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m-handed diplomacy (kor)
Published: 15 Nov. 2017, 22:25
On Saturday, China’s President Xi Jinping rekindled the controversy by warning that South Korea should take responsibility for history. Two days later, Chinese Premier Li Keqiang went a step further. He said that Seoul and Beijing had agreed to deal with the diplomatic friction over Thaad step-by-step, demanding South Korea remove a stumbling block in better relations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remarks by Xi and Li sound very offensive. They translate into Beijing putting pressure on us.
A bigger problem is our diplomats’ clumsy ways. Before Moon met with Xi and Li, the Blue House made it clear that the issue would not be discussed in their meetings. And then it was — in both! After the meetings, the presidential office kept saying there was no discussion of Thaad. It hurriedly gave a briefing to the press after Beijing said otherwise.
We wonder why our government tried to conceal what was discussed between Moon and Chinese leaders. Li’s remarks about a phased resolution of the issue raise a strong suspicion that the Moon administration might have struck a deal under the table.
We know that Seoul made three promises to Beijing: that it would not join any regional U.S. antimissile defense system; that South Korea-U.S.-Japan security cooperation would not develop into a tripartite military alliance; and there would be no further deployment of Thaad batteries.
The Moon administration should not surrender to China’s threats. We urge our government to disclose the results of its negotiations with China as transparently as possible so that Beijing cannot distort them at will.
Our government must refrain from using such transparent words as “principles” or “promises” in the future. It should have used the term “positions” instead of agreeing to the so-called three nos. Positions can change with circumstances. If the government doesn’t get its diplomatic act together, it will only hamper future negotiations with China.
JoongAng Ilbo, Nov. 16, Page 30
고고도미사일방어(THAAD·사드) 체계를 둘러싼 한·중 갈등 ‘봉인(封印)’이 보름도 안 돼 풀려 버린 것인가. 지난 10월 31일 합의 이후 청와대는 “중국이 더 이상 사드 문제를 거론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 했다. 한데 중국 지도자들이 잇따라 우리 대통령에게 사드 문제를 정면으로 거론해 어안이 벙벙해진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11일 사드와 관련, “한국은 역사에 책임을 져야 한다”는 경고성 발언을 던졌다. 13일엔 리커창 총리가 “중·한이 사드 문제를 단계적으로 처리하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며 “한국은 걸림돌을 치우라”고 주문했다. 듣기 매우 거북한 중국의 압박들이다. 더 큰 문제는 우리 외교라인의 안이한 인식과 서툰 대처다.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과 리커창을 만나기 전 청와대는 “사드 문제가 거론되지 않을 것”이라고 했으나 결과는 달랐다. 회담 후에도 “사드 관련 논의가 없었다”고 했다가 중국 발표에 따라 추가 브리핑을 하는 소동을 빚었다. 무엇이 두려워 사드 문제가 논의된 것을 덮으려 했나. 특히 리커창의 사드 단계적 해결 발언은 중국과 모종의 이면 합의가 있었던 게 아닌가 하는 일각의 의혹에 힘을 실어 주는 모양새다. 아마추어 우리 외교에 걱정이 깊어진다. 대표적인 게 10·31 합의에서의 3불(三不) 표명이다. 안보 주권을 스스로 외국에 저당 잡히는 나라가 어디 있나. 더 이상 중국 외교에 끌려다녀서는 곤란하다. 앞으론 중국과의 협상 결과를 투명하게 밝혀 중국이 자의적으로 합의 내용을 왜곡하는 행태를 막아야 한다. 특히 중국에 ‘백지 수표’를 줬다는 말을 듣는 3불에 대해 ‘원칙’이나 ‘약속’ 등의 말을 쓰지 말아야 한다. 3불은 우리의 ‘입장’ 정도로 정리해야 한다. 입장은 상황 변화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원칙’이라 쓰면 중국의 ‘프레임’에 갇히는 결과만 초래할 뿐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