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s national power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Korea’s national power

When was the time you felt the “national power” of Korea? It may be different for everyone, but personally, my moment came during my business trip to the Arctic. The memory of the summer of 2012 is still vivid. I went to the town Ny-Ålesund on the island of Spitsbergen in Norway. It is 79 degrees north, and Dasan Station is located in the town.

Not everyone can build a station there. The Korean station is proudly operating with 11 advanced countries such as Germany, France and China. Science and technology are the prerequisites. Comprehensive national power including economic and diplomatic powers as well as national prestige is required. And the pride I felt at the Arctic still resonates in my heart.

As the sultry summer makes me miss the cold wind of the Artic, Korea’s situation in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aad) deployment fuels the feeling of helplessness. Korea is flustered to resolve the complicated equation involving the North’s missile program, the U.S. Forces Korea’s defense, concerns for China’s retaliation and protest of the chosen site.

The emission-rigging scandal of Volkswagen and Audi is also serious. The German company, the second-largest automaker in the world, appears to think the Korean market is a pawn. After the scandal emerged in the United States, it promised nearly 17 trillion won ($15.5 billion) of compensation. It didn’t even offer a proper apology here, claiming that the laws are different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It doesn’t appear to think seriously about the Korean government’s administrative power.

In time with the 70th anniversary last year of Korea’s liberation from Japan’s colonial rule, the government highly promoted the accomplishments and heightened national power over the seven decades. But it feels embarrassing to see the repeated predicaments.
What will be Korea’s positioning? The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rated Korea’s national power ninth on the global list in the mid-2000s. The Hansun Foundation of Freedom and Happiness also ranked Korea ninth among the Group of 20 countries in its 2014 report. The think tank pointed out that though Korea has strong hard power such as defense capabilities and science and technology, it needs to improve soft power such as politics, social capital and diplomacy.

There are many more things we have to improve. The Blue House and the administration’s poor management abilities,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capacity that often causes public mistrust, and our diplomatic capability, ranked in the middle of G-20 member countries, are all big challenges, but we seemed to be trapped in a maze.

The Newsroom, an American TV drama, sent us an important message. The show’s hero, anchor Will McAvoy, said America is not the greatest country in the world anymore. “The first step in solving any problem is recognizing there is one,” he said. Perhaps, we are losing the ability to recognize there is a problem.

JoongAng Ilbo, August 10, Page 30


*The author is a deputy editor for national news team 2 at JTBC.

KIM JOON-SOOL



대한민국의 ‘국력(國力)’을 체감하는 순간은 언제일까. 저마다 다르겠지만 개인적 경험을 얘기할 때면 ‘북극 출장’을 꼽곤 한다. 지난 2012년 여름의 기억은 아직도 생생하다. 노르웨이 스피츠베르겐 섬의 니알슨으로 취재를 갔다. 북위 79도의 동토다. 여기엔 ‘북극 다산과학기지’가 있다. 아무나 끼워주진 않는다. 독일ㆍ프랑스ㆍ중국 같은 11개 강국의 기지와 어깨를 나란히 한다. 과학기술은 기본이다. 경제력ㆍ외교력ㆍ국가위상 등을 더한 ‘총합적 국력’이 있어야 명함을 내밀 수 있다. 당시 극지에서 느낀 자부심은 아직도 여운이 남아 있다.
북극 한풍이 더욱 그리운 요즘 무더위에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ㆍ사드) 체계’ 배치를 둘러싼 우리 처지는 무력감을 더욱 부채질한다. 북한 미사일ㆍ주한 미군 방어ㆍ중국의 보복 우려ㆍ배치 지역 반발 등이 얽힌 ‘고차 방정식’을 놓고 쩔쩔매는 모습이다. 폴크스바겐과 아우디의 배출가스 조작 의혹은 또 어떤가. 세계 2위라는 이 독일 회사는 한국 시장을 ‘졸(卒)’로 보는 것 같다. 미국에선 논란이 불거진 뒤 17조 원 가까운 보상을 약속했다. 하지만 우리에겐 ‘미국과 한국은 법이 다르다’면서 제대로 사과조차 않는다. 그만큼 우리 정부의 행정력을 우습게 여긴 것일까. 지난해 이맘때 정부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그동안 이룬 성취와 높아진 국가적 역량을 자랑했다. 하지만 사드와 폴크스바겐 사태처럼 잇따라 ‘동네북’ 신세가 되는 걸 보면 머쓱할 뿐이다.
대체 우리의 역량과 위상은 어디쯤 와 있는 걸까. 중국 국무원 산하 사회과학원은 2000년대 중반, 우리 국력을 세계 9위로 평가한 적이 있다. 한반도선진화재단도 지난 2014년 주요 20개국(G20)의 종합 국력을 비교해 한국을 9위에 올려놨다. 그러나 국방력ㆍ과학기술력 같은 하드 파워는 강하지만, 정치력ㆍ사회자본력ㆍ외교력 같은 소프트 파워는 분발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종합 진단을 해보면 경제력은 수십 년 전보다 월등히 나아졌지만, 다른 분야가 뒷받침을 못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과거엔 ‘체력이 국력’이라고 하던 단순한 시절도 있었다. 요즘 브라질 리우 올림픽에서 우리 선수들이 값진 금메달을 거머쥐는 걸 보는 한국인이라면 뿌듯한 자부심을 느낄 것이다. 하지만 체력과 함께 챙겨야 할 숙제가 너무도 많다. 청와대와 행정부의 미숙한 국정 관리력, 불신을 사는 국회의 입법 역량, G20 중간 수준인 외교력처럼 혁신 과제가 한둘이 아닌데, 대부분 미로에 갇혀 제자리를 도는 것 같다.
그런 면에서 미국 드라마 ‘뉴스룸’ 첫 장면이 던지는 메시지는 의미심장하다. 주인공 앵커 윌 매커보이는 더 이상 미국이 가장 위대한 나라가 아니라면서 말한다. “문제를 푸는 첫 단계는 문제가 있다는 걸 인식하는 데 있다(The first step in solving any problem is recognizing there is one).” 어쩌면 우리는 문제를 인정하는 자각 능력조차 잃어가는 게 아닐까.

김준술 JTBC 사회 2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