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me stiff headwinds (국문)
Published: 27 Nov. 2016, 19:38
It’s raising tariffs on imports that could undermine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companies. Beijing last week announced a new guideline on battery supplies for electric vehicles eligible for government subsidies, which are essential to sell EVs at an affordable price. It required batteries to have an output capacity of 8 gigawatt-hours for licenses to be issued as early as January. LG Chem and Samsung SDI sell batteries from China with an output capacity of only 3 gigawatts. They hardly have time to comply over the next month or so. Without subsidies, local manufacturers cannot compete in the world’s largest EV market. Their sales will shrivel and their losses will translate into gains for Chinese competitors.
China has taken more obvious protectionist actions by attempting to raise import tariffs. Its Ministry of Commerce last week announced that it was starting a fresh review of dumping charges on Korean polysilicon imports. It is reinvestigating those imports because they have remained strong even under antidumping tariffs of 2.4 percent to 48.7 percent imposed since 2014 at the request of Chinese competitors. Korea’s OCI and Hanwha Chemical could be hit hard by the higher levies. These actions follow a ban on the airing of Korean TV programs and shopping restrictions in Korea by Chinese tourists after Seoul’s decision to deploy the U.S. antimissile system dubbed the Terminal High Altitude Area Defense.
The greater reason for these actions is economical. Beijing now believes that China Inc. has achieved competitive technology levels in key industries. Chinese brand names have become stronger in automobiles, smartphones and televisions. Together with the signs of protectionism in the United States, Korea faces some mighty headwinds in the two largest markets for trade in the world. U.S. president-elect Donald J. Trump is offering generous tax incentives to Apple if it brings back manufacturing jobs to the U.S. Seoul must normalize its leadership and politics as soon as possible so that it can work out these economic risks and the grave challenges ahead.
JoongAng Ilbo, Nov. 26, Page 30
만리장성 같은 중국발 무역장벽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기술굴기(崛起)를 이룬 중국이 자국 산업 보호에 시동을 걸면서 비관세·반덤핑 같은 전방위 무역규제 장벽을 쌓으려는 조짐을 보이면서다. 중국 정부는 지난 22일 중국에서 연간 8GW의 배터리를 생산해야 모범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강화했다. 이는 기존보다 40배 늘어난 것으로 한국 기업은 패닉에 빠졌다. LG화학·삼성SDI의 중국 내 생산능력은 3GW 안팎에 그쳐 내년 1월 인증 절차에서 불합격을 피하기 어렵다. 새 인증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업은 자국 업체 비야디(比亞迪)밖에 없다. 모범인증을 못받으면 보조금이 끊겨 한국 업체는 매출이 20~30%씩 급락해 반사이익이 고스란히 중국 업체로 돌아간다. 전형적인 비관세 장벽의 횡포다. 반덤핑 관세도 고개를 들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22일 태양전지 재료인 한국산 수입 폴리실리콘에 대한 반덤핑 재조사를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미 1차 조사로 2.4~48.7%의 관세를 부과하고 있는데도 수입량이 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중국 경쟁업체의 요구로 시작된 이번 조사로 관세가 추가 부과되면 OCI·한화케미칼은 큰 타격을 입게 된다. 중국의 이런 흐름은 ‘금한령(禁韓令)’이나 유커(遊客)의 한국 내 쇼핑 제한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기류와 무관치 않다는 우려도 있다. 하지만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 기업 견제를 위한 중국 정부의 무역장벽 쌓아올리기 시도다. 주력 산업 대부분이 따라잡혔고, 중국이 따라올 수 없다던 자동차·휴대전화·TV시장에서도 중국 기업의 시장 점유율이 급상승하고 있다. 미국의 보호무역까지 더해지면 한국은 미·중의 고래 싸움에 새우 등 터지는 신세가 될 수도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은 애플 경영자 팀 쿡에게 생산공장을 미국으로 되가져오면 파격적인 세제 혜택을 주겠다며 리쇼어링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런 리스크를 해소하려면 정상회담 같은 외교적 노력이 불가피하다. 정치권은 하루 빨리 국정을 정상화해 국가적 위기에 대처해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