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t fathers involved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Get fathers involved (국문)

Whenever we hear someone is having a third child, we often say, “They must be very well off.” It is true. Raising kids cost a fortune. Children are more like “superior goods,” whose consumption suddenly grows as income rise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research released on October 21 shows that this is not a joke. The insurance premiums were classifi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income levels. In the overall births, the portion of mothers in the two highest groups increased by 11.9 percent, from 39.2 percent in 2006 to 51.0 percent last year. In contrast, the mothers in the two lowest groups decreased by 11.3 percent, from 33.7 percent to 22.4 percent. The middle group remained almost the same, 26.2 percent to 26.0 percent. The age of birth inequality has come, as only the rich people get to have as many children as they want.

Another study released in June supports the claim. 44.6 percent of the women who decided to have no more children after having the first child say that childcare and educational expenses were the prime cause. Other reasons such as values (16.3 percent), work-life balance (15.4 percent) and unstable income and employment (10.1 percent) were far lower.

A low birth rate is not entirely a sign of despair. It has long been an established theory that when the national income grows, the overall birth rate of the country decreases. As women increasingly participate in society, the expense of raising a child and the cost for the mother surge.

However, in Norway and other Northern European countries, the birth rate has actually rebounded gently as the income continues to grow.

Demographers call it “J curve.” It does not appear in all European countries. In Southern Europe, such as Spain and Italy, fertility rate remains the same as income grows.

An Oxford University study shows that J curve does not appear in Southern Europe because of the clear distinction in gender roles, and men do not participate in housework and childcare. When husbands share housework, the birth rate increases as income goes up. Interestingly, in societies where wives are solely responsible for housework, more families decide to have only one child. Mothers feel burdened as fathers don’t participate in childcare, and they refuse to have a second child.

To hear more babies crying and laughing in Korean society, there must be an environment where fath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care. Only then, we can prevent mothers boycotting having more children out of resentment over inattentive fathers.

JoongAng Ilbo, Oct. 25,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Nam Jeong-ho


누가 셋째를 낳았다면 으레 튀어나오는 말이 있다. “그 집 부자인가 봐”. 맞다. 요즘 같아선 아이란 돈을 벌면 소비가 갑자기 늘어나는 ‘사치재’나 다름없다.
지난 21일 발표된 국민건강보험공단 연구는 이 얘기가 농담이 아님을 보여준다. 보험납부액 기준으로 소득 수준을 1~5분위로 나눴더니 전체 출산 중 4·5분위 고소득층 산모 비율은 2006년 39.2%에서 지난해 51.0%로 증가했다. 11.8%나 는 것이다. 반면 쪼들리는 1·2분위 산모는 33.7%에서 22.4%로 11.3%가 줄었다. 중간인 3분위는 26.2%에서 26.0%로 엇비슷했다. 부자들만 마음껏 아이를 낳는 출산 불평등 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지난 6월 공개된 한 연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해준다. 첫아이 출산 후 단산(斷産)하겠다는 여성의 경우 절반에 가까운 44.6%가 “양육비·교육비 부담 때문”이라고 답했다. 가치관(16.3%), 일·가정 양립 곤란(15.4%), 소득·고용불안정(10.1%) 등 다른 이유는 상대가 못 됐다.
출산율이 안 오른다고 낙담만 할 건 없다. 그간에는 “국민소득이 늘면 국가 전체의 출산율은 떨어진다”는 게 정설이었다. 여성의 사회 진출이 크게 늘어나게 되면 아이 하나 키우는 데 들어가는 돈은 물론 엄마들의 희생, 즉 개인적 기회 비용이 급등하는 까닭이다.
하지만 최근 수년간 노르웨이 등 북유럽에서는 소득 증가에도 출산율이 줄어들기는커녕 완만하게 반등하는 유례없는 상황이 벌어졌다. 인구학자들은 출산율 곡선이 끝에서 구부러지는 J와 닮았다 해서 ‘J커브 현상’이라 부른다. 유럽 국가라고 다 그런 건 아니다. 스페인·이탈리아 등 남유럽에서는 소득이 늘어도 출산율은 제자리 걸음이다.
왜 그런 걸까. 영국 옥스퍼드대 연구 결과 이들 지역에서 J 커브가 나타나지 않는 건 남녀 간의 뚜렷한 역할 분담 탓에 남자들이 가사와 양육을 돕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조사됐다. 즉 남편이 집안 일을 돕는 게 일상화돼야 소득이 늘면 출산율도 증가한다는 얘기다. 흥미로운 건 아내가 가사를 도맡는 사회일수록 첫 아이만 낳고 그만두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사실이다. 육아에 나 몰라라 하는 남편에게 배신감을 느낀 부인들이 둘째 낳기를 거부한 탓이다.
한국 사회에서 아기 울음소리가 더 많아지려면 남편이 아기 양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래야 남편에 분개한 부인들의 출산 보이콧도 막을 수 있다.

남정호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