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cking revelation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Shocking revelations


Shocking revelations


In the fall of 2007, inter-Korean relations were very hot. The hotline between Seoul and Pyongyang was operating day and night. An inter-Korean summit meeting secretly arranged over the summer led to the Oct. 4 Declaration. Lee Myung-bak, a presidential candidate at the time with the opposition Grand National Party, called for a suspension of the summit ahead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in December. But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wished to speed up the development of relations with the North so that the next president could not reverse the improvement. It is like an outgoing CEO making a major decision so that the successor could not change the deal.

As a result, the Oct. 4 Declaration — which came a year after North Korea conducted its first nuclear test in October 2006 — could not touch the nuclear issue at all. In 2007, the Roh government was not interested in the issue probably because the year was a golden age for inter-Korean ties. Instead, an economic cooperation agreement that would require a 15 trillion won ($13 billion) budget provided a reason for the next administration to be pressured by Pyongyang.

The recently published memoir of a former foreign affairs minister, Song Min-soon, chronicles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Roh administration’s North Korea policy. Some opposition members say Song is growing old and that his memories may not be accurate. But that is not fair. Former U.S. Secretary of State Henry Kissinger published “On China” in 2011, recalling his orchestration of the normalization of relations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when he was the White House security adviser in July 1971. But no one denigrated the value of the memoir just because he was 88 years old at the time of publishing. Instead, younger students studied the experiences of the legendary diplomat and learned from the lessons of history.

In the run-up to the Roh administration’s abstention voting on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 in the United Nations in November 2007, Song recalled that Seoul decided to check Pyongyang’s opinion through the inter-Korean channel. The revelation is shocking in three ways.

First, the memoir suggests that the Roh government prioritized North Korea over the United Nations and United States on the North’s human rights issue. Back then, Seoul and Pyongyang were getting along, hosting a prime ministerial-level meeting from Nov. 14 to 16 after the summit.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was not interested in international cooperation. As a result, South Korea abstained from voting when the human rights resolution was passed with 97 in favor, 23 against and 60 abstaining on Nov. 21. The directly interested party deviated from the humanitarian flow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econd, the government’s indifference to North Korean human rights conditions was exposed. Song wrote, “The government zigzagged on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 from absence to abstention to favor and to abstention in four years.” Based on the argument that voting in favor might affect inter-Korean relations, the government turned a blind eye on the issue and stuck with a one-eyed policy.

Third, the view on North Korea by the former Minjoo Party chairman, Moon Jae-in, is charming but dangerous. He was Roh’s chief of staff and held the key to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foreign policy and security meetings at the Blue House. Recently, he launched a think tank and has become a de facto candidate for the next presidential election. It is not convincing that Moon labeled the allegations of prior consultation with Pyongyang as simply active inter-Korean dialogue. Kim Kyung-soo, a lawmaker and close aide of Moon’s, argues Seoul decided to abstain first and then notified Pyongyang of its decision. There was no collusion, and Seoul was simply checking Pyongyang’s reaction, he says. But if the government notified the North after the decision as Kim claims, there should be officials involved. Since Moon does not clarify who they were, a fire storm is inevitable.

I wonder if Moon would still check Pyongyang’s response and communicate with the North if he wins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becomes the commander in chief. It is understandable if he wants to ask when Pyongyang will give up its nuclear and missile programs. But it would be a shame if he calls Pyongyang using the direct line at Panmunjom and ask for opinions on key security decisions such as deployment of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system.

I am not discrediting the leading presidential hopeful. Some former West German officials cooperated with East Germany before reunification as a result of East German intelligence activities. With a nuclear threat hovering over us, Moon needs to clarify his views on security and North Korea.

A week after the North Korean human rights resolution passed the UN Security Council in November 2007, Song spoke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said, “When it comes to North Korean issues, we become so small.” Moon, who served in our special forces, needs to answer people’s questions about how he views North Korea.



의문이 꼬리 무는 문재인의 '대북 협의'설

2007년 가을은 남북관계가 뜨거웠다. 이상 과열이었다. 서울·평양 간 핫라인이 조석으로 가동됐다. 여름부터 은밀하게 추진된 남북정상회담은 결국 10·4 선언을 끌어냈다. 야당이었던 한나라당 이명박 대통령 선거 후보는 대선을 코앞에 두고 정상회담 개최는 무리라며 중단을 요구했다. 대선이 2개월 앞으로 다가온 상황에서 정상회담 개최가 타당했는지는 입장에 따라 평가가 다를 것이다. 다만 회담을 주도한 노무현 정부 인사들은 남북관계에 최대한 속도를 내 차기 대통령이 되돌릴 수 없는 수준에 올려놓으려 했다. 후임 사장이 회사에 손 대지 못하게 전임 사장이 대못을 박은 셈이었다.

그 결과 2006년10월 북한이 첫 핵실험을 강행한지 1년만에 나온 10·4 선언은 핵과 관련해선 ‘ㅎ’ 자도 담지 못했다. 북한의 첫 핵실험은 이후 4차례나 더 이어지면서 북한이 핵무기 보유국 대열에 오르게 만든 서막이 됐지만 2007년은 남북관계의 황금기(?)라 그랬는지 정부는 관심이 없었다. 오히려 15조원 가까운 예산이 들어갈 남북경협 합의로 차기 정부가 북한에 압박당할 빌미만 제공했다.

최근 발간된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의 회고록은 노무현 정부의 대북정책 결정과정을 처음으로 소상히 기록했다는 점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다. 야당 일각에선 "송 전 장관이 고령(68세)이라 10년 전 기억이 가물가물할 것"이라며 폄하하지만 이는 타당하지 않다. 헨리 키신저 전 미 국무장관은 2011년 회고록 『중국 이야기(On China)』를 출간했다. 71년7월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었던 자신의 극비 베이징 방문으로 미·중 국교정상화가 성사된 역사를 40년 만에 회고했다. 그러나 그 누구도 키신저가 책을 낼 당시 고령(88세)이었다며 회고록을 폄하하지 않았다. 오히려 그의 후학들은 살아있는 외교 레전드의 경험담을 탐독하여 역사의 교훈을 음미했다.

2007년 11월 노무현 정부가 유엔의 북한 인권 결의안을 기권하는 과정에서 "남북 경로를 통해 북측 의견을 확인하자고 결론 내렸다"는 송 전 장관의 회고는 세 가지 점에서 충격적이다.

우선 당시 정부가 북한 인권을 놓고 유엔·미국 보다 북한에 올인했다는 점이다. 당시는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남북총리회담(11월 14~16일)을 서울에서 열만큼 정부가 북한과 찰떡궁합을 과시하던 때다. 국제적 공조엔 애당초 관심이 없었을 것이다. 그 결과 한국은 그해 11월21일 유엔총회에서 찬성 97·반대 23·기권 60으로 통과된 북한 인권 결의안에 기권했다. 국제사회의 인도주의적 흐름에서 당사자가 이탈한 것이다.

두번째로 충격적인 건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정부의 무관심이 노골적으로 표출된 점이다. 송 전 장관은 "(노무현) 정부는 4년간 북한 인권 결의안에 대해 '불참-기권-찬성-기권'의 지그재그 행보를 걸었다"고 썼다. 결의안에 찬성하면 남북관계에 찬물을 끼얹는다는 논리로 인권문제에 눈을 감고 외눈박이 정책으로 일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충격적인 건 일견 매력적으로 보이지만 위험한 결정을 주도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전 대표의 대북관이다. 그는 노무현 청와대의 외교안보 회의에서 의사결정의 키를 쥐었던 대통령 비서실장을 지낸 사람이다. 또 최근 대규모 싱크탱크를 출범시키며 내년 대선 출마를 기정사실화한 야권의 대표주자다. 이런 문 전 대표가 '대북 사전협의설'에 대해 "남북간 활발한 대화 속에서 이뤄진 일”이라고만 주장하는 건 궁색하다. 그의 측근인 김경수 더민주 의원은 "정부가 기권을 결정한 뒤 북한에 통보한 것뿐"이라고 주장한다. ‘내통’ 아닌 ‘반응 체크’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해 송 전 장관은 "책에 쓴 그대로다"며 정면 반박했다. 의문만 증폭될 수밖에 없다. 설사 김 의원 주장대로 정부가 북한에 사후 통보한 것이라면 그 당사자가 있을텐데 문 전 대표 측이 밝히지 않았으니, 역시 진실공방이 불가피하다.

만일 문 전 대표가 대선에서 집권해 군 최고 통수권자가 된 뒤에도 평양의 의중을 살피고 ‘쪽지’를 주고받는 행태를 할지 궁금하다. 북한에 "언제 핵과 미사일을 포기할 것이냐"고 묻는다면 이해가 갈 수도 있겠다. 하지만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 같은 핵심 안보정책을 결정할 때도 판문점 직통전화로 평양의 의견을 묻는다면 막대한 국방 예산이 아깝고, 휴전선을 불철주야 지키는 국군장병들에게 부끄러운 일이 될 것이다.

야권 유력 대선주자에 대한 견제구 차원이 아니다. 독일 통일 전 서독 정부 인사 일부가 동독에 협조했던 건 동독 정보기관의 공작 결과였다. 북핵을 머리에 이고 살아야하는 우리 상황에서 문 전 대표는 자신의 안보관과 대북관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

송 전 장관은 2007년11월 유엔에서 북한 인권 결의안이 통과된지 1주 뒤 이화여대 강연에서 “'누구 앞에만 서면 작아진다'는 노랫말처럼 우리는 북한 문제만 나오면 작아진다”고 개탄했다. 국군 특전사 출신인 문 전 대표는 자신이 북한 앞에 서면 왜 작아지는지 궁금해하는 국민의 의문을 풀어줘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