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unting household debt(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ounting household debt(국문)

Household debt backed by real estate is near a boiling point. It surged 8.7 trillion won ($7.9 billion) in August, another monthly record. Mortgage-backed loans increased even during the traditional slow summer season. Credit-backed consumer loans also jumped. The average home value has topped 300 million won across the nation and 500 million won in Seoul. Home values in southern Seoul are hovering beyond the levels when bubbles were at their peak in the mid-2000s.

The latest government actions to curb household debt only ended up refueling the real estate market. Apartment prices rose 0.2 percent last week to a new annual peak. Showrooms are packed and new apartment offers are hugely oversubscribed.

Household debt levels have reached alarming levels, both in quantity and quality. Consumer debt hit 1,257 trillion won as of the end of June , double the amount in 2007. For five years under the previous conservative government, household debt added 276 trillion won and 351 trillion won over the three years under the incumbent government. The debt increase is near 10 percent even as the economy has been running at a pace of mid-2 percent this year and household income contracted in the second quarter. Household debt against disposable income hit 164 percent last year, the world’s highest.

There is a limit to the policy of sustaining housing prices through debt. Consumption is dampened by an increase in debt rather than increased asset value from higher home prices.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in a recent report estimated that a 1 percentage-point rise in debt ratio reduces consumption by 0.06 percent. Economic data and sentiment go in different directions because of real estate. The only gain in the gross domestic product data over the last year was in the construction sector. Without the real estate market, the economy actually grew about 1 percent.

Growth cannot be sustained in such a way when there is no longer room to push interest rates further down. Restructuring actions could be delayed and economic fundamentals weakened. Authorities must deal with household debt and real estate prices even at the risk of undermining growth.

The IMF also has warned that the debt-to-income ratio of Korea is too high compared to neighboring countries. It advised it should gradually be lowered to between 30 percent and 50 percent from the current 60 percent through subtle navigation to steer a slow landing of the real estate market. The government must take concrete actions to address the overheated market by toughening regulations for new home purchases and group loans instead of cowardly steps to fend off speculative forces.


JoongAng Ilbo, Sept. 9, Page 30


8월 증가폭 또다시 사상 최고
분양권 전매제한·DTI 강화 등
부동산 과열 막을 대책 내놔야


부동산발 가계부채 경고음이 사방에서 울린다. 지난달 가계대출이 8조7000억원 늘어, 8월 증가폭으로는 최대를 기록했다고 한국은행이 어제 밝혔다. 부동산 비수기인데도 주택담보대출이 늘어난 데다 마이너스 통장과 같은 신용대출마저 급증했기 때문이다. 전국 평균 집값은 사상 처음 3억원을 넘어서고 서울은 5억원을 돌파했다. 서울 강남권은 6억원을 넘겨 집값 거품이 한창이던 2000년대 중반 수준을 추월했다. 지난달 25일 정부가 내놓은 가계부채 대책은 부동산 시장을 오히려 달구고 있다. 지난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2%를 넘겨연중 최고를 기록했다. 견본주택에 몰리는 인파가 줄어들거나 새 아파트 청약률이 수그러들 조짐도 없다. 가파르게 오르는 호가에 집주인조차 "무섭다"고 할 정도다.
가계부채는 이미 양과 질 모두 위험 수준에 이르렀다. 노무현 정부 말인 2007년 630조원에서 지난 6월 말 1257조원으로 꼭 두 배가 됐다. 이명박 정부 5년간 276조원, 박근혜 정부 3년 반 동안 351조원 증가하는 등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다. 올 경제가 2% 중반 성장하는 데 그치고, 2분기 가계소득이 마이너스를 기록했는데도 가계부채 증가율은 두자릿수를 기록할 기세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지난해 164%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가계부채로 집값을 올리는 정책의 효과가 한계에 달했다는 우려가 커질 수 밖에 없다. 집값 상승에 따른 자산효과보다 부채 증가에 따른 소비 위축이 크다는 지적이 잇따른다. 국제통화기금(IMF)는 최근 보고서에서 "가계부채 비율이 1%포인트 높아지면 소비가 0.06% 감소한다"고 분석했다. 경제지표와 체감경기가 따로 노는 것도 부동산 영향이 크다. 지난 1년간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의 절반이 건설 투자 증가에 따른 것이었다. 부동산을 빼면 실제론 1%대 성장이란 얘기다.
금리를 무작정 더 내릴 수 없는 상황에서 이런 방식의 성장을 지속할 순 없다. 구조개혁은 커녕 경제의 체력을 약화시킬 뿐이다. 성장률 같은 수치의 유혹을 떨쳐내고 가계부채와 부동산 문제를 직시할 때가 됐다. IMF도 "한국의 총부채상환비율(DTI) 한도가 주변국에 비해 높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며 현재 60%인 DTI 비율을 점진적으로 30~50% 수준까지 내리고 아파트 집단대출에도 적용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소한의 대출 건전성을 확보해 부동산이 경착륙할 위험을 사전에 줄이라는 얘기다. 분양권 전매 제한과 청약 자격 강화, 집단대출에 대한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적용과 같은 방안도 미룰 이유가 없다. 이런 조치로 시장이 급랭할 수 있다는 정부의 우려는 자기 모순이다. 투기적 수요를 억제한다고 시장이 얼어붙는다면 이미 정상적 시장이 아니다. 정공법이 아닌 곁가지 대책으로 가계부채를 다룰 수 있는 단계를 넘어섰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