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lence of Pyongyang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Silence of Pyongyang (국문)

On Dec. 18, the North Korean media remained quiet about South Korea. It was a day after the eighth protest rally in central Seoul demanding Park Geun-hye’s resignation. They clearly changed from a week before, offering major coverage on the protests and demands for impeachment. The state organ Rodong Sinmun’s stance changed noticeably. It focused on the fifth anniversary of former leader Kim Jong-il’s death. It might have been a special day as Pyongyang has been working to idolize the late leader.

But the North Korean media’s coverage of the protests and impeachment drastically decreased after the impeachment motion against Park passed on Dec. 9. Ever since the Choi Soon-sil scandal emerged, they focused on impeachment and protests, but after the vote, articles on them nearly disappeared.

A government official surmised that when it comes to events related to Kim Jong-il and Kim Il Sung, North Korea holds events not for a day but for more than a week. So authorities may be focusing on the fifth-year anniversary event with propaganda on the accomplishments of Kim Jong-il and his son Kim Jong-un.

We have to wait and see. North Korea had been harshly denouncing Park, and now that Park’s impeachment bill has passed, the regime has certainly achieved what it had hoped for. Pyongyang might be waiting for the Constitutional Court’s final decision. Or maybe Kim Jong-un has done a double take, concerned that the North Korean people might learn from the power of candlelights.

North Koreans have been coerced into being faithful to their leader and following the orders of authorities unconditionally. To them, the candles in Gwanghwamun could be a learning tool. After all, North Korea completely blocked news on the democratization wave that started in Tunisia in late 2010 and spread throughout the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t this juncture, some may view North Korea’s refrain from criticism as a problem. The movements of Kim Jong-un since last month suggest that we should be especially cautious. Kim Jong-un visited the West Sea and East Sea and encouraged tightened military readiness with gunfire, a Yeonpyeong Island attack plan and an aeronautics contest. On the day after the impeachment vote, Kim personally watched a Blue House strike drill.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have bolstered their surveillance and security posture and are closely watching North Korea’s movements. Since the sinking of the Cheonan warship on March 26, 2010, during a joint military exercise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North Korea’s provocations could happen anytime, anywhere.

Pyongyang may have already finished a provocation plan. Barking dogs seldom bite. North Korea is good at surprise attacks when others are quiet and asleep. As impeachment is in progress, South Korea must never let itself be open to attack.

JoongAng Ilbo, Dec. 19, Page 33


*The author is a political news reporter for the JoongAng Ilbo.

JEONG YONG-SOO



18일 북한 언론들은 한국에 대해 조용했다. 이날은 서울 광화문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하야를 요구하는 8차 촛불집회가 열린 다음날이었다. 대대적으로 촛불 시위와 탄핵 요구를 보도하던 이전과는 확연히 달라졌다. 북한의 관영 언론인 노동신문이 대표적이었다. 김정일 국방위원장 5주기 행사 기사 일색이었다. 그들이 우상화하고 있는 ‘수령’ 5주기를 맞았으니 이날은 그렇다 치자.
공교롭게도 지난 9일 박 대통령 탄핵안이 가결된 직후부터 북한 언론에서 촛불 집회나 탄핵소식은 확 줄었다. ‘최순실 게이트’가 불거진 이후 상당 부분을 차지했던 탄핵이나 촛불시위 관련 기사가 거의 사라졌다. 일각에선 “북한은 김일성, 김정일과 관련한 행사는 하루만 하는 게 아니라 일주일 이상 분위기를 조성한다”(정부 당국자)고 분석한다. 김정일 5주기 행사, 특히 주민들에게 김정일ㆍ김정은의 업적 선전에 몰두하느라 그랬다는 얘기다.
물론 조금 더 두고 봐야 한다. 입에 담지 못할 표현을 써가며 비난했던 박 대통령이 탄핵됐으니 북한은 소기의 성과를 거뒀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지켜보겠다는 생각이 강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론 김정은 위원장이 ‘아차차’ 싶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한국 촛불의 힘을 북한 주민들도 배울 수 있지 않을까하는 우려 때문에 말이다. 어렸을 때부터 “수령의 지시를 무조건 이행하는 것은 목숨과도 같다”는 절대 충성을 강요받아 온 북한 주민들이다. 그랬던 그들에게 광화문에 켜진 촛불이 학습도구가 되지 말란 법이 없다. 북한은 2010년 말 튀니지에서 시작돼 아랍, 중동과 북아프리카를 휩쓴 민주화 바람에 대해 철저히 차단막을 친 적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북한이 비난을 안해도 문제 아니냐’는 지적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지난달부터 김정은의 동선(動線)을 보면 이럴 때 일수록 조심해야 한다는 우려도 든다. 김정은은 서해와 동해를 넘나들며 포사격과 연평도 공격계획, 비행술 대회 등 전투태세 강화를 독려했다. 탄핵 표결 다음날엔 청와대 타격 훈련을 직접 참관하기도 했다.
한·미 양국은 대북 감시와 경계 태세를 강화하고 북한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하지만 2010년 한·미연합훈련 중이던 3월 26일, 천안함 폭침사건이 발생한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도발은 때를 가리지 않는다. 장소도 불문이다. 북한은 이미 어디에선가 도발할 준비를 끝내고 있을지 모른다. ‘짓는 개는 물지 않는’다는 속담이 있다. 북한은 조용할 때, 남들이 잘 때 뒤통수를 치는 빨치산 전술 구사에 능하다. 탄핵이 진행되더라도 안보에는 빈틈이 있어서는 안되는 이유다.
정치부 정용수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