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dicament of working women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Predicament of working women (국문)

At first, I wondered if it was really about Korean companies. The Federation of Korea Industries released a report on work-life balance and system at the top 500 companies on Oct. 4, and 83.2 percent of the companies had a female workforce program. Nearly eight out of 10 companies, 78 percent, offered maternity and childcare support programs that exceeded legal standards. They are mostly doing very well, so why do working women and mothers still struggle? Are they simply whining?

The reasons can be found in the report. Most companies responded that they have female workforce training programs (30.9 percent, multiple responses) and consultation bodies such as a committee to create female-friendly working environments (23 percent). Relatively few companies have programs that lead to substantial utilization of the female work force such as hiring women whose career had been discontinued (18.8 percent), setting a quota for women in the hiring process (16.8 percent) and quotas for promotion (11 percent).

In fact, there are not many programs for female workers at large conglomerates. Most of them are the “female leadership” aspiration events and women’s networking events, which have become a fad in the last few years. A female executive would speak to the female workers on her secret to maintain work-life balance and listen to their concerns. But it didn’t seem to help to nurture female leaders as the percentage of female executives at major corporations remains the same, 2.3 percent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Such events also exclude women who are not married or have no children.

The maternity and childcare support is also dubious. Six in 10 companies classify “installation of women’s lounge” (59.7%) as a childcare support program. A lounge is a necessary space for all workers. It is regrettable that the company thinks that a lounge would help work-life balance. Only 41.4 percent of the companies had flexible work hours, which female workers with young children find most useful.

“It was really hard to work, barely using vacation days and annual leave to care for my child. Many of the co-workers would be able to overcome the temptation to quit if there were more variety of work hours,” said a female executive. She said that it got easier after her child entered middle school this year.

Companies are still suspected of perceiving maternity and childcare issues as the responsibility of women.

Industry insiders say that few men apply for paternity leave. It takes great courage for a man to take a leave to care for a child. If a company really values work-life balance, the fixed idea of associating child care with women should be expanded to parental duty. Until then, the predicament of working women will not improve.

JoongAng Ilbo, Oct. 5, Page 29


*The author is an industry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JEON YEONG-SEON



처음엔 정말 우리나라 기업 얘기 맞는지 의문이 들었다. 4일 발표된 전국경제인연합회 ‘500대 기업 일ㆍ가정 양립과 제도’ 조사에 따르면 기업 10곳 중 8곳(83.2%)은 ‘여성인재 활용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 10곳 중 8곳 가까이(78%) ‘법정의무제도 이상의 출산ㆍ육아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다. 대부분 잘 하고 있다는 말인데, 도대체 왜 여전히 일하는 여성, 일하는 엄마의 아우성은 계속될까. 그저 엄살일까. 찬찬히 뜯어보면 같은 조사에서 그 이유를 찾을 수 있다. 대부분의 기업이 여성인재활용제도로 꼽은 제도는 ‘여성 인재 육성 교육ㆍ프로그램’(30.9%·복수응답), ‘여성친화적 근로 문화 조성을 위한 위원회 등 협의기구 설치’(23%) 등이다. ‘경력단절여성 고용’(18.8%), 신규채용의 여성 할당(16.8%), 진급자를 여성에게 할당(11%)처럼 실질적 여성 인력 활용으로 이어지는 제도 도입률은 상대적으로 낮다.
사실 대기업의 여성 인재 육성 프로그램의 종류는 그리 다양하지 않다. 대부문 몇년 전부터 유행하기 시작한 ‘여성 리더십’ 고취 행사와 여성 네트워킹 행사다. 이는 여성 임원이 여직원들에게 ‘일·가정 양립 비결’ 노하우를 전하고 고충을 들어주는 자리다. 하지만 거의 움직이지 않는 대기업 여성 임원 비율(2.3%·여성가족부)로 볼 때 여성 리더 배출에 큰 도움이 된 것 같지는 않다. 오히려 비혼 여성, 무자녀 여성을 배제하는 역효과도 있을 수 있다. 기업이 마련한 출산ㆍ육아 지원제도 종류도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응답 기업 10곳 중 6곳은 ‘여성전용휴게실 설치’(59.7%)를 출산 육아 지원책으로 분류하고 있었다. 근로자 휴게시설은 사람이면 당연히 필요한 공간이다. 이를 설치한 뒤 일과 가정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했다니 한숨이 나온다. 어린 자녀를 둔 여성 근로자가 가장 필요하다고 꼽는 유연근무제를 시행하는 기업도 10곳 중 4곳(41.4%)에 그쳤다. “엄마를 찾는 아이 때문에 휴가 내고 반차 내면서 회사 다니기 정말 힘들었다. 다양한 근로 형태가 있었더라면 퇴직 유혹의 ‘고비’를 넘겼을 동기들이 많았을 것이다.” 올해 자녀가 중학교에 가면서 겨우 한숨 돌렸다는 한 대기업 여성 부장의 말이다.
기업이 출산·육아의 문제를 여성만의 문제로 보고 있다는 ‘혐의’는 여전하다. 기업 관계자들은 “남성육아휴직 신청 건수는 한자릿수”라고 전한다. 남성이 집에서 애를 보겠다고 휴직하려면 상당한 용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기업이 정말 일과 가정의 균형을 중요하게 생각한다면 엄마의 영역으로 고착화된 육아를 부모의 영역으로 확대해야 한다. 그러기 전에 일하는 여성의 고충은 줄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전영선 산업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