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rn off the lights in Sejong, please(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urn off the lights in Sejong, please(국문)

“As long as the lights at the Gwacheon Government Complex are on, the future of Korean economy is bright,” government officials used to say with pride when economy-related agencies were in Gwacheon. The offices have now moved to Sejong City, and the lights are rarely off.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is in Tower 4. Following the economic policy and tax reform announcement, officials are wrapping up the budget planning, and lights in their offices stay on night after night. In the morning, it is easy to run into officials who seem to have barely changed their clothes or had much sleep. It isn’t necessary to worry that officials have become slack since moving to Sejong.
So should we rest easy? Actually, it is a problem that they are too diligent. The typical product from all-nighters is the economic policy direction published every half-year. It is the legacy of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 something that can’t be found in other countries. But lately, they seem to have lost relevance.

Fundamentally, it does not make sense to address structural problems such as low growth and an aging population with a six-month prescription. Whenever a short-term plan ends, consumption and fiscal cliffs becomes more severe. It has become a routine to exceed the budget in the first half and plan a supplementary budget in the second. Every year, the tax law is amended, and it is ragged.

The overly ambitious and arrogant leadership is expressed in the policy. The progressive electricity billing system for households is the most notable. The Ministry of Industry, Commerce and Energy wants to invest the profit KEPCO made on new energy projects — instead of lowering the electricity rate. As they focused on planning grand investments, they didn’t notice how the citizens were exhausted from the heat.

I want to recommend the overworking bureaucrats take a vacation to Takeo, a small city in Kyushu, Japan, and stop by the municipal library. Three years ago, private company Tsutaya Bookstore turned the conventional library into a resident-friendly attraction. The books from storage are now displayed publically, and instead of the conventional decimal classification, books are categorized by lifestyle sections, such as cooking and living. Starbucks is in the library, and hosts, not librarians, welcome visitors. The municipal library in a city with a population of 50,000 has 1 million visitors annually. A young mayor who had worked for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accomplished the innovation.

In Korea, the economy has grown so big that a few officials cannot handle it, and the private sector has expanded greatly. The government must enhance productivity through innovation in the private sector. The bureaucrats should relax a bit. They shouldn’t feel they can’t leave the office early. As we all learned as students, all-nighters don’t necessarily lead to good grades.

JoongAng Ilbo, August 24, Page 30


*The author is a deputy business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CHO MIN-GEUN


"과천 청사의 불이 꺼지지 않는 한 한국 경제의 미래는 밝다"
경제부처들이 과천에 모여있던 시절, 관료들의 자부심을 표현하던 말이다. 세종으로 옮겨간 요즘도 청사의 불은 잘 꺼지지 않는다. ‘맏형’인 기획재정부가 자리잡은 4동이 대표적이다. 경제정책방향, 세제개편안 발표에 이어 최근 예산안을 짜는 작업이 막바지에 이르면서 도무지 불 꺼질 날이 없다. 출근 길에선 간신히 옷만 갈아입은 듯한 푸석푸석한 모습의 관료들을 어렵지않게 마주친다. 세종 청사로 이전한 이후 관료들의 기강이 해이해지고, 사명감도 약해졌다는 일각의 걱정이 무색할 정도다.
그러니 안심하면 될까? 오히려 너무 부지런해서 문제가 생긴다는 게 함정이다. ‘밤샘’으로 만들어지는 대표적 산물은 매 반기마다 나오는 경제정책방향이다. 해외에선 유례를 찾기 힘든 경제개발연대의 유산이다. 하지만 이것도 요즘은 통 약발이 듣지 않는다. 저성장ㆍ고령화라는 구조적 문제를 6개월짜리 처방으로 대처한다는 게 애초 무리다. 단기 대책이 끝날 때마다 마주치는 ‘소비절벽’, ‘재정절벽’이 갈수록 가팔라지며 부작용도 커졌다. 상반기에 재정을 당겨 쓴 뒤 하반기에 추가경정예산을 편성하는 일도 연례화했다. 세법도 매년 뜯어고치는 통에 말그대로 ‘누더기’다. 과잉 의욕은 모든 걸 틀어쥔 채 “나를 따르라”고 외치는 방식의 정책으로도 표출된다. 가정용 전기요금 누진제 논란이 대표적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한전이 거둔 이익을 전기요금 부담을 낮춰주기 쓰기 보다는 에너지 신(新)산업에 투자하고 싶어했다. 그게 생산적이고, 뭔가 일을 한 것 같이 보인다는 지극히 관료적 판단이 밑바탕에 깔려있다. 그리고 멋들어진 투자계획을 짜는데 집중하다보니 정작 무더위에 지친 국민들은 잘 눈에 들어오지 않았을 터다.
일에 지친 관료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휴가지가 있다. 일본 규슈의 작은 도시 다케오(武雄)시다. 특히 시립도서관을 꼭 들러봤으면 한다. 3년전 민간업체인 츠타야서점이 나서 딱딱한 공급자 중심의 도서관을 시민 친화형으로 만들어 명소가 된 곳이다. 창고내에 있던 장서는 전면 개가식으로 밖으로 나왔고, 전통적 십진분류 대신 요리ㆍ생활 등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배열됐다. 스타벅스가 도서관으로 들어오고, 사서 대신 접객담당자가 시민을 응대했다. 그 결과 인구 5만의 도시 시립도서관을 찾는 방문객이 연간 100만명에 이르렀다. 이런 혁신을 이끌어낸 이는 총무성 관료 출신의 젊은 시장이다. 민간업체에 시립도서관의 영구 운영권을 준 파격적 결정 이후 그는 학원식 교과과정을 공교육에 도입하는 교육개혁도 추진했다. 사실 관료사회의 침체는 세종으로 가기 이전부터 나타났다. 관료 몇사람이 좌지우지하기 힘들 정도로 한국 경제의 사이즈가 커지고, 민간의 역량이 높아진 게 근본 이유다. 정부 주도로 자원 투입량을 늘리는 방식의 성장은 한계에 달했다. 대안은 민간 주도의 혁신을 통해 생산성 높이는 길 밖에 없다. 그러자면 관료들도 좀 놓아야한다. 불꺼진 청사 역시 자연스럽게 여길 수 있어야 한다. 학창시절 겪었듯 밤샘이 능사는 아니다.

조민근 경제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