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mayor’s weird love for circus(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eoul mayor’s weird love for circus(국문)

Seoul Mayor Park Won-soon has vowed to build a park in the overpass near Seoul Station and promote the Nodeul Island project. He has also expressed the need to set up a circus school a number of times. Last year, he met with Gilles St-Croix, Vice President of Cirque du Soleil, when the company visited Korea.

On Sept. 8, Park visited Cirque du Soleil headquarters in Montreal, Canada, and declared that he would benchmark the theater production and create a Korean version of Cirque du Soleil. He announced a plan to invest 11.5 billion won ($10.2 million) by 2018 to build a training facility, performance center and academy.

The project is rather surprising. It was a typical rightist administrative tactic to use government funding to make new facilities and structures under the banner of cultural promotion. The citizens who remember Park’s unassuming attitude and deviation from authoritarianism find it strange.
Cirque du Soleil is now an icon of blue ocean strategy, but it started humbly with some 20 street performers in Quebec in 1982. The Quebec government was seeking a cultural product to represent Canada and offered $1 million to them in 1984. So it was not the government’s initiative, but the keen eye to notice unknown artists that made Cirque du Soleil one of the most successful theater productions. In 1998, Cirque du Soleil produced the water show O in Las Vegas, and today, its annual revenue is over 1.5 trillion won.

But the legend is growing old. Since 2010, Cirque du Soleil is struggling. The resident performances in Tokyo and Macao have ended, and last year’s Seoul tour of Quidam was a failure. Critics say circus performances are limited due to lack of narrative. Countless circus productions followed, but none were successful. It is a vain dream to hope for enormous added value by moving into the circus market, which has already become a red ocean.

In fact, the Park Geun-hye government is second to none when it comes to taking credit for cultural projects. It has set cultural prosperity as a basis of state administration and committees have been created for cultural belts and complexes. But the only work that President Park has done seems to be visiting a movie theater on Culture Day.

One of the rare successful cases of cultural initiative may be France in the 1980s. The Mitterrand government could leave notable accomplishments in arts and culture because President Mitterrand was culturally refined and was in power for over ten years. It takes time for culture to mature. By nature, it cannot go along well with politics, where immediate outcomes win votes.

Perhaps Mayor Park will have to change direction or instead give up his presidential ambition and serve the third term as mayor to establish a circus in Seoul. Then again, there are many projects other than this that can win the people’s hearts.

JoongAng Ilbo, Sept. 14, Page 26


*The author is the deputy cultur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CHOI MIN-WOO




박원순 서울시장의 대권 행보가 가속페달을 밟고 있다. 그 매개는 '문화'인 듯싶다. 서울역 고가공원화와 노들섬 프로젝트를 천명할 때부터 징후는 엿보였다. 특히 서커스에 대한 관심이 커 서커스학교의 필요성을 수차례 언급했고, 지난해 태양의서커스 질 생크루아 수석부사장이 내한했을 때는 따로 만났다고 한다. 급기야 박 시장은 8일(현지시간) 캐나다 몬트리올 태양의서커스 본사를 방문해 이곳을 벤치마킹한 '한국판 태양의서커스'를 만들겠다고 공언했다. 전용 연습실 신축, 공연장 조성, 아카데미 운영 등 2018년까지 예산 115억원을 투입하는 방안도 발표했다.
이런 풍경, 의외다. 비록 문화의 외피를 둘렀지만 관(官)이 나서서 돈을 들여 새로 짓고 요란을 떠는 건 우파의 전형적인 토목행정·전시행정 아니던가. 권위적 리더십을 탈피해 배낭 둘러메고 청계천을 터벅터벅 걸었던, 박 시장의 소탈한 모습을 기억하는 시민들에겐 낯설기만 하다.
지금은 블루오션의 아이콘이지만 태양의서커스는 1982년 퀘벡 지역의 거리 곡예사 20여명이 뭉쳐 창립했다. 특히 캐나다 대표 문화상품을 찾던 퀘벡 정부가 1984년 이들에게 100만달러를 지원한 게 성장의 결정적 계기였다. 즉 태양의서커스를 키운 건 정부의 '주도'가 아닌, 무명의 예술가를 알아 본 '안목'이었다. 98년 라스베이거스에 상주공연 '오(O)'를 입성시키며 태양의서커스는 비로소 잭팟을 터뜨렸고, 현재 연매출 1조5000억원을 상회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신화도 이젠 진부해졌다. 2010년 이후부터 태양의서커스도 정체기에 접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이미 도쿄·마카오 등 아시아 상주공연은 철수했으며, 지난해 서울 투어(퀴담)도 실패했다. 내러티브가 빈약한 서커스의 한계 아니냐는 지적이다. 무엇보다 숱한 이들이 후발주자로 나섰지만 누구도 성공하지 못했다. 어느새 레드오션이 된 세계 서커스 시장에 기반이 취약한 한국이 발을 내디뎌 엄청난 부가가치를 곧 창출하리라 기대하는 건 그야말로 몽상이다.
사실 문화로 생색내는 건 박근혜 정부도 뒤지지 않는다. 문화융성을 국정기조로 내세우고, 위원회를 만들어 문화벨트·단지를 조성했지만 '문화가 있는 날' 대통령이 영화관 찾은 것 외에 딱히 떠오르는 게 없으니 말이다. 그나마 해외에서도 문화행정의 성공 사례로는 1980년대 프랑스가 꼽힐 정도다. 당시 미테랑 정부가 문화분야에서 뚜렷한 족적을 남길 수 있었던 데엔 미테랑 대통령의 풍부한 소양만큼 10년 이상 오래 집권해서 가능했다는 분석이다. 그만큼 '숙성'의 시간이 필요한 게 문화다. 당장 성과를 내 표를 얻어야 하는 정치와 본질적으로 공존하기 힘든 이유다.
그러니 박시장은 이제라도 궤도수정을 해야 하지 않을까. 대권을 포기하고 시장을 세 번 연임해 서울에 서커스를 뿌리내리겠다는 의지가 아니라면 말이다. 사람을 혹하게 하는 건 서커스 말고도 많다.

최민우 문화부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