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visiting the alliance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Revisiting the alliance

U.S. Republican presidential candidate Donald Trump has a mutated view on alliances. His stance is remote from the Republican mainstream that considers alliances as a key axis of America’s global strategy. Instead, he approaches from cost effectiveness. He claims that Korea, Japan and Germany are free-riding on security. On August 5, he once again said that he would withdraw stationed forces unless these countries pay more for the shared cost. It is the ultimate in new isolationism.

In contrast, Democratic presidential candidate Hillary Clinton has conservative views on alliances. She shares a lot with mainstream Republicans. Look at her national security address in June. She praised the “power of allies” in discussing the North Korean threat. She said, “It is the legacy of American troops who fought and died to secure those bonds.”

It is notable that the Hillary camp included the words “We will honor our historic commitment to Japan” in the Democratic Party platform.

While it was not in the first draft, it was added to the final draft. Some say that it was influenced by Japanese lobbying efforts. It reflects Japan’s sense of crisis over the atmosphere in the United States. Regardless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outcome, the isolationism fanned by Trump and supporting his popularity will have significant consequences.

The Thaad deployment of the U.S. Forces in Korea was decided at this sensitive time. To the United States, the primary objective of Thaad is the defense of 28,500 U.S. Forces stationed in Korea. It is hard to imagine stationing troops without guaranteed safety. The U.S. Forces moved from Dongducheon and Euijeongbu in the front to Pyeongtaek, Daegu and Busan in the rear in order to avoid the role of a trip wire.

North Korea’s long range artillery has also played a part. North Korea now tests ballistic missiles from mobile launchers or submarines that are hard to detect. Will the U.S. Forces continue to stay in Korea without multi-dimensional defense? Pyongyang may ultimately want withdrawal of the USFK. It is a mistake to worry about aggravating Korea-China relations and consider Korea-US alliance constant. There have never been eternal allies. Alliance is a living organism that lives on trust.

It is also problematic to equate an ally with a friendly partner. The Korea-U.S. alliance is the foundation of Korea’s security. Investing in alliance has brought peace and stability to the Korean Peninsula, and it has bolstered the economic development. We are not talking about blind alliance here. While we make our demands we need to be careful not to shake the foundation of security. Moreover, the geopolitical changes are progressing. Geopolitical elements that cannot be changed, such as geography, history, ethnicity, religion and resources affect the strategies of countries in the region. China’s response to Thaad and the Korean Peninsula affairs are based on these geopolitical issues.

Alliance with a non-Asian country sharing values of liberty, democracy and human rights is a prerequisite for security. Think about the late Joseon period — there was no balance. It is not fitting to say Korea is in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security. The Korea-China relationship is valuable, but China does not protect Korea. Let’s be wary of sentimentality when it comes to security.

JoongAng Ilbo, Aug. 9, Page 30


*The author is a Tokyo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OH YOUNG-HWAN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의 동맹관은 돌연변이다. 동맹을 미국 세계 전략의 축으로 보는 공화당 주류와 동떨어져 있다. 비용 측면에서 접근한다. 한국ㆍ일본ㆍ독일 등의 안보 무임 승차론을 되뇌고 있다. 5일 다시 방위비 분담금을 올리지 않으면 주둔군을 철수하겠다고 말했다. 미국 일국(一國)의 관점에서 나온 신고립주의의 극치다. 반면 힐러리 클린턴 민주당 대선 후보의 안보ㆍ동맹관은 보수적이다. 공화당 주류와 닮은 구석이 적잖다. 6월 2일 국가안보 연설을 보자. 북한의 위협 부분에서 동맹의 힘을 치켜세웠다. 그것은 동맹과 함께 싸우고 전사했던 미군의 유산이라고 말했다. 힐러리 진영이 민주당 새 강령에 ‘일본에 대한 미국의 역사적 책무(commitment)’를 넣은 주목거리다. 당초 초안에 없던 구절이지만 최종본에 들어갔다. 일본의 로비 때문이라는 얘기가 나온다. 미국 내 분위기에 대한 일본의 위기감이 짙게 배있다. 대선 결과에 관계없이 트럼프가 부채질하고 트럼프를 뒷받침해온 저류의 고립주의 여파는 만만찮을 게다.
한미 양국의 주한미군에 대한 사드(THAADㆍ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은 이런 미묘한 시기에 이뤄졌다. 미국 입장에서 보면 사드의 1차적 목표는 주한미군 2만8500명의 방어다. 미군의 안전이 담보되지 않는 주둔은 생각하기 어렵다. 주한미군이 동두천ㆍ의정부의 전방에서 평택ㆍ대구ㆍ부산의 후방으로 이동한 것은 인계철선(trip wire) 역을 피하기 위한 측면이 있다. 북한의 장사정포 위협이 한몫했다. 북한은 지금 탐지하기 어려운 이동식 발사대나 잠수함에서 탄도 미사일 쏘기 시작했다. 다층ㆍ다차원의 방어망이 없는 상태에서 미군은 계속 주둔할 것인가. 북한의 궁극적 노림수는 주한미군 철수일지 모른다. 사드 문제에서 한ㆍ중 관계 악화만 걱정하고 한미동맹을 항구불변으로 보면 착각이다. 역사상 영원한 동맹은 없었다. 동맹은 신뢰를 먹고 사는 생물체다.
동맹과 우호협력 국가를 같은 선상에서 보는 담론도 문제다. 한미동맹은 우리 안보의 주춧돌이다. 동맹에 대한 투자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가져왔다. 이것이 경제 발전의 버팀목이 됐다. 맹목적인 동맹을 얘기하는 것이 아니다. 할 말은 하고, 거부할 것은 거부하되 안보의 근간이 흔들리지는 않도록 주의할 필요가 있다. 더구나 지금은 다시 지정학이 꿈틀거리는 시기다. 지리ㆍ역사ㆍ민족ㆍ종교ㆍ인구ㆍ자원 등 바꿀 수 없거나 바꾸기 힘든 지정학의 요소가 역내 국가의 전략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사드와 한반도를 둘러싼 중국의 대응에도 지정학이 어른거린다. 자유ㆍ민주주의ㆍ인권의 공통의 가치를 가진 역외 국가와의 동맹은 안보의 조건이다. 역외 균형자(balancer)가 없었던 구한말을 되돌이켜보라. 안보 차원에서 우리가 미ㆍ중 사이에 낀 샌드위치 신세라는 말은 맞지 않는다. 한ㆍ중 관계는 소중하지만 중국이 우리를 지켜주지는 않는다. 안보에 대한 감상적 사고를 경계한다.

오영환 도쿄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