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ve centers or ‘zoos’?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Creative centers or ‘zoos’? (국문)

On September 7, 2010, I went to Gwangjang Market in Yeji-dong, Seoul. That morning, then Smile Microcredit Bank chairman Kim Seung-yu and SK Group chairman Chey Tae-won went around the market promoting micro-credit products for people with low income and low credit. They had pancakes with merchants at a street vendor and promised to consistently expand micro financing.

At the end of 2009, the government started the initiative by creating a foundation based on donations from major corporations and financial companies as well as dormant deposits. Six years have passed, and when you search “Smile Microcredit Bank,” it redirects to the Korea Inclusive Finance Agency. The state-run microcredit business was absorbed by the agency that was founded on September 23.

The fate of Smile Microcredit Bank reminds me of the Creative Economy and Innovation Centers. As the core initiative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a major company is in charge of a center in 17 regions to provide assistance and support for startup companies. The outcomes and future of the creative center are controversial. Just as the microcredit bank got absorbed and the Green Growth Experience Center disappeared, many projects that the creative center may close when the administration changes. Ahn Cheol-soo of the People’s Party called the creative centers “state-certified zoos” and criticized that they aggravate the structure of small and medium companies being subordinate to conglomerates. There had been support for startups and small businesses before the creative centers were established. Techno Parks and Regional Intellectual Property Centers have similar functions. The South Chungcheong Creative Center, which I visited last year, is actually located within a techno park. The redundancy of techno parks, regional intellectual property centers and creative centers is constantly addressed.

The Korea Inclusive Finance Agency wants to provide user-oriented customized financial support for working-class citizens by integrating the Smile Microfinancing and Sunshine loan products. It is a good initiative. While the absorption of the smile financing into the Korea Inclusive Finance Agency may be considered an attempt to erase the trace of the preceding administration. But as long as it accomplishes what it aims to, it won’t matter.

The same goes for the creative centers. If they work and produce outcomes, it won’t matter if it started for the administration to show off.

Startup companies need support and assistance. But the government needs to provide support systematically. The first creative center was established in Daegu in September, 2014, and it’s been over a year since the 17-center structure was completed in July 2015. The opposition party criticizes the program, while the government claims it is going well. It’s about time we make objective and detailed analysis on the outcomes and problems so far. Many of us wonder if they really are zoos or not and how the funding from the government and companies is used.

JoongAng Ilbo, Oct. 10, Page 30


*The author is a deputy national news editor of the JoongAng Ilbo.

YUM TAE-JUNG



2010년 9월 7일 서울 예지동 광장시장에 갔었다. 이날 오전 당시 김승유 미소금융중앙재단이사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은 직원들과 함께 가슴에 띠를 두르고 저소득ㆍ저신용자를 위한 소액대출인 미소금융(micro-credit)을 알리기 위해 시장 곳곳을 돌아다녔다. 노점에서 상인들과 빈대떡을 나눠 먹으며 미소금융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것이라 했다. 2009년 말 정부 주도로 대기업ㆍ금융회사에서 낸 기부금ㆍ휴면예금을 바탕으로 재단을 만들어 사업을 확대해 나가던 때였다. 6년이 지난 지금 인터넷 검색창에 미소금융중앙재단을 치면 서민금융진흥원이 뜬다. 미소금융사업은 지난달 23일 출범한 진흥원에 흡수됐다.
미소금융사업의 흡수를 보면서 창조경제혁신센터가 떠올랐다. 박근혜 정부의 역점 사업으로 17개 권역별로 전담 대기업이 창업 초기 기업을 지원ㆍ육성하는 곳이다. 창조센터의 성과와 미래를 두고 말이 끊이지 않는다. 미소금융이 흡수되고, 녹색성장 체험관이 슬그머니 사라졌듯 창조센터도 정권이 바뀌면 없어질 거라 보는 이가 적지 않다. 안철수 국민의당 의원은 창조센터를 ‘국가 공인 동물원’으로 부르며 중소기업의 대기업 종속구조를 심화시킨다고 비난했다. 창업 초기, 중소 기업에 대한 지원은 창조센터 이전에도 있었다. 지역별 테크노파크, 지식재산센터가 대표적이다. 똑같지는 않지만 비슷한 역할을 한다. 지난해 가 본 충남창조센터는 아예 지역 테크노파크 안에 있다. 테크노파크ㆍ지식재산센터와 창조센터의 업무 중복 문제도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7일 열린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회 국감에서도 창조센터를 둘러싼 논란이 뜨거웠다. 야당 의원들은 성과없는, 정권 치적용이라고 비난했다. 창조센터가 지원하는 기업(1102개) 가운데 연락처도 제대로 파악 안 되는 곳이 절반(547개)에 달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동물원’도 언급됐다. 홍남기 미래부 1차관은 그런 비난성 발언은 창업자들의 사기를 저하할 뿐이라고 반박했다.
서민금융진흥원은 미소금융ㆍ햇살론 등을 통합해 종합적ㆍ유기적인 지원체계를 갖춰, 공급자 중심 지원에서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서민금융 지원에 힘쓰겠다고 했다. 좋은 일이다. 진흥원의 미소금융 흡수에 전 정권의 흔적 지우기란 일부 시각도 있지만, 성과를 낸다면 문제가 되지 않는다.
창조센터도 마찬가지다. 성과를 낸다면 정권 치적용이든 아니든 중요하지 않다. 창업 초기 기업의 육성ㆍ지원은 필요한 일이기 때문이다. 그렇다고 마냥 지원할 수는 없다. 창조센터는 1호 대구(2014년 9월)를 기준으로 하면 2년, 17개 센터가 갖춰진 시점(2015년 7월) 기준으로 해도 1년이 넘었다. 야당은 비난 일색이고, 정부는 잘하고 있다는 건데, 그간의 성과와 문제점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밀한 분석이 필요한 때다. ‘동물원’인지 아닌지, 정부ㆍ대기업의 지원금은 잘 쓰이는 건지 궁금한 게 많다.
염태정 내셔널 부데스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