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aad interrupts a grand dream (국문)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Thaad interrupts a grand dream (국문)

In the background of China elevating its diplomacy with neighbors to the G-2 diplomacy level is the ironic situation that countries who have a close geopolitical relationship enjoy the economic fruits from China while expanding security cooperation with the United States.

As their dependency on China grew, the presence of America was supposed to decrease. But the reality was just the opposite.

Since 2014, China’s diplomacy with neighbors has focused on bringing them around as a community sharing their national interests and fates with China. The One Road One Belt project of building roads and railways and developing ports and airports in Asia and Europe helped China’s foreign policy. China thought that once the economy was connected with a gigantic market and production capacity and capital through the marine and overland network, it won’t be easy for them to turn their backs on China.

As the Thaad deployment began in Korea, China has started reckless economic retaliation, mostly in the areas with little impact on its industries. It does not suit the dignity of a country promoting the One Road One Belt project, which it calls a Eurasian version of the Marshall Plan. It will only remind partner nations that they should be cautious and never make an all-in bet on China.

However, China has been expressing unreserved repulsion towards Thaad for the past two years. There are three hidden intentions in opposing Thaad deployment, based on direct and indirect discussion with Chinese scholars, media and think tank insiders.

First, China thinks Thaad deployment would destroy strategic balance between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 the region. But this argument is weak as the United States military already have real-time observation on China’s military beyond Thaad.

Second, it is a matter of hegemony, as it was something that cannot be touched if not ready for a war. Beijing ferociously oppose deployment because once the strategic weapons system is deployed, it would be hard to push out the US military presence from the Korean Peninsula.

Last, when Thaad is deployed, the strategic balance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would be broken, considering the dynamics of defense and attack. The grand premise of a frequently mentioned preemptive attack on North Korea by the United States is whether Korea has the shield to withstand the strikes of remaining North Korean missiles after the surprise attack.

If a sudden change happens in the North, China’s dream to push out the United States from the region and establish hegemony by 2049 would be seriously damaged. If the Thaad issue involves such complicated dynamics, China’s retaliation has only begun. Korea needs to be alert and ready.

JoongAng Ilbo, March 9, Page 30


*The author is the deputy editor of the JoongAng Sunday.

CHEONG YONG-WHAN


중국이 2013년 주변국 외교를 G2(미국ㆍ중국)외교 위상으로 격상시킨 배경은 지정학적으로 밀접한 관계에 있는 나라들이 경제적 과실은 중국을 통해 거둬들이면서도 미국과는 안보 협력을 늘리는 역설 때문이었다. 중국 의존도가 커질수록 미국의 존재감이 줄어들어야 셈이 맞는데 현실은 반대였다.
2014년부터 중국의 주변국 외교는 이들 나라를 중국과 ‘이익과 운명’의 공동체로 포섭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아시아ㆍ유럽에 도로와 철도를 깔고 항만ㆍ공항을 개발하는 일대일로(一帶一路) 프로젝트는 주변국 외교를 구현하는 손발이다. 바다와 육상에서 연계 유통망을 통해 거대한 시장과 공장, 자본을 거느린 중국 경제와 한번 접속하면 깔아놓은 인프라를 뒤로 하고 중국과 등을 지는 결정은 쉽지 않을 것이란 속내도 읽힌다. 이를 토대로 2049년 미국을 넘어서는 명실상부한 부국강병을 이루겠다는 것이 중국의 꿈이다. 문제는 속도다. 동시다발적으로 일이 진행돼야 하는데 각국의 법적 환경이 다르고 수익률 전망이 엇갈리면서 민간 부문에서 투자가 따라오지 않아 중국의 재정 투입 부담이 커지고 있다. 초국가적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현지 여론의 뒷받침은 필수적 요소다.
고고도미사일방어(사드·THAAD) 체계의 배치가 물살을 타면서 중국이 자국 산업에 피해가 미미한 분야 위주로 거칠게 경제 보복에 나섰다. 자칭 유라시아판 마셜 계획(2차 대전 후 유럽 부흥 프로젝트)이라는 일대일로를 추진하는 나라의 국격에 안 맞는 행위다. 파트너 국가들에 ‘역시 중국에 올인해선 안 된다’는 경각심을 환기시켜 주지 않겠나
이런 부담에도 지난 2년간 사드에 대한 중국의 거부감은 완급 조절 없이 표출돼 왔다. 중국의 학계ㆍ언론ㆍ싱크탱크 관계자들과 직간접적으로 주고받은 사드 반대의 속내는 세 가지로 압축할 수 있다.
우선 사드 배치로 역내의 미·중 간 전략 균형이 무너진다는 것이다. 미군이 사드 이상의 정보 자산으로 중국의 군사동향을 실시간 들여다고 보고 있다는 점에서 이 논리는 취약점이 분명하다.
둘째, ‘전쟁을 각오하기 전에는 건드릴 수 없는 영역’이라는 세력권 쟁탈 기싸움으로 볼 수 있다는 해석이다. 전략 무기체계인 사드가 배치되면 군사적 위세로 미군을 한반도에서 밀어내기 어렵기 때문에 극구 반대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격과 방어의 역학상 한·미 동맹에 사드가 배치되면 남북한의 전력 균형이 무너진다는 것이다. 요즘 미국 조야에서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는 대북 선제공격 옵션의 대전제는 기습 타격 후 북한의 잔존 미사일 공격을 걷어낼 수 있는 방패를 확보했느냐 여부다. 북한에 급변사태가 일어나면 2049년 역내에서 미국을 밀어내고 패권을 구현하는 중국의 꿈은 치명타를 입는다. 사드에 이런 역학이 내재돼 있다고 판단한다면 중국의 역습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 정신 바짝 차려야 한다.



정용환 중앙SUNDAY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