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bble pop!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Bubble pop! (kor)

The Kospi has gone up 25 times compared to its starting base in 1980. The secondary Kosdaq index hovers 16 percent lower than its inception level in July 1996. The market was beyond reach for most ventures and innovation start-ups, as it takes 12.9 years on average to join the Kosdaq. The market is susceptible to price manipulation and other irregularities because of its relatively smaller market capitalization and cheaper prices. It mostly serves as a speculative playing field for retail investors who make up 90 percent of trades.

The latest package of measures from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to upgrade the secondary market aims to fix its weaknesses. The financial authority will arrange a fund that can be tax-deductible up to 3 million won ($2,800). It will establish a broader index combining the Kospi and Kosdaq to pull in pension funds and other big institutional players. A 300 billion won fund also will be created for Kosdaq members.

Listing requirements also will be eased. A company with proven potential will be able to apply for membership even if it does not meet capital or profit eligibility.

The government measures will help improve market conditions in the short-term. The Kosdaq index finished Thursday 2.1 percent higher at 852.51, the first time above the 850 mark in 15 years and nine months.

But eased entry alone won’t just bring in Google- or Alibaba-wannabes. Some companies with big names but bad financial flow can also squeeze in. Despite the greater risks, authorities paid less attention to protect investors.

It is understandable that authorities want to draw capital to the equity market from speculative real estate and cryptocurrency assets. But we cannot afford another bursting Kosdaq bubble. Pension funds must not be pressured by the administration to risk their public assets. The government’s role must stop at improving infrastructure and raising investment appeal.

JoongAng Ilbo, Jan. 12, Page 30


1980년 출발한 코스피지수는 올해 초까지 25배나 올랐는데 코스닥지수는 1996년 7월 출범 당시보다도 오히려 16% 낮은 수준이다. 창업에서 코스닥 상장까지 평균 12.9년이나 걸리니 혁신·벤처기업엔 너무 높은 벽이었다. 주가와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작은 탓에 주가조작 등 불공정행위에도 취약했다. 이러니 기관투자자는 외면하고 개인투자자 비중이 90%에 달하는 개미의 투기장이 돼버렸다.
금융위원회가 어제 발표한 코스닥 활성화 대책은 코스닥시장의 이런 고질병을 정조준했다. 최대 300만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는 코스닥 벤처펀드로 개인 자금을 끌어들이는 한편, 코스피·코스닥을 종합한 대표 통합지수를 만들어 연기금 등 기관투자자의 투자 유인을 확대하기로 했다. 3000억원 규모의 코스닥 스케일업(Scale-up) 펀드도 조성한다. 상장 요건도 대폭 완화했다. 이익을 충분히 못 내도, 자본잠식이 있어도 성장잠재력이 있으면 상장할 수 있도록 문턱을 확 낮췄다.
이번 대책은 단기적으로 코스닥 시장의 수급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어제 코스닥지수가 2% 넘게 오르며 15년 9개월 만에 850선을 돌파한 것도 이런 기대감 덕분이다. 하지만 상장 기준을 낮추면 잠재력 있는 '미래의 구글이나 알리바바'만 코스닥에 입성하는 게 아니다. 현금 흐름이 나빠 결국 망할 위험이 큰 기업도 들어온다. 그만큼 투자 위험이 커지는데도 정책 당국은 투자자 보호보다 모험자금 공급에 더 무게를 뒀다.
정책 당국은 저금리로 넘쳐나는 시중 부동자금을 부동산이나 암호화폐가 아닌 생산적인 코스닥시장으로 끌어들이고 싶을 것이다. 그래도 과거 코스닥 버블 때처럼 무리해서 시장을 끌어올리려는 유혹은 경계해야 한다. 연기금의 코스닥 투자 확대는 철저하게 수익성을 따지는 독자적인 판단의 결과여야 한다. 정부의 역할은 지금처럼 시장 인프라를 개선하고 투자 유인을 높이는 선에서 그쳐야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