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question of basics(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question of basics(국문)

Korea suddenly feels smaller when Nobel Prize season comes around. Despite its stature as one of the ten largest economies, it has not won a prestigious prize in science in the entire 116-year history of the Nobel Prize.

Japan had another Nobel laureate this year: Dr. Yoshinori Ohsumi, an honorary professor of physiology at the Tokyo Institute of Technology. Ohsumi, 71, has devoted 50 years to the study of autophagy, the destructive mechanism of the cell that disassembles dysfunctional components. The fruits of his life-long research are widely used for the treatment of cancers or incurable diseases.

Japan has emerged as a frontrunner in basic science after grabbing Nobel Prizes in scienc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with a total of 22 winners. China is not doing bad either. Last year, China exulted at the news that Tu Youyou, 85, won the Nobel Prize for Physiology or Medicine for her work in helping to create an anti-malaria medicine.

Korea is a different story. No Korean scientist has ever been nominated for the distinguished prize even though Korea annually invests 8.6 trillion won ($77.2 billion) — or 4.28 percent of its gross domestic product — to research and development. That figure nearly tops the global rankings. In terms of share of GDP, Korea’s R&D investment exceeds the United States and Japan. The share is twice that of China.

What’s the reason for this astounding gap between spending and results?

The government has a dismissive attitude toward basic science and a very short term approach to scientific studies in general. Even if budgets for research increase, they are focused on applied science like semiconductors or telecommunications — an easy source of profit. For instance, after artificial intelligence became a hot issue following the battle between Korean Go player Lee Se-dol and Alpha Go, the government swiftly drew up a blue print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style Alpha Go.” Local scientists even submitted a collective petition to the government after complaining that only six percent of its 19 trillion won budget for research is earmarked for basic science.

You cannot raise competitiveness in basic science overnight. The government must listen to Prof. Ohsumi’s remark that it can take 100 years for scientific research to help a society. The government must allocate 47 percent of its research budget to basic science. Academia must drastically change its top-to-bottom working culture and prioritize long-term research over short-term returns. We cannot envy our neighbors forever.

JoongAng Ilbo, Oct. 5, Page 30


세계 10위권의 경제 강국인 우리나라는 노벨상 시즌만 되면 움츠러든다. 116년의 노벨상 역사상 국가 과학기술의 척도인 과학분야의 수상자를 한 명도 내지 못해서다. 일본은 올해도 도쿄공대 오스미 요시노리(大隅良典·71) 명예교수가 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오스미 교수는 세포 내 손상된 소기관 분해 역할을 하는 '자가포식(autophagy)' 연구에 50년을 몰두했다고 한다. 평생을 바친 그의 성과는 암이나 신경난치병 치료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 이로써 일본은 3년 연속 과학상, 총 22명의 과학상 수상자를 배출한 기초과학 최강국의 입지를 다졌다. 중국도 사상 처음으로 지난해 생리의학상을 받아 온 나라가 들썩였다.
우리는 이웃의 축제를 구경만 하는 처지다. 수상은커녕 후보 명단에도 올리지 못하고 있다. 우리의 연구개발(R&D) 투자비중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4.29%(86조원)로 세계 최고 수준이다. 미국·일본을 앞섰고 중국의 두 배나 된다. 그런데 왜 이런 일이 벌어지는 걸까.
그 근본 원인을 정부의 기초과학연구 홀대와 단기성과 위주의 평가에서 찾아야 한다. 연구예산이 늘어나도 당장 돈벌이 되는 반도체·통신 등에만 매달릴 뿐 응용·첨단기술의 토양인 기초과학은 뒷전으로 미룬다. 올 3월 인공지능(AI) 알파고가 뜨자 정부가 진행하던 기초연구 대신 ' 한국형 알파고'계획을 급조한 게 그 예다. 오죽하면 국내 과학자들이 연간 정부 연구비 19조원 중 고작 6%가 기초과학에 제공된다며 집단 청원을 냈겠는가.
기초과학의 경쟁력은 하루아침에 생기지 않는다. "과학이 사회에 도움이 되려면 100년이 지날 수도 있다"는 오스미 교수의 말을 되새겨야 한다. 일본처럼 젊은 과학자가 도전적으로 연구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장기간 집중투자하고, 미국처럼 정부 연구비의 47%를 기초과학에 대주고 연구자가 직접 주제를 정하도록 하는 풍토 조성이 시급하다. 홈런보다는 단타위주의 '빨리빨리' 평가시스템과 토론 없이 위계만 앞세우는 연구실 분위기도 뜯어고쳐야 한다. 언제까지 이웃의 축제를 부러워 해야만 하는가.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