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low Natasha to go to school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llow Natasha to go to school (국문)

“Two more have joined us since then,” said Kim Han-sol, a teacher at Shinchang Elementary School in Asan-si, South Chungcheong, on Oct. 11. I first visited the school on Sept. 28, and there were 35 foreign-born immigrant children. In less than two weeks, two more students came to the school. The teachers at Shinchang Elementary School expect the number to reach about 60 by the end of the year.

These foreign-born immigrant children would make up 14 percent of the school’s entire student body of 420.

The immigrated children were born and grew up in another country and brought to Korea by immigrants who married a Korean. Or they are the children of migrant workers. The government estimates that there are about 12,000 immigrated children in Korea. The number of immigrants is constantly growing, and the number of children is also increasing.

The Korean society is not ready to embrace them. In the case of Shinchang School, there is no teacher or employee who can interpret for them, and they use Google Translate to communicate with them. All the school can provide to help them adjust is a part-time teacher who teaches Korean language for an hour on a daily basis. Due to the budget constraints, it is not easy to increase the amount of Korean language instruction. The children have to sit in classes where they cannot understand. It is only natural that these children don’t like coming to school.

But the children who attend school are better off. Half of the immigrated children are not enrolled as their parents don’t know how to register them or are indifferent. The actual condition is hard to grasp. Some students fail to adapt to Korean schools and drop out. It is easy to find immigrated children at internet cafes in areas of concentrated migrant workers. They spend all day playing games. These young children are supposed to be in school.

But no one really care why these children are wandering around instead of going to school. It is often considered a foreigners’ problem.

An internet café owner in Daerim-dong, Seoul, said that many Chinese children come in the morning, and when he tells them to go to school, they would say they are not feeling well.

Natasha (her name has been changed), 12, came from Russia. She does not go to school and plays games in her room all day. She doesn’t get to enjoy the rights that her peers have. She does not have any friends. Still, Natasha says she likes Korea and wants to go to school.

We can no longer overlook the immigrated children issue. Their failure to adapt to Korean society may lead to social problems. Such signs are already showing. If they are left to wander around the periphery of the society, they will become like a time bomb. Natasha should be able to go to school. It is her right, and all of us are responsible.

JoongAng Ilbo, Oct. 14, Page 33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CHE SEUNG-KI


“그 새 두 명이 더 늘었어요.” 지난 11일 충남 아산시 신창초등학교의 김한솔 교사가 말했다. 중도입국 자녀 문제를 취재하려고 처음 이 학교에 간 것은 지난달 28일이었다. 그때 이 학교에 재학 중인 중도입국 자녀는 35명이었다. 2주가 채 안 되는 사이에 두 명이 더 학교로 왔다는 얘기다. 신창초 교사들은 올해 말에는 그 수가 60명쯤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전교생(420명)의 14%에 해당한다.
중도입국 자녀는 결혼이민자가 외국에서 태어나고 성장한 아이를 국내로 데려오거나, 외국인 근로자가 한국에 오면서 데리고 온 청소년이다. 정부는 현재 국내에 1만2000명 안팎의 중도입국 자녀가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외국에서 오는 이주자가 계속 늘고 있어 이들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우리 사회는 이들에 대한 준비가 돼 있지 않다. 신창초의 경우 통역이 가능한 교원이나 직원이 없어 구글 번역기로 아이들과 소통한다. 하루에 한 시간씩 아이들을 위해 계약직 교사가 한국어 수업을 하는 게 이들의 적응을 위한 교육의 전부다. 예산 문제 때문에 이 수업 시간을 늘리기도 힘들다. 수업을 알아들을 수 없는 아이들은 멍하니 앉아 있을 뿐이다. 아이들이 학교에 오기 싫어하는 것은 당연하다.
그래도 학교에 오는 아이들의 상황은 좋은 편이다. 부모가 방법을 몰라서 또는 무관심해서 학교 밖에 머무는 아이들이 절반가량인 것으로 추정된다. 정확한 실태는 파악조차 안된다. 학교에 갔다가도 적응을 못해 그만두는 경우도 많다. 이런 학교 밖 중도입국 자녀들은 외국인 밀집 거주 지역의 PC방에서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온 종일 앉아서 게임만 하며 시간을 보낸다. 딱 봐도 학교에 있어야 할 애띤 얼굴들이다.
그런데 이들이 왜 학교에 있어야 할 시간에 밖을 떠도는지에 대해 별로 관심이 없다. 외국인의 문제로 치부하기 일쑤다. 서울 대림동에서 만난 한 PC방 사장도 “중국인 초등학생들이 종종 아침부터 와서 ‘학교에 가야지’하면 ‘아프다’고 핑계를 댄다”고 어쩔 수 없다는듯 말했다.

러시아에서 온 중도입국 자녀 나타샤(12ㆍ가명)는 학교에 가지 않고 하루 종일 단칸방에서 게임만 한다. 또래 아이들이 누려야 할 권리를 누리지 못한다. 친구도 없다. 그럼에도 나타샤는 “한국이 좋다”면서 “학교에 가고 싶다”고 말했다.
중도입국자녀 문제를 계속 방관할 수는 없다. 이들이 한국 사회에 대한 부적응은 사회적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미 그런 조짐도 보이고 있다. 이들이 계속 사회 주변부에서 떠돌게 두면 시한폭탄 같은 존재가 될 지도 모른다. 나타샤를 학교로 보내야 한다. 그의 권리이고, 우리 모두의 책임이다.


채승기 사회2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