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fair hiring practices(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Unfair hiring practices(국문)

“What does your father do?” a teacher asked a student in the 2001 film “Friend.” The teacher implied that the student’s behavior was not exemplary because of family’s low background. Nowadays, it could be a sarcastic question to someone born with a silver spoon in their mouth, being on a track to success without competency because of their family background.

But eight out of ten companies ask these types of question to job applicants. They are required to write their parents’ occupation on their application.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nd the Korea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surveyed HR managers at 518 companies in Korea.

The companies ask the professions, positions, academic background and even income and assets of the applicant’s parents. They are looking at the parents’ background as selection criteria. We cannot help but doubt the fairness of this hiring process. It is extremely difficult to succeed with a humble background.

What do applicants think when they see questions about parents on the application? 29-year old Lee Chang-sik is working part-time jobs and has been seeking full-time positions for two years since graduating from college. “I was boggled when I saw the questions. I couldn’t help feeling helpless as this section could determine the outcome.”

What about the parents who took on hard labor to support the family? They may feel sorry to their children when they learn that the application requires stating what their parents do. They may feel that they have ruined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Moreover, 95 percent of the companies surveyed asked for a date of birth, meaning that they consider age. 10 companies even ask applicants for their height, weight and place of origin. Why does this information matter when the applicants are not trying to join a hometown association or a gym?

Businesses have pointed out creating merit-based compensation systems and productivity improvement as their major challenges. But it is a contradiction that they ask applicants questions unrelated to their qualifications or competency. Instead, they should focus on internship and community service experience and qualifications for the job. Gwon Gi-seob, director of Vocational Skills Policy Bureau of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said that hiring employees based on job competency is most important to enhance corporate competitiveness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Asking job applicants what their parents do and where their families come from is not different from the hereditary employment some labor unions practice. Passing down economic polarization is a serious social issue. Now, no one should have disadvantage for their backgrounds.

Let’s deviate from the outdated practice. We’ve had enough. There are too many heartbroken young jobseekers and parents.

JoongAng Ilbo, Aug. 25, Page 29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KIM KI-CHAN



"느그 아부지 뭐하시노?" 영화 ‘친구’에 나온 대사다. 영화 속에선 '아버지 직업이 변변치 못하니 네 행동이 그렇다'는 식의 기분 나쁜 복선이 깔려 있다. 시쳇말로 금수저라면 '실력도 없으면서 든든한 아버지 뒷배경 때문에 네가 떵떵거린다'는 비아냥으로 비칠 수 있다.
한데 우리나라 기업 10곳 중 8곳이 이런 질문을 응시생에게 한다. 입사지원서에 적도록 했다. 고용노동부와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518개 기업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부모의 직업, 직위, 학력에 심지어 월수입이나 재산상황까지 묻는다. 부모의 스펙을 채용기준으로 삼는다는 얘기다. 채용의 공정성을 의심케한다. 이래서야 개천에서 용 나기는 글렀다.
취업준비생이 입사지원서에 떡하니 자리한 부모의 스펙란을 채우며 어떤 생각을 할까. 대학을 졸업하고 2년째 아르바이트를 하며 취업문을 두드리고 있는 이창식(29)씨는 이렇게 말했다. "순간 멈칫할 수밖에 없다. 이 항목이 당락을 결정하는 것 같아 맥이 탁 풀리는 기분이 드는 건 어쩔 수 없었다."
"나는 이래도 자식은 잘 돼야지"라며 궂은 일 마다하지 않고 고생하는 우리네 아버지와 어머니의 심정은 어떨까. 입사지원서에 적힌 부모스펙 항목을 보면 괜스레 자식에게 미안한 마음부터 가지지 않을까. 자식의 앞날을 당신이 망치는 것 같은 자괴감을 느끼지 않을까.
이뿐 아니다. 조사대상 기업 중 95%가 생년월일을 물었다. 나이를 따진다는 의미다. 심지어 10곳 중 한 곳은 키나 몸무게, 본적까지 묻고 있었다. 향우회에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헬스클럽에 가입하는 것도 아닌데 이런 게 왜 필요한지 고개를 갸우뚱하게 한다.
경영계는 그동안 능력에 따른 임금체계 개편과 생산성 향상을 가장 중요한 현안으로 꼽아 왔다. 그러면서 직무능력과 아무 상관없는 응시자 뒷조사를 한다는 건 이율배반적이다. 오히려 인턴경력이나 사회봉사 경험, 직무에 맞는 자격 검증과 같은 데 공을 들여야 한다. 고용부 권기섭 직업능력정책국장은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인재양성을 위해선 직무능력을 우선시해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고, 그게 고용시장의 바람직한 모습"이라고 말했다.
일하려는 청년에게 부모의 자격과 본적 같은 걸 요구하는 행태는 일부 노조가 자행하는 세습고용과 다를 바 없다. 가뜩이나 양극화의 대물림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지 오래다. 이제 뒷배경에 불이익을 당하는 일이 있어선 안 된다. 그런 시대와 결별할 때가 됐다. "고마해라, 마이 묵었다 아이가?" 안 그래도 가슴아파하는 우리네 부모와 청년이 너무 많다.

김기찬 고용노동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