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capitalization fund in limbo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capitalization fund in limbo

In 2009, a recapitalization fund was prepared to assist commercial banks faced with a liquidity crunch amid the financial crisis. The government and the Bank of Korea set aside a total of 20 trillion won ($17.6 billion), but only about 3.96 trillion won was actually used. While commercial banks were struggling, they didn’t use the fund because its annual interest rate was higher than the market rate of 6 to 7 percent.

Recently, the government and the Bank of Korea set up a similar 11 trillion-won fund to prepare for the growing insolvency of government-run banks over the course of corporate restructuring. But there are concerns this fund could prove useless once again.

Bank of Korea Gov. Lee Ju-yeol said, “The interest rate on loans from this fund should be higher than the market to guard against moral hazard.” Members of the Monetary Policy Committee agreed that the actual issuance of loans should be strictly reviewed.

But the dilemma is that the fund would become “useless” if it excessively adheres to these principals. The fund is made possible by the purchase of contingent convertible bonds issued by state-run banks. The market predicts that the annual interest rate will be around 2.5 percent. But industrial financial debentures and contingent convertible bonds, which the Korea Development Bank and the Export-Import Bank of Korea use to raise funds, are at 2.1 to 2.2 percent. When the state-run banks can raise funds at a cheaper rate in the market, there is no reason for them to pay higher interest rates to use the recapitalization fund.

Experts say the fund will be useless and that the government and BOK brought it upon themselves. The fund is an emergency measure. It is more of a safety net to prevent an extensive credit crunch when the insolvency in the shipbuilding and marine transport industries spread to the financial sector. It should have been designed more carefully and thoroughly. But the government and the BOK rushed. In the meantime, the fight between the two parties was highlighted. The government was criticized for taking an expedient measure by using a note asserting its authority in order to avoid going through the National Assembly. Controversy unrelated to the essence of restructuring grew. The government failed to illustrate the big picture of how the restructuring of troubled industries ought to happen.

But now that the fund has been launched, the government and BOK need to figure out how it can be used to actually help with restructuring. The BOK is understandably agonized. If the interest rate is too low, it could indeed be criticized for giving favors. The priority is to define specific rules for the loan issuance and transparently inform the market.

JoongAng Ilbo, July 21, Page 29


*The author is a business news reporter of the Joongang Ilbo.

HA NAM-HYUN



2009년 은행 자본확충펀드가 마련됐다. 금융위기로 유동성 위기에 직면한 시중은행을 지원하기 위함이다. 정부와 한국은행은 총 20조원 규모의 ‘실탄’을 마련했다. 그런데 실제 집행 규모는 3조9560억원에 머물렀다. 시중은행들은 사정이 어려웠지만 이 펀드를 찾지 않았다. 금리가 연 6~7%로 시중 금리보다 높았던 탓이다.
정부와 한은이 기업 구조조정 과정에서 국책은행의 부실 확대에 대비해 조성한 11조원 한도 ‘국책은행 자본확충펀드’도 과거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도덕적 해이를 방지하는 차원에서 국책은행펀드 대출은 시장보다 금리를 높게 책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금융통화위원들도 “실제 대출 실행은 엄격하게 정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발권력이 동원되는 만큼 엄격한 집행은 반드시 필요하다.
그런데 원칙에 집착하다 보면 정작 ‘쓸모’가 없어진다는 딜레마에 빠지기 십상이다. 자본확충펀드는 국책은행이 발행하는 조건부자본증권(코코본드)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지원한다. 그런데 이 대출금리가 연 2.5% 안팎이 될 것이라는 게 시장의 관측이다. 하지만 현재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자금조달 수단인 산금채나 코코본드 금리는 연 2.1~2.2% 수준이다. 국책은행 입장에선 시장에서 더 싼 값에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데 굳이 비싼 금리를 물면서 자본확충펀드를 쓸 이유가 없다.
‘무용론(無用論)’이 제기되는 이유다. 이는 정부와 한은이 자초한 결과다. 자본확충펀드는 ‘비상용’이다. 조선ㆍ해운업의 부실이 금융권으로 번져 경제 전체가 신용 경색에 빠지는 상황을 막기 위한 ‘안전판’의 성격이다. 그렇다면 서두르지 말고 자본확충펀드의 설계를 보다 촘촘히 했어야 옳다. 그런데 정부와 한은은 조급했다. 금통위가 의결을 하기도 전에 자본확충펀드 조성을 발표해 버렸다. 금통위는 뒤늦게 도장만 찍었다. 이 과정에서 구조조정의 본질은 흐려지고 정부와 한은의 ‘기싸움’만 부각됐다. 정부가 국회 동의를 피하고자 발권력을 동원하는 ‘꼼수’를 부린다는 지적도 나왔다. 기업 구조조정의 본질과 무관한 논란이 무성했다. 정작 정부는 조선업 등 구조조정 타깃이 된 산업을 어떻게 구조조정해 나갈지에 대한 ‘큰 그림’을 마련하지 못했다.
우여곡절 끝에 자본확충펀드가 출범한 만큼 정부와 한은은 실제 구조조정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운용의 묘’를 고심해야 한다. 물론 한은 등의 고민이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대출금리를 너무 낮게 잡으면 ‘퍼주기’논란이 불거질 수 있어서다. 그렇다고 “엄격하게 시행하겠다”는 원칙론만 되풀이해서는 곤란하다. 아직도 불확실한 대출 집행의 구체적 원칙부터 세워 시장에 투명하게 알리는 게 먼저다.

하남현 경제부문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