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ture of our Pyongyang policy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Future of our Pyongyang policy (국문)

While it is unclear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will deliver a ruling on the impeachment of President Park Geun-hye, presidential hopefuls are already preparing their commitments as an early presidential election is highly likely. Government ministries are closely watching the development of the Choi Soon-sil scandal and carefully devising policies to present to the next president.

Conversations with those helping presidential hopefuls naturally move onto the North Korea policy of the next administration. Their prime focus is how to handle the nuclear tension and inter-Korean relations.

For the past nine years, the Lee Myung-bak and Park Geun-hye administrations have prioritized nuclear issues over inter-Korean ties, offering economic assistance if North Korea gives up its nuclear program first. As a result, North Korea’s nuclear technology became more advanced, and inter-Korean relations regressed to the pre-2000 level. All potential presidential candidates contend that it should be reversed. They say in chorus that unrealistic policies such as “denuclearization-opening-3000” or “Korean Peninsula trust process” also should be scrapped.

The difference is whether to simultaneously address the nuclear issue and inter-Korean relations or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first. A simultaneous resolution would be keeping up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hrough the six-party talks while making May 24 sanctions more flexible. The latter would be approaching the nuclear issue through improved inter-Korean relations. Priority tasks would be the resumption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operation and Mt. Kumgang tourism. Construction of a Kaesong-Pyongyang highway and expanded Mt. Kumgang tourism are also considered as election promises.

What is regrettable is that these policies would only work in the post-Kim Jong-il era. As the May 24 measures broke off exchanges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understanding of the Kim Jong-un era is poor, and the policies seem to remain in the past.

The North Korean economy has become a more market- and individual-oriented one, and the nuclear program has become more advanced. If the Kim Jong-il era was a linear equation, the Kim Jong-un era is a cubic equation. North Korea is no longer its past self, and the United States and China have changed as well.

Another crucial variable is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S. The new administration has both dovish and hawkish officials, and their Asia policy could bring a new crisis or opportunity. We can be hopeful that Donald Trump and Rex Tillerson are negotiators. Tillerson worked for 41 years at ExxonMobil and even travelled across remote places to negotiate with rebel leaders. Trump nominated him as the Secretary of State because of his tenacious negotiation skills. We need to watch how Tillerson would negotiate with Kim Jong-un.

The North Korea policy of the next administration should be a new paradigm deviating from the Kim Jong-un era. It is time to plan more pragmatic and feasible policies rather than focusing on the nuclear threat. We need to look further and draw a bigger picture to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to the China-Taiwan level.

JoongAng Ilbo, Dec. 27, Page 34


*The author is a researcher at the Unification Research Institute of the JoongAng Ilbo.

KO SOO-SUK



헌법재판소가 탄핵 여부를 언제 결정할지 모르지만 대선 잠룡들은 벌써부터 공약을 준비하고 있다. 조기 대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해서다. 정부 부처들도 ‘최순실 게이트’를 관망하면서 차기 대통령에게 선물할 정책들을 조심스럽게 준비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대선 잠룡들을 돕는 사람들과 얘기를 나누다보면 자연스레 차기 정부의 대북정책으로 화제가 옮겨간다. 이들의 첫 번째 관심은 북핵 문제와 남북 관계를 어떻게 다룰 것인가다. 이명박· 박근혜 정부 9년 동안은 선(先) 북핵, 후(後) 남북 관계였다. 북한이 먼저 핵을 포기하면 경제지원 하겠다는 방식이었다. 그 결과 북한은 핵 수준을 고도화했고 남북관계는 2000년 이전으로 후퇴했다. 잠룡들은 이를 다시 돌려놓아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다. 아울러 ‘비핵·개방·3000’,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처럼 실현가능성이 낮은 정책도 피해야 한다는데 입을 모으고 있다.
차이점은 북핵·남북관계의 동시 해결이냐, 남북관계 우선 해결이냐에서 갈린다. 동시 해결은 6자 회담 등 국제사회와 보조를 맞추면서 5·24조치를 유연하게 하려는 것이고, 후자는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북핵 문제에 접근하려는 방식이다. 남북관계 우선 과제로는 개성공단·금강산 관광 재개 등이 전향적으로 검토되고 있다. 개성~평양 고속도로 건설, 금강산 관광 확대 등을 공약사항에 포함할 지도 고민의 대상이다.
이런 얘기를 들으면서 아쉬운 대목은 대북정책들이 김정일 시대에나 통할 내용들로 채워져 있다는 것이다. 5·24조치로 남북간의 교류가 단절되면서 김정은 시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탓인지 과거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이벤트에 치중하는 느낌을 지울 수없다. 김정은 시대는 김정일 때보다 경제적으로 시장화·개인화가 심화됐고 북핵 수준은 더 고도화됐다. 김정일 시대가 1차 방정식이라면 김정은 시대는 3차 방정식이다. 과거의 북한이 아니다. 미국·중국도 마찬가지다.
특히 새로 출범하는 미국 트럼부 행정부가 어떻게 나올 지가 변수다. 협상파,강경파가 섞여 있는 이들이 구상할 아시아정책에 따라 남북관계에 새로운 위기나 기회가 올 수 있다. 기대를 한다면 트럼프-틸러슨 라인이 협상꾼이라는 점이다. 특히 틸러슨은 엑슨 모빌에서 41년간 근무하는 동안 오지와 험지를 돌아다니면서 반군 정부· 독재정권과 협상한 사람이다. 가장 협상하기 어렵다는 러시아와 협상해 사할린 원유채굴권도 따냈다. 트럼프가 그를 국무장관으로 지명한 것도 그의 끈질긴 협상력 때문이라고 한다. 틸러슨이 김정은을 상대로 어떤 협상을 할 지 궁금해진다.
차기 정부의 대북정책은 김정일 시대에서 벗어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접근해야 한다. 북핵에만 집중했던 우(愚)에서 벗어나 실용적이고 실현가능성이 높은 정책을 고민할 단계다. 적어도 중국-대만 관계 수준으로 끌어 올릴 수 있도록 더 멀리 더 크게 봐야 한다.
고수석 통일문화연구소 연구위원/북한학 박사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