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ving young women a voice through manga : A look into how girls’ desires were reflected through comic books

Home > Culture > Features

print dictionary print

Giving young women a voice through manga : A look into how girls’ desires were reflected through comic books

테스트

From left: “Antique Bakery” by Fumi Yoshinaga; “Amaterasu” by Suzue Miuchi; and “Celestial Rainbows” by Machiko Satonaka. [KOREA MANHWA CONTENTS AGENCY]

Bleach blonde curls decorated with a large ribbon or flowers were a common hairstyle worn by female characters in Japanese manga published during the 1950s and 60s. The manga from that period, which is known as shojo manga, usually depicted romantic stories set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The aspirations of many young Japanese women of the time for luxury and Western elegance is reflected while flipping through the pages of the manga.

Shojo manga was born in Japan during the 1950s, and had its heyday from the 1960s to the 80s. It also influenced Korea’s sunjeong manhwa, a word that means romance comics. The Korea Manwha Contents Agency and the Japan Foundation of Seoul have come together for an exhibition titled “World of Shojo Manga: Mirrors of Girl’s Desires” which will run until Feb. 25 at the Korea Manhwa Museum located in Bucheon, Gyeonggi. The exhibition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s: Dawn of modern shojo manga; Development of shojo manga; and New Direction of shojo manga.

At the exhibit, Japanese manga from 12 artists are on display, including “Galaxy Express 999” by Leiji Matsumoto, “Glass Mask” by Suzue Miuchi and “Antique Bakery” by Fumi Yoshinaga, all of whom are familiar to Korean manga fans.

At the entrance, a stack of more than 300 comic books welcome visitors. There, they can freely read through the books that are introduced in the exhibition.

Masami Toku, a professor of art education at California State University, Chico, who brought this traveling exhibition to the United States in 2005, was surprised at the idea of piling up books for the readers. “I think it is a very good idea. In the past, I opened several exhibitions in Japan and U.S. but I wasn’t feeling good because the visitors weren’t able to read the books. Now visitors can spend hours and hours in the museum.”

Around the corner, a drawing of the blonde girl holding a deer is greeting the visitors. This is Clara from “Clara’s Lake” by Leiji Matsumoto, the creator of Maetel and Tetsurou - two characters from “Galaxy Express 999.” When shojo manga first started flourishing, the most popular works were usually written by male authors, including Osamu Tezuka, who produced “Princess Knight.” During the dawn of modern shojo manga, the most popular pieces usually detailed the story of a pitiful young female protagonist, who finds love and happiness through the process of overcoming obstacles.

Moving on to the second period of shojo manga, the developmental period (1970-80s), manga lovers will be excited to find pieces from Masako Watanabe, the author of “Saint Rosalind” and “Glass Castle,” Hadeko Mizuno of “Fire!” and “Harp of the Star” and Miyako Maki’s “The Tale of Genji.”

They are the writers who created the archetype of female characters with large eyes that fill half of the face and wear ribbons and flowers in their hair. Maki said in the interview prior to the exhibition, “Because it was during a hopelessly poor period, I wanted to at least draw a dreamlike world in the book. I designed clothing that I wished girls would wear in the reality. I never drew any character wearing an outfit of patched clothes, which is what everybody was wearing at that time.”

테스트

“Clara’s Lake” by Leiji Matsumoto, left, and “Glass Mask” by Suzue Miuchi, center. The scene where Maya and Ayumi - characters from “Glass Mask” - are fighting, and the sharp speech bubbles visualize the girls’ anger in the moment. At right is Professor Masami Toku, the first person to bring this exhibition abroad. [KOREA MANHWA CONTENTS AGENCY]

Thanks to the shojo manga magazines “Shojo Friends” and “Margaret,” which published their first magazines in 1960s, the record-breaking series “The Rose of Versailles” by Riyoko Ikeda, “Candy Candy” by Yumiko Igarashi and “Glass Mask” by Suzue Miuchi were born.

In part two of the exhibit, many masterpieces from Year 24 Group - a label that is applied to a group of female manga artists that were generally born in Showa 24, or 1949 - are on display. One of the most famous artists of this time is Moto Hagio of “The Poe Family” and “A Cruel God Reigns.” Alongside works from Hagio are Machiko Satonaka of “Arisa,” Fusako Kuramochi’s “A Gentle Breeze in the Village,” “Banana Fish” and “Our Little Sister” by Akimi Yoshida.

After this period, the topics of shojo manga extended from romances to period stories, adventure and even science fiction. According to Professor Toku, “It is the period when self-realization of the female protagonist became the central topic and stories that revolve around cool guys started to be loved by young female readers.”

In particular, authors in those days tried a new method of drawing characters. They changed the shape of cartoon boxes from strict rectangular shapes to the different sizes of the boxes and freely used the speech balloons, creating the aesthetics of shojo manga. The piece that gathers the most visitors at the exhibit is a scene where Maya and Ayumi fight, the two characters from “Glass Mask.” The sharp speech bubbles visualize how sensitive the girls were in the moment. By gradually cutting down the size of the girls and putting them inside boxes divided by diagonal lines implies that the conflict continued for some time.

Pieces created after the 90’s blurred the borders between shojo manga and shonen manga - shonen manga is manga aimed at young male readers. The artists who are introduced in part three, referred to as New Direction, have many male fans.

They are artists such as Reiko Okano of “The Master of Shade and Light,” Ichiko Ima of “Beyond Twilight” and Fumi Yoshinaga of “Antique Bakery.” They all made their names through comic markets where amateur artists freely show off their pieces, unlike how other authors became popular through publishing in magazines.

The manga of the next generation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ones in that the lead characters exist in their own world and have unique characteristics. Topics extended with the mixing of Japanese myths and legends, and even the love between two boys became a hot topic.

This exhibition, “World of Shojo Manga,” is an exhibition that has been traveling the world for the past 10 years. It was first created by Professor Toku as she wanted to introduce shojo manga to Americans. With the help of the Japan Foundation, more than 50 exhibitions have been held in North America and Asia.

The next stop the exhibition will be heading after its visit to Korea is South America. “I want to show how shojo manga of Japan is outstanding, and how the roles of Japanese females have changed,” said the professor. She added, “Especially to those Korean readers that are already familiar with Japanese manga, the exhibition will be more meaningful.”

BY LEE YOUNG-HEE [hong.youkyoung@joongang.co.kr]



Admission is 5,000 won ($4.60). The museum is open from 10 a.m. to 6 p.m. It is closed on Mondays and national holidays. To get to the museum, take line No. 7 to Samsan Gymnasium, exit 5. For more information, call (032) 310-3090.


공주에서 개성있는 나로 … 소녀의 욕망은 진화한다
소녀들의 이름은 애니, 클라라, 로랄린드 등이었다. 금발의 곱슬 머리에 큰 리본을 달았고, 뒤에는 꽃이 흐드러지게 피어 있었다. 1950~60년대 일본에서 출간된 소녀 만화의 상당수는 유럽이나 미국을 배경으로 한 ‘사랑과 눈물의 드라마’였다. 전쟁의 흔적으로 황폐했던 시대, 우아하고 세련된 서구 문화를 동경하던 일본 소녀들의 열망이 담겼다.

한국만화박물관 ‘일본 소녀만화의 세계’ 전 가보니
‘소녀만화(少女漫画).’ 소녀나 과거에 소녀였던 성인 여성의 감성을 건드리는 여성 취향 만화를 총칭한다. 일본에서 소녀 만화는 1950년대 처음 등장해 60~80년대 전성기를 누렸다. 시대의 변화와 함께 주인공의 캐릭터도, 만화의 주제도 진화했다. 한국의 ‘순정만화’에도 영향을 준 일본 소녀만화의 역사를 살피는 전시가 경기도 부천 한국만화박물관에서 열리고 있다.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이사장 김동화)과 일본국제교류기금 서울문화센터(소장 야마사키 히로키)가 공동으로 준비한 ‘일본 소녀 만화의 세계: 소녀들의 욕망을 비추는 거울’전(11월 23일~2018년 2월 25일)이다.
데뷔 초기 순정만화로 인기를 누렸던 『은하철도 999』의 마쓰모토 레이지를 비롯해 『유리가면』의 미우치 스즈에, 『서양골동양과자점』의 요시나가 후미 등 국내 만화 팬들에게도 친숙한 일본 만화가 12명의 대표작을 선보이는 자리에 중앙SUNDAY S매거진이 다녀왔다.

전시장 입구에 들어서면, 만화책 350여 권이 쌓여 있다. 전시에 소개된 작가들의 대표작을 직접 읽어볼 수 있는 코너다. 이번 전시를 기획한 도쿠 마사미(59) 캘리포니아 주립대 치코(CSU hico) 캠퍼스 미술교육과 교수가 쌓인 만화책을 보며 감탄한다. “아주 좋은 아이디어에요. 그동안 미국과 일본 여러 도시에서 전시를 했는데, 관람객들이 직접 만화를 읽을 수 없어 안타까웠거든요. 이 전시장에선 몇 시간도 보낼 수 있겠네요.”

모퉁이를 돌면 아기 사슴을 품에 안은 금발의 소녀가 관람객을 맞는다. ‘철이’와 ‘메텔’의 아버지인 마쓰모토 레이지가 1968년 발표한 소녀만화 『클라라의 호수』 주인공 클라라다. 『리본의 기사』를 그린 데쓰카 오사무를 비롯해 일본 소녀만화 초창기에는 남자 작가들의 작품이 주를 이뤘다. ‘현대 소녀만화의 여명기’로 불리는 이 시대에 인기를 끈 작품들은 어려운 상황에 처한 주인공 소녀가 온갖 고난을 극복하고 사랑과 행복을 쟁취하는 내용이 대부분이었다.

전시에는 『성 로잘린드』와 『유리의 성』등을 그린 와타나베 마사코, 『별의 하프』『은의 꽃잎』 등으로 인기를 모은 미즈노 히데코, 『미친 사랑』 『악녀 성서』 등으로 알려진 마키 미야코 작가의 작품을 소개한다. 이들은 얼굴의 반을 채우는 큰 눈, 꽃과 리본의 조화 등 소녀만화의 ‘전형’을 만든 작가들이기도 하다. 마키 미야코 작가는 전시 기념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절망적으로 가난한 시대였기 때문에 만화에선 꿈과 같은 세상을 그리고 싶었어요. 실제로 소녀들이 입어봤으면 하는 옷을 디자인했죠. 현실에서처럼 누더기를 기운 옷을 입은 캐릭터는 한번도 그리지 않았습니다.”

뒤이은 ‘소녀만화의 발달기’(1970~80년대)에는 스타 작가들이 속속 등장하며 재능을 화려하게 꽃 피웠다. 60년대 창간된 ‘주간 소녀프렌드’와 ‘주간 마가렛’ 등 소녀만화 잡지가 궤도에 오르며 이케다 리요코의 『베르사이유의 장미』, 이가라시 유미코의 『캔디캔디』, 미우치 스즈에의 『유리가면』 역사적인 명작들이 속속 발표된다. 당시 활약했던 쇼와 24년(1949년)생 소녀만화가 집단을 ‘꽃의 24년조(花の24年組)’라고 부르는 데, 이를 대표하는 작가가 『포의 일족』 『잔혹한 신이 지배한다』를 그린 하기오 모토다. 이번 전시에는 하기오 모토의 대표작은 물론이고 『에리스의 처녀들』을 그린 사토나카 마치코와 『마을에 부는 산들바람』의 구라모치 후사코, 『바나나 피쉬』 『바닷마을 다이어리』의 요시다 아키미의 작품도 볼 수 있다.

이 시기를 거치면서 일본 소녀만화의 주제는 사랑 이야기를 넘어 시대극과 모험물, SF 등으로 장르가 무한 확장된다. 도쿠 교수에 따르면 “여성 주인공의 자아 실현이 주요 주제가 되고, 멋진 남자를 주인공으로 한 하드보일드한 이야기가 소녀들의 큰 사랑을 받기 시작한 시기”다.
특히 이 시대 작가들은 직사각형을 기본으로 하는 소년만화의 컷 배분 방식과는 다른 과감한 화면 분할과 말풍선의 자유로운 활용 등으로 소녀만화 특유의 미학을 만들어낸다. 전시장에서 관람객들이 가장 많이 몰리는 그림은 『유리가면』의 두 주인공 마야와 아유미가 홍천녀 역할을 두고 싸우는 장면. 삐죽삐죽한 말풍선으로 소녀들의 날카로운 감정을 시각화하고, 사선으로 나눈 칸을 점점 작아지게 배치해, 장기간 이어지는 갈등을 표현했다.

90년대 이후 작품들은 소년만화와 소녀만화의 경계를 넘어선다. 3세대 ‘소녀만화의 새로운 방향성’ 섹션에 소개되는 작가들은 남성 팬도 다수 확보하고 있다. 『음양사』의 오카노 레이코, 『백귀야행』의 이마 이치코, 『서양골동양과자점』의 요시나가 후미다. 이들은 잡지 공모전이 아니라 아마추어들이 자유롭게 작품을 선보이는 코믹마켓을 통해 이름을 알리면서 데뷔한 작가들이란 공통점이 있다. 주인공들은 뚜렷한 개성과 자기만의 세계를 가졌다. 만화의 소재도 일본 신화나 전설을 활용하거나 남성끼리의 사랑을 그린 ‘BL(Boy’s Love)물’까지 다양하다.

‘일본 소녀만화의 세계’는 2005년부터 10년 넘게 이어지고 있는 세계 순회 전시다. 미국에서 만화의 미학과 아동 인지 심리를 연구하고 있는 도쿠 교수가 자신이 사랑하는 일본 소녀만화를 미국인들에게 소개하고자 기획했고, 일본국제교류기금의 지원을 받아 북미와 아시아에서 50회 이상 전시를 이어갔다. 한국전 이후에는 남미 지역으로 넘어간다. 도쿠 교수는 “일본 소녀만화의 장르적 우수성과 변화하는 일본 여성의 역할을 보여주고자 했다”며 “특히 일본 만화에 친숙한 한국 관객들에게는 특별한 의미로 다가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했다.


이영희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