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ng’s three no’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Kang’s three no’s (kor)

Fortunately, the discord between Korea and China has ended after nearly a year and half. How could China agree to improve relations without addressing Thaad, when it insisted that there was no other way than the withdrawal of the radar system?

Some say that Korea got what it wanted while China saved face. Foreign minister Kang Kyung-wha made the so-called “three no’s;” no additional Thaad deployment, no use of further missile defense systems, and no Korea-U.S.-Japan military alliance in order for China to save face.

Does China think that it only saved face? Probably not. The government has made no behind-the-scenes agreement or a promise for China’s demands. But I find it hard to believe that.

First, let’s look at the circumstances. While Kang answered lawmaker Park Byeong-seug’s questions at the National Assembly a day before the agreement was announced, Park referred to the “three no’s” perfectly. It seems that someone tipped him off to the agreement, and I suspect that the question and answer were arranged.

The second is the contents of the answer. The agreement only lists three of China’s concerns and does not say “no.” China expressed concerns, which Korea took carefully, and the agreement does not specify how they would be dealt with. The model answer of the foreign ministry would be, “We understand China has concerns. We are working to clear concerns and improve relations through close communication.” However, Kang answered with three clear “no’s.”

It seems that Korea cannot accommodate China’s demand to document the three no’s, so there must have been a compromise. The change in Beijing’s attitude after Kang’s remarks makes it more evident. Yang Xiyu, senior fellow at the China Institute of International Studies under China’s foreign ministry, said Korea expressed the will not to be restrained by the United States, and China’s biggest strategic concern over Thaad has been cleared. China seems to treat the “three no’s” not as a way to save face but as an issue directly related to China’s strategic interests.

In other words, China revealed its strategic perspective through the agreement process.

In the strategic rivalry with the United States and its allies, China weighed Korea-China relations and Korea-U.S. relations and played hard to get. There must be fundamental changes between the good relations in the early days of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the freezing of relations over the Thaad issue and the thawing season that has finally arrived. This is the most valuable lesson that Korea has learned after paying a high price through the discord over the Thaad system.

JoongAng Ilbo, Nov. 7, Page 34

*The author is the Beijing bureau chief of the JoongAng Ilbo.

YEH YOUNG-JUNE


1년 반 가까이 끌던 한ㆍ중 갈등이 봉합된 건 다행스러운 일이다. “사드 철회 이외의 다른 방법은 없다”던 중국이 왜 사드를 덮어둔 채 관계 개선에 합의한 것일까. 혹자는 한국은 실리를 챙기고 중국은 체면을 차렸다고 평가한다. “사드 추가배치도, 미사일 방어(MD)편입도, 한ㆍ미ㆍ일 군사 동맹도 없다”는 강경화 외교장관의 ‘3불(三不) ’발언은 중국의 체면을 세워주기 위한 고육책이었다는 의미다. 과연 중국은 이를 체면용으로만 간주했을까. 결코 그렇지 않다고 본다. 정부는 아무런 이면 합의도 없었고 중국의 요구에 따른 약속도 없었다고 하지만 곧이곧대로 듣기 어려운 대목이 있다.
첫째, 발언의 상황이 그렇다. 강 장관 발언은 합의문 발표 하루 전 국회에서 박병석 의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나왔는데 박 의원은 ‘3불’의 세 가지를 꼭 집어서, 그것도 표현이나 단어선택 하나 어긋나지 않게 말했다. 합의문 내용을 누군가가 알려줬다는 얘기가 된다. ‘약속 대련’을 의심케 하는 부분이다.
둘째는 답변의 내용이다. 합의문에는 중국의 세 가지 우려 사항만 나열돼 있지, ‘불(不)’자는 한 군데도 없다. 중국은 우려를 했고 한국은 이를 주의해서 들었을 뿐, 앞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내용은 합의문에 없다. 그렇다면 국정감사에서 질문이 나왔어도 발표문 수준의 답변으로 넘어갈 수 있었다. “중국이 그런 우려를 갖고 있다는 점을 잘 안다. 긴밀한 소통으로 우려를 불식시키고 관계개선을 위해 노력 중이다”는 정도가 평소 외교부 스타일에 따른 모범 답안이었을 것이다. 그런데도 굳이 강 장관은 세 가지 모두에 ‘불’자를 새겨넣어 답했다.
요컨대 ‘3불 원칙’을 문서화하자는 중국의 요구에 한국이 난색을 표시했고, 결국은 책임 있는 당국자가 구두로 표시하는 선에서 중국이 받아들이는 것으로 절충이 이뤄진 결과일 것이다. 이는 강 장관 발언 이후 중국의 태도를 보면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중국 외교부 산하인 국제문제연구원의 양시위 시니어 펠로는 “한국이 미국에 얽매이지 않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사드에 대한 중국의 가장 큰 전략적 우려가 해소되었다”고 말했다. ‘3불 ’발언을 체면충족용이 아니라 중국의 전략적 이익과 직결된 중대 문제로 봤다는 의미다.
다시 말해 중국이 한국을 대하는 전략적 관점이 이번 합의 과정을 통해 분명히 드러난 셈이다.
중국은 미국(+동맹국)과의 전략적 경쟁 구도 속에서 한ㆍ중 관계와 한ㆍ미 관계를 저울질하며 한국에 대한 밀고 당기기를 적절히 안배한다. 박근혜 정부 초중반의 밀월기나 사드 빙하기, 그리고 다시 찾아온 해빙기에도 근본적 변화가 없을 것이다. 사드 갈등을 겪으면서 비싼 대가를 치르고 얻어낸 가장 귀중한 교훈은 여기에 있다.
예영준 베이징 총국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