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gmalion in ‘Hell Joseon’(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ygmalion in ‘Hell Joseon’(국문)

The Rio Olympics have come to an end with happy, sad, emotional and gratifying moments. On Wednesday, the main group of Korean athletes returned from the Games in Brazil. Their dramatic feats of sport from the other side of the globe for 17 days gave Koreans temporary respite from the hot and humid tropical nights.

As I fed victories coming in from Rio de Janeiro as breaking news, one captured my attention. It was not the masterful putting of golfer Park In-bee or the tears of football player Son Heung-min, but it was Oh Hye-ri, who won gold in women’s 67-kilogram taekwondo and posted “Pygmalion” as her social media profile status.

In Greek mythology, Pygmalion was a sculptor and king of Cyprus. He created a sculpture, named it Galatea and fell in love with it. When Aphrodite, the goddess of love, learned of Pygmalion’s affection, she breathed life into the sculpture, and Galatea became alive.

Pygmalion has since become a symbol of self-fulfilling prophecies, in which hopes and dreams can come true for those who wish hard enough.

In psychology, the Pygmalion effect refers to the phenomenon of positive expectations and attention leading to good performance. A song titled “Together” from the soundtrack of the popular Korean television series “Reply 1988” became very popular last year because it contained the hopeful message, “We will be happy someday for sure.”

Oh had long been considered a second-place athlete and derided as a “domestic athlete.” For her, Pygmalion must have been a lifeline providing hope. In the 2008 Beijing Olympics, she did not make the national squad. Before the 2012 London Olympics, a muscle injury frustrated her chances.

The third challenge this time must have been frightful. She may not have had conviction that she would have a shot at the Olympics. But she constantly reminded herself that she could do it. She encouraged and motivated herself and reached her dream by reiterating “Pygmalion.”

How would young Koreans living in “Hell Joseon” react to Oh’s Pygmalion effect? Would they agree and say, “If I work harder, I can succeed someday,” or would they say, “That’s so far from reality. The glass ceiling has been replaced with a concrete ceiling. It does not apply to young people struggling for survival like us.”?

Oh’s success might be a rare case. It is true that climbing up from a humble background is very hard. But we should not neglect the power of positive thinking. Helen Keller was deaf and blind, but even she said, “Although the world is full of suffering, it is also full of the overcoming of it.”

Best-selling author Anne Lamott says, “Almost all good writing begins with terrible first efforts.” The quote is still valid if you replace the word “writing” with “youth.” Tea leaves become more fragrant when you crush them. The sweat in Rio proves it.

JoongAng Ilbo, Aug. 25, Page 30


*The author is deputy editor of EYE24.

PARK SHIN-HONG



감동과 환호, 아쉬움과 안타까움이 교차했던 리우 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24일엔 대한민국 선수단 본진도 입국했다. 지난 17일간 지구 반대편에서 펼쳐진 각본 없는 드라마에 살인적인 열대야도 잠시나마 잊을 수 있었다.
밤마다 전해오는 승전보를 시시각각 속보로 처리하면서 유독 눈에 띄는 게 하나 있었다. 그것은 박인비의 신들린 롱퍼팅도 손흥민의 눈물도 아닌, 여자 태권도 67㎏급에서 금메달을 딴 오혜리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프로필에 올려놨다는 ‘피그말리온(Pygmalion)’이란 단어였다.
피그말리온은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키프로스의 왕이자 조각가다. 그는 ‘갈라테이아’라는 이름의 여인상을 조각했는데, 그 아름다움에 반해 그만 사랑에 빠지고 말았다. 피그말리온의 진심을 전해들은 여신 아프로디테는 그의 사랑에 감동해 여인상에 생명을 불어넣어줬다. 이후 그의 이름은 ‘간절히 원하고 기대하면 언젠가 이뤄진다’는 자기 충족적 예언이자 암시의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심리학에서도 이처럼 긍정적인 기대나 관심이 좋은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피그말리온 효과’라고 정의하고 있다. 이와 관련한 실증적 연구도 적잖다. ‘응답하라 1988’의 삽입곡 ‘함께’가 큰 인기를 모은 것은 ‘언젠가는 좋은 날이 찾아올 거야’라는 희망적 메시지에 힘입은 바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만년 2인자’라는 설움에 ‘국내용’이란 비아냥까지 받았던 오혜리에게 피그말리온은 절실하게 붙잡고 싶은 희망의 동아줄이었을 게다. 2008년엔 베이징 올림픽 국가대표 최종 선발전에서 탈락했고 2012년엔 런던 올림픽을 앞두고 허벅지 근육이 파열돼 꿈을 접어야 했던 그에게 세 번째 도전은 두려움 그 자체였을 게다. 과연 할 수 있을까, 내게 기회가 주어지기나 할까 확신조차 들지 않았을 게다. 하지만 그는 피그말리온이란 다섯 글자를 부여잡고 “잘 될 거야”라는 끊임없는 자기 암시를 통해 스스로를 응원하며 끝내 꿈을 이뤄냈다.
그렇다면 오혜리의 피그말리온에 ‘헬조선’을 살아가는 이 땅의 젊은이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 “맞아, 더욱 열심히 노력하면 좋은 날이 찾아올 거야”라며 다시금 각오를 다지게 될까. 아니면 “현실을 몰라서 하는 얘기다. 유리천장보다 더 단단한 콘크리트천장을 어떻게 뚫으란 말이냐. 피를 말리는 생존 경쟁에 직면한 우리 같은 청년들에겐 해당사항 없다”며 고개를 저을까.
오혜리의 성공은 흔치 않은 사례일 수 있다. 개천에서 용은 더 이상 나기 힘든 세상인 것도 맞다. 그렇다고 긍정의 힘을 애써 무시할 필요도 없다. 시각장애인이자 청각장애인이었던 헬렌 켈러도 “세상이 비록 고통으로 가득하더라도 그것을 극복하는 힘 또한 가득하다”고 고백하지 않았나. 베스트셀러 작가 앤 라모트는 “세상의 모든 뛰어난 글의 처음은 대부분 최악이었다”고 했다. ‘글’을 ‘젊은이’로 바꿔도 다르지 않다. 차는 짓이겨질수록 강한 향이 나는 법이다. 리우의 땀방울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박신홍 EYE24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