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oting ourselves in the parachut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Shooting ourselves in the parachute

Brexit is an event against expectations. Opinion polls showed a close race, and bookies predicted a 70 percent chance of remaining.

Markets fluctuate when unexpected events occur. In the days following the Brexit decision, the global market was in chaos. It has to brace for a new low-growth era. It is hard to argue with the IMF’s diagnosis that the uncertainty caused by Brexit will discourage consumption and investment and slow down growth. It is unfortunate for the Korean economy, whose foreign dependency is absolute.

What’s really regrettable is the repeated tragedies we cause ourselves. Daewoo Shipbuilding’s fraudulent accounting and slack supervision is such a case. Perhaps the seed of the problem was planted when Hong Ki-taek, a former professor who served as a presidential transition committee member, was appointed as the chairman of the Korea Development Bank.

In April 2013, I interviewed Hong. He openly said that he would strength financing through government policy. “The Korea Development Bank has to help the conglomerates’ liquidity crisis and assist venture companies. We are backed by the government. Just as high risk brings high returns, you have to take risks for a creative economy.” He added that Daewoo Shipbuilding was to be sold.

His appointment was the first decision on a public corporation head by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He was “sent” by the Blue House. The first question I asked was about the background of his appointment, and he said, “You are right, I am sent by the administration on a parachute. I will prove myself by my results.” Will he take responsibility for what he said?

Arranged appointments hinder proper policy decisions. Public corporations like state-run banks are under the government’s supervision. But when someone that the president sent is made the head, the government influence weakens. The supervisory authorities will be reluctant to be strict; order in the public sector is undermined.

After two economic crises, a currency crisis and a financial crisis, a bad habit of welcoming parachute appointments began. Public corporation executives are happy to have a parachuted head because civil servants won’t interfere with their operations. It’s easy to create positions, hire certain people and enjoy bonus payments. Moral hazards spread around the organization.

That atmosphere prevails in the bureaucracy as well. Civil servants argue that when a well-connected, powerful person becomes the minister, it becomes easier to work, and the minister will defend the ministry against outside influences. Bureaucrats no longer aspire to become a minister someday. They are less eager to discourage the parachuted heads from offering populist policies.

The vice of parachute appointment has deep roots. The apathetic culture and inefficiency of organizations will harm the national economy.

JoongAng Ilbo, Jul. 2, Page 26


*The author is the New York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LEE SANG-RYEOL



브렉시트(Brexitㆍ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는 사실 예상을 뒤엎은 사건이다. 여론조사는 잔류와 탈퇴가 팽팽했지만, 배팅업체들은 잔류 확률을 70% 이상 봤다.
시장은 예상치 못한 사건이 발생할때 요동친다. 브렉시트 결정 직후 며칠간 글로벌 시장의 혼란스런 움직임은 당연한 것이었다.
글로벌 경제는 이제 새로운 저성장 시대를 각오해야 한다. 브렉시트가 야기한 불확실성이 소비와 투자를 줄이고 성장을 둔화시킬수 있다는 국제통화기금(IMF)의 진단에 이의를 제기하긴 어렵다. 아직도 해외 의존도가 절대적인 한국 경제로선 불운이 아닐수 없다.
하지만 적어도 억울하거나 분하진 않다. 브렉시트 같은 상황은 우리로선 어쩔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정작 안타까운 것은 우리가 자초하는 비극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대우조선 분식과 부실 감독 사태가 그런 경우다. 문제의 씨앗은 어쩌면 대학교수 출신인 홍기택 대통령직 인수위원이 산업은행 회장에 임명됐을 때부터 뿌려졌는지 모른다. 2013년 4월 갓 취임한 홍 회장을 인터뷰했다. 당시 그는 정책금융을 강화하겠노라고 대놓고 말했다. "대기업의 유동성 위기와 벤처 지원은 산은이 할 수밖에 없다. 정부가 뒤에서 받쳐주니까"라고 했고, "하이 리스크-하이 리턴이란 말이 있듯 리스크 테이킹을 해야 창조경제가 된다"고도 했다. 대우조선은 "매각이 원칙"이라고 말했다.
당시 그의 임명은 박근혜 정부의 첫번째 공기업 기관장 인사였다.
그는 이른바 ‘낙하산’이었다. 그에게 처음 물은 것도 낙하산 논란이었다. 그는 "나 낙하산 맞다. 결과로 보여주겠다"고 장담했다. 지금 그는 그 말에 책임질 수 있을까.
낙하산이 나쁜 것은 정상적인 의사결정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국책은행 같은 공기업은 정부의 지휘와 감독을 받는다. 그러나 대통령이 찍어 내려보낸 인사가 장(長)으로 오면 그때부턴 정부의 말발이 잘 먹히지 않는다. 감독당국이 눈치를 보기도 한다. 공공부문의 질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두 번의 경제위기(외환위기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한국경제에 생겨난 나쁜 습관이 낙하산 환영이다. 공기업 간부들은 낙하산 인사 발표에 쾌재를 부른다. 공무원들의 간섭과 잔소리를 듣지 않아도 된다고 여기기 때문이다. 위인설관과 성과급 파티 등 자신들의 잇속을 챙기기도 수월해진다. 모럴 해저드가 조직을 파고든다.
중앙부처 관료 사회에도 이런 분위기는 만연해있다. "힘센 실세가 장관으로 와야 일하기가 쉽고, 일이 틀어져도 바람막이가 된다"는 논리다. 열심히 해서 장관이 되겠다는 패기와 열정은 많이 사라졌다. 낙하산 실세들의 선심성 정책 남발을 막으려는 치열함도 떨어진다.
낙하산 인사의 폐해는 뿌리 깊이 남는다. 그들이 장악한 조직에 복지부동과 비효율을 침투시켜 나라 경제를 속으로 골병들게 한다.
다음 대선에서 누가 당선되든 제발 낙하산 인사를 근절했으면 좋겠다. 그래야 외부에서 어떤 악재가 터져도 한국 경제가 꿋꿋이 버틸 수 있다.


이상렬 뉴욕 특파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