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ward an Asian century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Toward an Asian century


The 21st century has been dubbed “the era of Asia.” After centuries of domination by the West in the wake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Asia will finally take center stage.

The continent is the world’s largest piece of land and home to 60 percent of the world’s population. Gross domestic product in terms of purchasing power, which had been less than 20 percent in the 1980s, now hovers at 40 percent. Asia’s contribution to the world economy is likely to grow bigger.

Kishore Mahbubani, a professor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advised Western policymakers and thought leaders to visit industrial complexes in Asia because “there may be a few valuable lessons to be learned” to solve the fallout from overreliance on the markets such as financial crises, economic inequalities and environmental problems. They can learn from the Asian development model, where fast growth and promotion of the middle class were possible through cooperation between markets and governments.

China’s influence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increased through its staggering growth. It has created a new regional lender, the 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and wants to connect China and the West through a new Silk Road under the One Belt, One Road initiative. The Chinese yuan has joined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basket of special drawing right to gain global reserve status along with the U.S. dollar, euro, British pound and Japanese yen. Chinese scholars are busy pitching the merits of Chinese capitalism and its unique growth model.

In ancient Assyria, Asia meant “the eastern land of the rising sun.” In the 21st century, the sun has set on the West and risen in Asia. But it is too early for Asians to call the 21st century their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still command enormous economic, political and military power. Economic growth in Asia has slowed, and so-called Asian capitalism has failed to address income inequality, financial instability and worsening environmental problems.

Can Asia claim leadership in the global economy? Endeavors by some Asian countries have been making progress. Japan’s Abenomics — a strong mix of fiscal and monetary policies and reform initiatives led by Prime Minister Shinzo Abe — has made strides in combating low growth and prices. The Chinese government under President Xi Jinping has succeeded in steering the colossal economy toward a soft landing by trying to shift its quantity-based growth to a quality-based model. Indian Prime Minister Narendra Modi has moved on to structural reform after overhauling the tax system while maintaining economic growth at above 7 percent.

Cooperation among Asian economies is as essential as individual expansion in order to make Asia the center of the world. Asian governments are closely dependent, but they do not have a cooperative system. The region can hardly strengthen systematic cooperation because of its weak sense of unity and gap in economic and military power. Conflicts over historical and territorial issues are deep. There is no political mechanism that can iron out differences when sovereignty claims and common regional interests collide.

Asia could win big with economic integration by lowering trade costs among neighboring nations. Economic integration could temper military and political conflicts and help with regional peace. An integrated Asia could have a bigger say over common interests on the international stage. Asian countries must pursue economic cooperation and integration to raise the region’s status on the global stage. Economic integration takes a lot of time. Europe was united through a steel alliance in 1951 and completed the European Union by 1993. Asia, too, can start from areas where it can start cooperating easily.

The regional countries must do away with trade barriers and accelerate cross-investment to expand their common market. They have to strengthen financial and currency services networking to fend off any financial dangers and stabilize the markets. They should share information and cooperate on climate, natural disaster, epidemic and environmental issues. Politicians, businessmen and intellectual leaders in the region must build dialogue channels to draw up a long-term vision for regional development.

There is a lot of room for mediating roles for Korea, as China and Japan cannot entirely take on leadership roles for the cooperation and integration of the Asian economy due to their power struggle for hegemony in the region. But Korea hasn’t been able to do its part because its economy has been sinking and has been grappling with income inequality, an aging population and industrial overcapacity. Korea has also failed to come up with a reliable diplomatic strategy against escalating geopolitical risks from conflict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nd China and Japan. Korea must redesign its economic development model and governance structure so that it does not fall behind in the new Asian age.





“21세기는 아시아의 시대”라는 말이 있다. 산업혁명 이후 몇 백 년에 걸쳐 세계를 지배했던 서구의 시대는 가고 이제 아시아가 주도하는 시대가 도래했다는 것이다.

아시아는 지구에서 가장 큰 대륙이며, 세계 인구의 60%가 거주한다. 세계 총생산(구매력 기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에는 20% 미만이었지만 지금은 40%에 달한다. 2015년에 중국의 비중은 17%로 미국, 유럽연합을 넘어섰다. 인도(7.1%), 일본(4.3%), 인도네시아(2.5%), 한국(1.6%)도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앞으로 아시아가 세계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질 것이다.

아시아의 대표 지식인인 싱가포르 대학의 키쇼어 마부바니 교수는 “서구 자본주의는 시장에 너무 의존하면서 금융위기, 경제 불평등, 환경 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한계에 도달했지만 ‘아시아 자본주의’는 시장과 정부가 협력하는 새로운 경제 발전모델로 지난 반세기 동안 고도성장과 중산층 육성에 성공했다고 했다. 이제 서양이 아시아로 부터 배워야 한다”고 했다.

중국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면서 국제 사회에서 영향력이 커졌다. 중국이 주도하는 새로운 세계경제기구인 아시아 인프라투자은행(AIIB)을 만들고 '일대일로'로 중국과 서구를 연결하려 한다. 위안화는 국제통화기금(IMF)의 특별인출권 통화바스켓에 포함되어 미국 달러, 유로화, 영국 파운드, 일본 엔화와 더불어 국제 통화의 반열에 올랐다. 중국학자들은 '중국식 자본주의'의 장점을 홍보하고 새로운 경제발전모델로 선전한다.

아시아(Asia)는 중동 메소포타미아의 앗시리아 제국의 언어로 ‘해가 뜨는 동쪽 땅’을 의미한다. 21세기에는 서구를 비추던 해가 지면서 새로운 해가 아시아에서 떠올랐다. 그러나 아직 21세기를 아시아의 시대로 부르기는 시기상조이다. 미국과 유럽의 경제·정치·군사적 영향력은 여전하고 아시아의 경제 성장 속도는 과거와 같지 않다. 아시아 자본주의 모델 또한 소득 불평등, 금융 불안, 환경 악화 등의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아시아가 세계 경제의 주도 세력으로 계속 커갈 수 있을까? 최근 아시아 국가들의 노력이 상당한 성과를 보이면서 그 가능성이 높다. 일본은 아베노믹스로 저성장·저물가를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여 상당한 성과를 거뒀다. 중국은 시진핑 정부가 양적 성장대신 질적 성장을 추구하면서 연착륙에 성공하고 있다. 인도의 나렌드라 모디 총리정부는 7%가 넘는 경제성장률을 유지하면서 세제 개혁에 성공하여 구조개혁에 박차를 가했다.

아시아 경제가 부상하기 위해서는 개별 국가의 경제 발전과 더불어 아시아 전체의 경제 협력이 중요하다. 아시아 국가들 간에는 상호 의존도는 높지만 제도적으로 협력 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 서로 간 동질감이 약하고 경제력, 군사력의 차이가 커서 지역 협력을 제도적으로 강화하기가 쉽지 않다. 국가 사이에 영토와 역사 분쟁으로 대립이 심하다. 국가 주권과 역내 공동 이익이 부딪히는 경우에 정치적으로 이를 해결할 제도가 아직 미흡하다.

아시아의 인접국가들 간에는 교역 비용이 낮아서 경제통합의 이득이 크다. 경제통합은 군사적, 정치적 마찰을 줄이는 효과가 있어 지역 평화에 도움이 된다. 통합 아시아는 국제무대에서 공동으로 역내 이익을 추구하는 데 유리하다. 따라서 아시아 국가들이 꾸준히 경제 협력과 통합을 추진하면 세계 무대에서 아시아의 위상을 높일 수 있다. 경제통합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린다. 유럽은 1951년 유럽석탄철강공동체를 시작으로 1993년 유럽연합으로 꾸준히 협력과 통합을 추진하였다. 가시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협력부터 차근차근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 상품과 서비스 교역의 장벽을 없애고 직접 투자를 활성화하여 공동시장을 확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금융․외환 협력도 강화하여 금융위기를 예방하고 금융 안정을 도모해야 한다. 지진·화산 등 자연재해, 전염병, 환경 문제도 서로 정보를 교환하고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 아시아경제공동체의 장기 비전을 함께 할 수 있도록 아시아의 정치인, 기업가, 지식인들 간에 대화체를 많이 만들어야 한다.

아시아의 패권을 놓고 다투는 중국이나 일본이 아시아의 경제 협력과 통합을 적극적으로 주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국이 이를 위한 중재자로서 역할을 할 수 있는 여지가 많다. 그러나 한국 경제는 계속 침체되고 소득 불평등, 저출산·고령화, 산업구조 재편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미·중, 중·일의 패권 경쟁과 북한의 핵개발로 동북아 정세가 불안하지만 아직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외교전략도 보이지 않는다. 더 늦기 전에 한국 경제의 발전 모델과 국가 지배구조를 새로 만들어야 21세기 아시아의 시대에 우리만 뒤처지지 않는다. 모두가 힘을 합쳐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