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g Owe or what?(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Big Owe or what?(국문)

In 2007, I went to Montreal, Canada, to cover the U20 World Cup soccer event. Korea’s U20 team, with current veteran players like Ki Sung-yueng and Lee Chung-yong as members, drew with the United States and Poland and lost to Brazil, before being eliminated in the preliminary round. The Korean team played three games in Montreal’s Olympic Stadium.

Built as the main stadium for the 1976 Montreal Olympics, it is an indoor stadium with a retractable roof. It once was the home field for Montreal Expos, but since the team moved in 2004, the stadium has been only occasionally used for events and exhibitions. During the U20 World Cup, the baseball scoreboard was covered with a black curtain, and the baseball field was fenced off to create a rectangular soccer field.

The construction cost for the stadium was set at 134 million Canadian Dollars ($101 million), but it took 1.61 billion to complete due to a number of design changes and accidents. The debt was cleared in 2006, 30 years after the Olympics. It is nicknamed “the Big O,” but Canadians call it “the Big Owe.”

On September 21, Mayor of Rome Virginia Raggi announced her opposition for the 2024 Olympic bid. She said that hosting the Olympics is “irresponsible, unsustainable and unaffordable.” More surprisingly, she said that Rome was still paying off debts from hosting the 1960 Olympics.

We have 500 days until the opening of the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ccording to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s report on how prepared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are, made public in July, the event is expected to result in at least a 224.4 billion won ($202.3 million) deficit. This number is likely to grow during the remaining preparations and the actual event.

But no matter how the issue is addressed, the government authorities, including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Gangwon Province and the organizing committee are not willing to listen. It has become a fad to ignore the advice that is not pleasing to your ears.

Saenuri Party’s Yeom Dong-yeol, whose district is Pyeongchang, submitted a revision proposal for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on September 18. He proposes to leave the post-Olympic management of the Winter Games facilities to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Commemorating the Seoul Olympics, and to take out “Commemorating the Seoul Olympics” from the foundation title.

While the justifications are budget saving and efficiency, his true intention is obvious. He wants to spread the post-event management costs for so many facilities constructed despite national opposition, not just among the Gangwon residents, but all Koreans. After all, it is the voters in his district that elect him a lawmaker.

How about the lawmakers based in constituencies in Incheon? Incheon is struggling with the debt it incurred from hosting the 2014 Asian Games. Why don’t they further revise the National Sports Promotion Act and have the Korea Sports Promotion Foundation, and the nation’s citizens, take on the burden of maintaining the stadiums from the Asian Games?

JoongAng Ilbo, Sept. 26, Page 30


*The author is the editor of the JTBC Digital News Room.

CHANG HYE-SOO


2007년 여름, 20세 이하(U20) 월드컵 축구 대회 취재차 캐나다 몬트리얼에 갔다. 지금은 한국 대표팀 고참인 기성용·이청용 등이 뛴 U20 대표팀은 미국⋅폴란드와 비기고 브라질에 한 점 차로 져 조별리그에서 탈락했다. 당시 한국의 세 경기가 열린 곳이 몬트리얼 올림픽 경기장이다.
1976년 몬트리얼 올림픽 주경기장이었던 그 곳은 지붕 개폐식 실내 경기장이다. 여닫는데 드는 막대한 전기료와 관리 비용 탓에 햇빛이 필요한 천연잔디 대신 인조잔디가 깔려 있다. 한때는 메이저리그 몬트리올 엑스포스(현 워싱턴 내셔널즈) 홈 구장이었으나 2004년 구단이 연고지를 옮긴 뒤로는 이벤트 전시장 정도로 사용됐다. U20 월드컵을 열면서 야구장 전광판이던 한 쪽 벽면은 검정색 휘장으로 가렸고, 부채꼴 야구장은 펜스를 둘러 직사각형 축구장으로 꾸몄다. 유랑 서커스단의 쇠락한 천막 공연장을 보는 듯했다.
이 경기장의 설계 당시 건설 비용은 1억3400만 캐나다 달러. 그러나 잦은 설계 변경과 사고 탓에 16억1000만 캐나다 달러를 투입하고서야 완공할 수 있었다. 그 빚은 올림픽이 끝난지 30년 만인 2006년 다 갚았다. 그 때문에 경기장 별명도 ‘더 빅 오(The Big O)’라 쓰고 ‘The Big Owe(빚더미)’라 읽는다.
지난 21일 이탈리아 로마의 비르지니아 라지 시장이 2024년 올림픽 유치 반대를 선언했다. 그는 “올림픽 유치를 지지하는 건 무책임하고 지속 가능하지도 않고 감당할 수도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더 놀라운 사실은 “로마가 1960년 올림픽 개최를 위해 진 빚을 아직도 갚고 있다”는 것이다. 60년 가까이 빚을 갚는 로마와 비교할 때 30년 만에 빚을 턴 몬트리올은 ‘선방’한 셈이다.
내일로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막까지 꼭 500일 남았다. 지난 7월 공개된 감사원의 ‘평창동계올림픽 준비 실태’ 감사 결과를 보면 예상 적자 규모가 최소 2244억원이다. 남은 준비와 실제 대회 운영에서 그 규모가 늘면 늘지 줄지 않을 게 뻔하다. 그 정도는 이제 국민들에게도 ‘상식’이다. 입을 다물고 있는 건 아무리 지적해도 문화체육관광부 등 정부 당국과 강원도 및 조직위 등 주최 측에게 ‘쇠 귀에 경 읽기’이기 때문이다. 옳지만 싫은 소리를 들으려 하지 않는 게 유행인 시대다.
그 와중에 강원도 평창이 지역구인 새누리당 염동열 의원이 지난 18일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평창 동계올림픽 경기장의 사후관리를 ‘서울올림픽기념 국민체육진흥공단’에 맡기자는 것이다. 공단 명칭에서 ‘서울올림픽기념’을 떼자는 내용도 있다. 겉으로 내세운 명분은 예산 절감과 효율성. 하지만 속내가 뻔하지 않은가. 국민적 반대를 무릅쓰고 건설을 밀어붙인 그 많은 경기장의 사후 관리 비용 책임을 강원도민만 지지 않고 온 국민에게 나눠 지우겠다는 것 아닌가. 어차피 의원으로 뽑아주는 건 지역구민이니까.
인천광역시 지역구 의원들은 느끼는 게 없나. 인천도 2014년 아시안게임 개최에 따른 빚더미에 짓눌려 허덕이는데, 국민체육진흥법을 더 고쳐서 아시안 게임 경기장 관리까지 국민체육진흥공단에, 아니 온 국민에게 떠맡기지 않고 말이다.

장혜수 부장/JTBC 디지털뉴스룸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