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ngle mom stigma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e single mom stigma (국문)

I have an embarrassing story to tell. About 10 years ago, I met a woman around my age while traveling. After chatting for a while, I asked if she was a student. She said, “I am a mother.” I smiled nonchalantly, but many thoughts were on my mind.

I met unmarried mothers as I researched the low fertility report for the newspaper, “Defend the Population of 50 Million” and I realized how narrow-minded I had been. Park Hye-jin, 35, said that she fell in love, thought she would marry the guy and had a baby. Kim Mi-jin, 46, said that no one would intentionally plan to become a single mom. They were the mothers who plucked up the courage to defend their babies.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8,000 to 10,000 babies were born annually to unmarried parents in the last five years. Experts predict that as society gets more complex, an increasing number of households will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family unit based on marriage.

Korea still has cruel standards for single mothers. The scarlet letter of “fatherless child” is applied. When you search “single mother” online, you get negative content arguing that single mothers suffer from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amage and have trouble raising their children.

But the unwed mothers say that they are treated unfairly even among one-parent families, lower than bereaved wives or divorcees. In fact, the government includes unwed mothers in the one-parent family policy and does not offer separate assistance. Last year, the number of unmarried mothers was surveyed for the first time. The mothers were not accounted for when they actually make up a portion of childbirth as the government promotes having children.

“When the government acknowledges unmarried mothers as a type of family and promotes the policy aggressively, the awareness among the general public will change,” said Kim Hui-ju, a professor of social work at Hyupsung University. Multicultural families used to be viewed with similar biases. But social awareness has changed since the government started a multicultural family project called “comprehensive social support for female immigrants through marriage” in 2006.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other government agencies provide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today.

When we see Oprah Winfrey, the Queen of All Media, we don’t brand her as a daughter of an unwed mother. When a woman gets pregnant before the wedding, the couple celebrates it as a gift. The baby is a blessing when they end up getting married, but if they don’t, the baby is considered a burden. Then, society is so bleak. I don’t want my children to grow up in a society where mothers and their children are discriminated for not having husbands and fathers.

JoongAng Ilbo, Oct. 26, Page 33


*The author is a national news reporter at the JoongAng Ilbo.

SEO YOUNG-JI


부끄러운 고백거리가 있다. 10여년 전 여행지에서 비슷한 나이의 여성과 마주쳤다. 이런저런 얘기를 나누다 학생이냐고 질문하자 그는 "전 아기 엄마예요"라고 답했다. 겉으로는 태연한 척 미소를 지었다. 하지만 내심으로는 이런 저런 생각이 들었던 기억이 생생하다.
그러다 본지 저출산 기획 시리즈 ‘인구 5000만 지키자’ 취재를 위해 비혼모를 만나고 나서 내가 그동안 얼마나 편협했는지 반성했다. 인터뷰에 응한 박혜진(35)씨는 “사랑해서 결혼할 생각으로 만나다 아이가 생겼다”고 말했다. 김미진(46)씨는 "비혼모 되려고 작정한 사람은 없지 않느냐"고 했다. 이들은 자식을 지키기 위해 그저 용기를 낸 엄마였다.
통계청에 따르면 최근 5년 동안 매년 8000~1만명 이상의 아기가 혼인하지 않은 가정에서 태어난다.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점점 더 많은 가정이 혼인을 기반으로 한 전통적 가족 형태에서 벗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본다.
그런데도 한국은 아직 비혼모에게 잔인한 잣대를 들이댄다. 주홍글씨처럼 '아빠 없는 아이'란 꼬리표를 붙인다. 심지어 인터넷 포털사이트에 ‘미혼모’를 검색하면 “미혼모 문제는 성과 관련된 중요한 사회 문제의 하나. 미혼모 자신의 심리적·정신적 피해는 물론 태어난 아기의 양육도 문제가 된다”는 부정적 내용이 나온다.
비혼모도 같은 한부모 가족인데도 사별 아래 이혼, 이혼 아래 비혼모로 등급이 나뉜다고 당사자들은 입을 모았다. 실제로 정부는 비혼모를 한부모가족 정책 안에 포함시키면서도 이들을 분리해 지원하지는 않는다. 비혼모가 몇 명인지도 지난해 처음 조사됐다. 말로만 저출산 탈출을 외치면서 정작 출산의 일부를 차지하는 비혼모는 방치하다시피한 것이다. 김희주 협성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정부가 비혼모를 다양한 가족의 한 유형으로 인정하고 적극적으로 정책을 펴야 일반인의 인식이 바뀔 것"이라고 지적했다. 비혼모와 비슷한 꼬리표가 붙었던 다문화가족도 이런 과정을 거쳤다. 정부가 2006년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사회통합지원대책'이라는 이름으로 다문화가족 사업을 시작한 이후 사회적 인식이 많이 바뀌었다. 지금은 여성가족부는 물론 문화체육관광부 등 각 부처에서 뒤질세라 다문화가족을 지원하고 있다.
미국의 유명 토크쇼 진행자 오프라 윈프리를 보고 우리는 비혼모의 자식이라고 손가락질 하지 않는다. 결혼 전 배가 불러가면 ‘혼수’라며 기뻐하는 세상이 되지 않았나. 결혼까지 무사히 골인하면 그 아이는 축복으로 남고, 중간에 어그러지면 불행으로 치부되는 사회는 암울하다. 서류상 아빠가, 남편이 없다는 이유로 그 아이가, 그 엄마가 차별 받는 사회는 내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지 않다.

서영지 사회1부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