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ckling the low birth rate
Published: 05 Jul. 2016, 18:22
Every government vows to address the problem, which could lead to eventual doom for the Korean race, but none have had the least bit of success. The 20th National Assembly launched a supra-partisan committee to address the birth rate, fearing it could jeopardize the country’s future.
The special committee is a rare cooperative platform of all three major parties. President Park Geun-hye promised subsidies for day care to promote more births. But a lack of financing made the issue political and the day care environment has become more insecure. Because of political wrangling, subsidies have not helped to promote more births even after astronomical spending.
European countries that have been fighting low birth rates for decades, like France and Sweden, have begun to make progress through supra-partisan efforts that kept policy intact regardless of changes in the ruling party. France spent the equivalent of 5 percent of its gross domestic product to elevate its birth rate, which hovered at 1.65 in 1993, the lowest level in Europe.
The French prime minister, cabinet members, and experts drew up a policy framework to launch an early childhood benefit program dubbed PAJE. Early childcare benefits would go to any child regardless of whether their parents were married or not. The birth rate in France has bottomed out thanks to consistency in policies that helped to change the system and French perspectives.
The new legislative committee must be free from political and ideological differences and be true to its sole purpose of promoting birth. It must come up with policies and diverse programs to create an environment and culture that encourage young people to have babies.
JoongAng Ilbo, July 5, Page 30
우리 사회가 지금 상태로 저출산의 늪에서 벗어날 수 있을 거라고 확신하는 사람은 별로 없다. 현재 합계 출산률 1.24명. 경제협력개발기구(OECD)회원국 중 출산률로는 꼴찌를 기록한 지도 여러 해 됐고, 정권마다 저출산 극복을 구호처럼 외쳤지만 구체적 행동으로 이어지지 않으면서 정책과 제도는 겉돌았다. 이런 때에 국회에서 여야 3당이 합의해 특별위원회를 만들고,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약속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저출산 극복이야말로 한국 미래의 생존을 위해 가장 우선적으로 챙겨야 할 과제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특별위원회에 거는 기대는 '초당적 협력'부분이다. 박근혜 정부는 대선 당시 '아이는 국가가 길러준다'고 공약하고 보육비 지원사업을 벌이고 있다. 하지만 정치적 협력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보육문제가 정치문제화되어 오히려 보육환경이 불안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보육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심화되면서 돈을 쓰면서도 저출산 극복의 유인책이 되지 못한 게 사실이다. 우리보다 20여 년을 앞서 저출산 문제로 고민하다 이를 극복한 프랑스와 스웨덴 등 유럽 국가의 경우 성공요인은 저출산이라는 국가 어젠더에 대해선 정권과 상관없이 초당적 협력을 통해 일관된 정책을 추진한 것이다. 프랑스는 1993년 출산률이 1.65명으로 이 부문 꼴찌 국가가 된 후 국민총생산(GDP) 대비 5%를 저출산 극복 정책에 쏟아부으며 출산률 회복 정책을 폈다. 또 총리, 관련부처 장관, 전문가 등이 한 자리에 모여 대책을 마련하는 범국가 회의를 열어 정책 기조를 세우고 다양한 출산장려 정책을 한데 모아 유아환영정책(PAJE)을 출범했다. 또 출산 장려와 함께 비혼 가족의 자녀에 대해서도 차별없이 사회적 혜택을 제공하는 등 제도와 의식을 동시에 개선하며 뚜렷한 방향성을 가지고 추진한 결과 저출산 극복에 성공했다. 이번 특별위원회 출범 정신처럼 저출산 문제는 각종 정쟁의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 또 정책적 지원뿐 아니라 아이를 낳고 싶은 환경과 문화를 만들기 위한 인식 개선 사업 등 다양한 차원에서 일관성있는 대책을 내놓기 바란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