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ensible decisio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sensible decision

The hotly contested issue over the selection of location for a new airport in South Gyeongsang has ended after a third-party agency came up with conclusion that the best option is to expand the overloaded Kimhae Airport. The conclusion on Tuesday by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can be the best choice given all the conflict over whether to choose Miryang city or Gadeok Island, Busan.

The ministry announced the results of a study commissioned to ADPi, a leading French airport design firm, at a press conference yesterday. After a year-long analysis, the company reached conclusion that either Miryang or Gadeok is not an appropriate location for a new airport. Political circles mostly showed a positive response to the conclusion.

After accepting the results of the commissioned study, the government plans to draw a blueprint to expand the Kimhae Airport next year — including construction of a new runway and terminal — to address its chronic overcapacity, as well as expanding roads and railways to meet growing needs for air flights.

A senior engineer from ADPi said it reached the conclusion after fully taking into account the airport location standards suggested by the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as well as the assessment methods agreed on by five municipal governments in South Gyeongsang.

Politicians must repel populist temptations after looking back on what they did. As they pressed ahead with the infrastructure project purely on political logic, schisms were unavoidable from the outset. The conclusion drawn by the independent company solely based on economic feasibility has laid bare all the loopholes in the project.

It all began with the political circles hastily accepting a plea in 2009 by local residents to have an airport in their region as well. But the project was cancelled in 2011 by the Lee Myung-bak government after a benefit-cost analysis. But after Park Geun-hye made a campaign promise to build the airport as presidential candidate in the 2012 election, the government launched a feasibility test in 2014. Since then, South and North Gyeongsang — home turf of the conservative forces — have spent four years fighting between themselves.

Most of the 14 local airports hurriedly constructed for populist promises still suffer a chronic deficit. The latest episode clearly shows that a top-down decision by a few politicians only leads to national chaos as seen in the four-river restoration project and the construction of government complexes in Sejong city. The ball is in the government’s court. It must do its best to upgrade Kimhae Airport as soon as possible if it wants to pay for the debt it owes to the people.


JoongAng Ilbo, Jun. 22, Page 30


엄정한 평가와 합리적 대안... 수용해야 김해공항 연결교통망도 신속하게 확충 정치권은 표 겨냥한 갈등 부채질 반성을


1300만 영남 주민을 대립과 분열의 도가니로 몰아넣었던 영남권 신공항이 다시 백지화됐다. 그 대신 포화 상태에 도달한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것이 가장 최적의 대안이라는 ‘제 3자’ 연구용역 결과가 나왔다. 경남 밀양이냐 부산 가덕도냐를 놓고 빚어졌던 망국적 지역 갈등을 생각하면 신의 한 수 같은 결론이다.
국토교통부는 어제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1년여간 분석해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가 동남권 신공항 입지로 타당하지 않다는 연구용역 결과를 발표했다. 당초 갈등을 부채질한 정치권에서도 대체로 수용한다는 반응이 나왔다.
정부는 용역 결과를 받아들여 내년에 공항개발기본계획 수립에 착수하기로 했다. 현재 수용능력 540만 명을 이미 초과한 김해공항에 활주로와 터미널을 신설하고 도로·철도 등 연결교통망도 확충해 영남권의 항공 수요를 뒷받침한다는 복안이다.
이날 발표에 나선 장마리 슈발리에 ADPi 수석 엔지니어는 “제로 베이스에서 35개 후보지를 놓고 세 곳을 압축했다”며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제시하는 공항 입지 기준을 충실히 활용하고, 영남 5개 지방자치단체가 합의한 평가 방식도 반영해 최적의 결론을 냈다”고 말했다.
이런 결과에 대해 정치권은 석고대죄의 심정으로 반성하고 이번 결과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포퓰리즘의 유혹에서 벗어나야 한다. 신공항은 정치논리에 따라 추진되면서 애초 절차적 정당성을 갖추지 못해 잡음이 나올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확고한 경제 논리로 그 허구가 드러났다.
공항은 전형적인 내집 앞마당 사업(핌피ㆍPimfy)으로, 영남권 신공항 역시 “우리 지역에도 공항을 갖고 싶다”는 지역 민원을 2009년 정치권에서 덮석 받아들이는 데서 시작됐다. 그러나 비용편익(B/C) 분석 결과 두 곳 모두 기준치 1을 밑도는 0.7선에 그치면서 경제성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자 2011년 이명박 정부에서 백지화됐다. 하지만 박근혜 대통령이 2012년 대선공약으로 되살렸고, 2014년 정부는 타당성 조사에 나섰다. 이후 영남은 두 쪽으로 쪼개져 서로 할퀴며 지난 세월을 보냈다.
수요가 있으면 공항을 건설하는 것은 당연하다. 산업 성장을 뒷받침하고 지역 발전을 도와 결국 국가 경제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지역 민원에 휘둘이고 선심성으로 결정돼 전국에 들어선 14개 지방공항은 대부분 적자에 허덕인다. 울진공항은 비행기 한 번 띄워 보지 못했다.
이번 결과는 국민 세금이 최소 12조원 투입되는 신공항을 소수의 정치인이 톱다운 방식의 의사결정으로 추진하는 것은 4대 강이나 세종시 정부청사처럼 국가적 혼란과 비효율만 초래할 뿐이란 사실을 다시 보여줬다. 이제 공은 무책임하게 뒷짐만 지고 있던 정부로 넘어갔다. 항공 수요를 정확히 파악해 김해공항을 가장 안전하고 편리한 영남권의 관문으로 신속하게 업그레이드 하는 것만이 정부가 국민에 진 빚을 갚는 길이다. 영남권 허브 공항은 김해공항을 확장한 다음 신중하게 따져봐도 늦지 않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