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pe that’s hard to believe in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Hope that’s hard to believe in

President Park Geun-hye’s speech yesterday commemorating the 71st anniversary of the Liberation Day focused much attention on domestic issues. More than half of it was devoted to addressing an ongoing social trend of self-depreciation and calling on people to overcome times of economic uncertainty to achieve a second economic leap for Korea. The speech was much different from last year’s, which focused mostly on North Korea.

Park’s fourth Liberation Day speech also differed from many Liberation Day speeches given by her predecessors, who used them as platforms to present new policy directions on North Korea and Japan.

Particularly on North Korea, Park did not use the word “dialogue” a single time, though she has sought improvement in inter-Korea relations through dialogue since taking office.

Park only insisted on the North giving up its nuclear development and provocations. Japan was mentioned in a single sentence, which read, “Let’s build a future-oriented relationship while facing history squarely.”

Park focused on delivering to the Korean people a sense of hope by speaking words like “confidence,” “pride” and “can-do spirit.”

Given that Liberation Day is the celebration of the nation’s independence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e absence of messages about Japan and North Korea is circumstantial evidence of the Park Geun-hye government’s difficulty coming to terms with big issues.

We are at a time of grave changes in the geopolitical situation in northeast Asia. Strategic thinking is more important than ever for the nation.

Facing growing pressure from Russia and China in their opposition to deployment of the High Terminal Altitude Area Defense (Thaad) system, there is much talk of crisis in the Seoul-Beijing relations. It is not inconceivable to predict dramatic changes in regional politics as a result of improvement in Pyongyang-Beijing relations, with Russia included in a trilateral united front.

Park should present a more active diplomatic overture to Tokyo. She should lay out a breakthrough plan that could bring about tangible changes for North Korea.

The times call for an audacious shift in policy. President Park talked of hope. But such talk in the absence of a detailed strategy cannot bring about true hope. A president’s capability to achieve policy goals and the will to carry them out is needed. That is the basis of hope.


JoongAng Ilbo, Aug. 16, Page 30


박근혜 대통령의 어제 광복 71주년 경축사는 국내 문제에 많은 비중을 뒀다. 우리 사회에 만연한 자기 비하 풍조와 경제위기를 돌파해 제 2의 도약을 이루자는 내용이 연설의 절반 이상이다. 구체적 대북 메시지에 더 많은 비중이 실린 지난해 경축사와 크게 다르다. 역대 대통령이 광복절 경축사를 대북·대일 정책의 새 방향을 제시하는 통로로 활용한 점에 비춰 봐도 이례적이다.
 특히 북한에 대해선 취임 후 줄곧 대화를 통한 남북관계 개선을 제안했지만 이번엔 대화란 표현을 한 번도 사용하지 않았다. 대신 핵 개발과 도발 위협의 즉각 중단을 요구하는 압박 기조만을 강조했다. 대일 메시지는 “역사를 직시하는 가운데 미래지향적 관계를 만들자”는 한 문장만 포함됐다. 대신 ‘할 수 있다’ ‘자신감’ ‘자긍심’이란 단어를 9차례나 동원해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주력했다. 광복절이 일제 강점에서 벗어난 날이란 점을 감안할 때 대북·대일 메시지의 빈곤은 적지 않은 고민의 방증이다.
 박 대통령이 경축사에서 지적했듯이 동북아 안보지형 변화는 엄중하고, 어느 때보다 전략적 사고가 절실한 시점이다.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 배치에 반대한 중국과 러시아의 압박이 계속되면서 한·중 관계는 연일 위기가 거론된다. 소원했던 북·중 관계가 복원되고 러시아까지 손 잡으면 동북아 정세가 요동칠 건 불 보듯 뻔한 일이다. 그렇다면 취임 후 아무런 접촉이 없는 일본을 향해 좀 더 적극적인 외교적 언급과 입장이 나와야 한다. 북한에 대해서도 압박과 대화란 투 트랙 기조를 유지하면서 실질적 변화를 이끌어낼 획기적 방안을 제시하는 게 옳은 길이다. 큰 길이 막혔다면 우회로나 작은 통로를 뚫어 돌파구를 내겠다는 고심과 담대한 발상의 전환이 어느 때보다 절실하다.
 박 대통령은 많은 희망을 얘기했다. 하지만 구체적 전략과 실천 의지가 보이지 않는 말의 성찬은 희망이 아니다. 내치든 외교든 목표 달성을 위해선 대통령의 실천 역량과 추진 의지가 절대적이다. 그게 희망의 근거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