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nal winner of PokemonGo craz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Final winner of PokemonGo craze

Recently, I took my son to Sokcho as he wanted to play Pokémon Go. I had some safety concerns, but we found a safer way to play. He caught Pokémon while I drove around. From the Mishiryeong tunnel to the Daepo Harbor in Sokcho, he caught about 10 Pokémon. At the Daepo Harbor, he caught some 30 more.

While the map service was not officially provided, I could easily understand how it worked. Who created this game? John Hanke is the CEO of Niantic Labs, which developed Pokémon Go, and he was the creator of Google Earth, offering satellite map images around the world. Augmented reality (AR), which combines virtual images, real images and location information services, is not actually a new invention. Nine years ago, in May 2007, I covered the HP Mobility Summit in Shanghai, China. HP wished to expand the PDA market and introduced a new technology called “mscape.” It combined GPS and user created contents. For instance, if a user passes by certain landmarks carrying a mobile device, he can see various content created by other users relevant to the place. HP planted information on some landmarks in Shanghai and had journalists experience mscape.

While I thought it was a good idea, I’ve never heard that mscape became commercialized. HP had surpassed competitor Dell and became the top computer maker in the world at the time. It was too much to expect an industry leader to go for a drastic transformation. But what would have happened if HP decided to become a content service provider at that time?

It is too early to tell who will benefit the most from the Pokémon Go craze. Some say the intellectual property of the Pokémon franchise is the winner while others pay attention to the AR technology. It is also noteworthy that Niantic offers location-based services to the world. In Korea, Pororo Go is being developed. While it is unclear how what kind of product it will be, simply imitating Pokémon Go won’t lead to much success.

Just like any new service, the instant success could diminish soon unless there is a working profit model. I met a fish restaurant owner at Daepo Harbor who said, “It is easy to catch Pokémon around here. Why don’t you have dinner at my restaurant?” Restaurants that are known for frequent appearances of popular Pokémon like Pikachu will enjoy good business. Stores might even pay to make Pokémon appear in the vicinity. It is not just about Pokémon. There will be demands willing to pay money to attract customers. The final winner of the Pokémon Go boom will be the developer or company that respond to such demands.

JoongAng Ilbo, July 29, Page 34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KIM WON-BAE

얼마 전 속초를 다녀왔다. '포켓몬고' 게임을 해보고 싶다는 아이 때문이었다. 혹시나 다치지 않을까 걱정을 했지만 안전한 방법이 있었다. 차를 타고다니면서 포켓몬을 잡는 것이다. 미시령터널부터 속초 대포항까지 가는 동안 10여 마리를 사냥할 수 있었다. 대포항에 내려서도 30여 마리를 잡았다.
지도가 정식 서비스되지 않았지만 원리는 쉽게 알 수 있었다. 누가 이런 게임을 만들었을까. 포켓몬고 개발회사인 나이앤틱의 최고경영자(CEO) 존 행크(John Hanke)가 지구촌 곳곳의 위성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구글 어스’를 만든 사람이라는 얘길 듣고 보니 머리가 끄덕여졌다. 현실에 가상 이미지를 더하는 증강현실(AR)이나 위치정보 서비스는 사실 그리 새로운 기술은 아니다.
지금부터 9년 전인 2007년 5월 중국 상하이에 열렀던 ‘HP 모빌리티 서밋’을 취재한 적이 있다. 개인휴대단말기(PDA) 시장을 키우려 했던 휴렛팩커드(HP)는 '엠스케이프(mscape)'라는 신기술을 선보였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과 당시 유행하던 사용자제작콘텐트(UCC)를 결합했다. 예컨대 휴대단말기를 들고 특정 명소를 지나면 이곳과 관련해 다른 사용자가 만든 다양한 콘텐트를 볼 수 있는 방식이다. HP는 상하이 몇 곳에 정보를 넣어두고 각국 기자들이 엠스케이프를 체험하도록 했다. 괜찮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지만 이후 엠스케이프가 상용화됐다는 얘기는 듣지 못했다. 당시 HP는 경쟁사였던 델(Dell)을 제치고 세계 1위의 컴퓨터업체로 올라선 상황이었다. 잘나가던 기업에 급격한 변신을 기대하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하지만 만일 HP가 그때부터 콘텐트 서비스 회사가 되겠다고 마음먹었다면 과연 어떤 일이 생겼을까.
포켓몬고가 열풍을 일으켰지만 누가 승자인지는 속단할 수 없다. 일부에선 포켓몬이라는 지적재산권(IP)의 힘을 꼽기도 하고, AR 기술에 주목하기도 한다. 나이앤틱이 세계를 대상으로 위치정보와 연계된 서비스를 한다는 점도 무시할 수 없다. 국내에서도 '뽀로로고'가 개발된다고 한다. 어떻게 나올지 모르지만 포켓몬고를 흉내 낸 정도론 크게 성공하기 어려울 것 같다.
새로운 서비스가 그렇듯이 수익 모델을 만들지 못하면 반짝 성공 후 사라지기 마련이다. 그날 대포항에선 “우리 집 주변에서 포켓몬이 잘 잡혀요. 식사나 하고 가세요”라고 말하는 횟집 주인을 만날 수 있었다. 앞으로 피카추 같은 유명 포켓몬이 등장한다는 소문이 나는 식당은 대박을 낼 수 있을 것 같다. 게임 운영사에 돈이라도 주고 포켓몬을 나타나게 해달라고 해야 할 판이다. 포켓몬만이 아니다. 고객을 끌 수 있는 기발한 것을 어딘가에 등장시킬 수 있다면 기꺼이 돈을 내겠다는 수요가 생긴다. 이번 열풍의 최후 승자는 이런 요구에 제대로 부응하는 개발자나 기업이 될 것이다.
김원배 경제부 부데스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