won in public funding has been put into the company. More could be needed to keep it afloat.

The state bank administrator is largely to blame for the waste of valuable public resources. This is because political figures have dominated the bank’s key positions.

Under such a structure, we cannot expect reliable and expert administration of public funds and companies under state management.

Thanks to the bank’s delinquency, moral hazard was so rampant and discipline so lax at the shipbuilder that even a low-ranking employee was able to embezzle 18 billion won over eight years.

The BAI, as a watchdog for state entities, should also share the blame. It has audited the state bank every year. Even as dangers at shipbuilders were raised last year, the BAI failed to take any action. It only acted when the woes spilled over and translated into massive layoffs. It then proposed punishment for former and incumbent executives.

Restructuring can hardly be effective with such leniency. We need a BAI free of political influence in order to ensure that public entities are well run and public funds well spent.


JoongAng Ilbo, June 16, Page 30


대우조선해양 부실경영과 관련한 감사원의 산업은행 감사 결과 산은의 무능과 부도덕이 부실을 키운 핵심 요인임이 드러났다. 산은은 대우조선의 주채권은행이자 최대주주다. 대우조선의 방만경영을 사전에 적발해야할 책임이 있음에도 부실한 관리로 분식회계를 방치했고 묻지마식 투자도 눈감아준 사실이 감사원 감사 결과 확인됐다.
산은은 기업의 재무상태를 사전에 파악할 수 있는 통제시스템을 갖추고도 이를 대우조선에는 활용하지 않아 1조5000억원에 달하는 분식회계를 잡아내지 못했다. 또 대우조선이 묻지마식으로 자회사를 늘려나가도 그냥 넘어가 1조원 넘는 손실이 발생했다. 지난해 영업손실이 3조원을 넘어선 와중에 대우조선이 임직원 격려금 877억원을 지급한 것조차 막지 않았다.
대우조선은 지난해 단일기업으로 역대 최고인 5조원의 적자를 내며 자본잠식 상태에 빠졌다. 대우조선을 살리기위해 투입된 혈세만 7조원이다. 앞으로 얼마가 더 들어갈지 모른다. 사태가 이 지경에 이른 원인에는 산은의 무책임한 주먹구구식 기업관리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있음이 드러났다. 권력 핵심과 가까운 낙하산 인사들이 산은의 요직을 장악해온 결과일 것이다. 이런 구조에선 위아래를 막론하고 전문성과 책임감·도덕성을 기대할 수 없다. 대우조선의 차장급 직원이 8년간 회사돈 180억원을 빼돌린 끝에 구속된 것도 부도덕하고 무능한 경영진과 이들을 전혀 제어하지못하는 감독은행을 생각하면 그리 놀랄만한 일은 아닐 것이다.
감사원도 책임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감사원은 매년 산은을 감사해왔다. 또 조선업계의 부실은 지난해 초부터 공공연한 사회적 이슈였음에도 감사원은 손을 놓아왔다. 그러다 조선업계의 위기가 대규모 실업으로 이어지면서 정치권으로 불똥이 튈 가능성이 높아지자 뒤늦게 감사에 나선 것이다. 후속조치도 전현직 임직원에 대한 문책 요구에 그쳤다. 이런 솜방망이 조치로 썩을대로 썩은 부실기업과 감독은행을 개혁할 수 있겠는가. 이렇게 정권의 눈치나 보고 뒷북이나 치는 감사원에 대해서도 엄중한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