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ie film club offers fans a fair crack of the whip : As the field gains popularity, devotees keep the fire burning
Published: 22 Jan. 2018, 18:13
Oh Hyun-do, 23, who won a Korean short film award in 2014 with his work “The Lost Property,” was the lecturer of the day.
“If the people here,” he wondered aloud,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film industry, turn out to become world-class directors or someone big in the years to come, then wouldn’t that be a movie in itself? I love this club because it’s so romantic.”
After the talk, members went out into the streets and filmed a one-minute movie by themselves.
These were members of a club named “Daedokman,” an indie film society for anyone interested in watching or making independent films.
Last January, they met through a mobile app that was designed to connect people with similar hobbies and formed the club for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hadn’t studied film in college but still have a deep interest in the subject.
What started with less than 10 people now has over 250 members. “We found that it was hard to get started in the film industry,” said 31-year-old Yang Ji-sun, the leader of the group, in an interview with the JoongAng Sunday, an affiliate of the Korea JoongAng Daily.
Yang added, “Because insiders already knew each other from the beginning, we started out thinking that if we didn’t have any acquaintances, we could become each others’ supporters.”
According to Yang, indie movies just didn’t have the technology to wow audiences, but the down-to-earth scenes came across as friendly and engaging.
His love for indie film grew after that, and a year ago he suddenly quit his job just to go around watching movies, which led him to found the club.
Alongside Yang was 28-year-old Joe Yoo-nam, who also dreams of becoming a film director. Like many of her peers, she worked her way through university and got herself a steady job at a public institution.
She had established quite a successful career for herself, but just didn’t feel happy. After just a year, Joe ended up quitting her job to join the group and fulfill her lifelong dream.
Because she can’t make a living just by watching movies, she works part-time jobs in offices or as a staff member on sets to make ends meet.
Her wallet may be lighter than when she was a full-time employee, but she’s okay with that. “My mom was really against it when I told her I was going to quit my job,” said Joe, “and that really got to me, but now I feel more alive than ever and I don’t think I’ll ever find anything that gets me so focused.”
Another member, Jo Kyung-muk, hopes to be a voice actor one day, and is learning film on the side while working to make a living during the day. Son Jin-young, 30, runs the acting classes while working as a stage actor.
Some members even have their own filmographies. Lee Woong-bin, 36, was featured in the much-praised movie “Delta Boys” in 2016, and Jung Dae-gun, 31, directed the 2012 documentary “Too Old Hip Hop Kid.”
Choi Jung-han, 30, used to be an athlete when he was younger, but shot four indie films in 2017 alone. Three other members were at the shoot for his film, where they worked as script-writers or time-keepers.
Choi used to think his career was in sports until his freshman year in university, when he quit school to go to the United Kingdom to study film. He came back to Korea after graduation and got himself a job at a film company where he then started from the bottom and began to work his way up.
“If a long movie is like prose,” said Choi, “then a short film is like poetry.”
He added, “The thing about indie films is that the director can get creative and shoot whatever they want, since they’re not bound by money.”
In other words, as indie films get little or no financial backing, directors are relatively free to be more creative.
According to the Korean Film Council, the average amount of funding given to indie films by the council for 2017 was 9.7 million won ($9,118) for short films and 158.2 million won for long films, while the average cost of a commercial film is 5 to 7 billion won.
In the past, those who wanted to set foot on the big scene used to start out by building their own filmography with indie films and then going on to commercial movies. But now, indie films are establishing themselves in their own right, rather than merely being seen as a stepping stone.
Since the release of some famous and welcomed indie films like “The Unforgiven” (2005), “Breathless” (2009) and “Delta Boys,” indie films have become more popular among the general public, and new theatres are opening up that specialize in screening such small-name films to attract enthusiasts.
Big cinemas are also opening up indie-only screens, and the whole trend has gotten more people engaged.
As a result, the number of works submitted to the Seoul Independent Film Festival increased from 623 in 2008 to 1,039 in 2016.
Considering the fact that not all films get submitted to the festival, it’s apparent that indie films are gaining popularity both among consumers and the producers.
But just because indie films are gaining popularity, this doesn’t mean everything is sweetness and light. One of the things that helped make “Delta Boys” famous was that it only cost 2.5 million won to produce, but what people don’t know is that the staff and actors made tremendous sacrifices to achieve that goal.
“The lower the production cost for an indie film,” said Lee, “the greater the tendency is that the movie doesn’t pay its crew, and they struggle, because of course they have to make ends meet. It was hard, but I liked filming it and it was my choice, so I don’t regret anything,”
Lee pursued an acting career in the United States for a while, but decided to return to Korea in 2012.
So how will this real-life movie end?
“When we start shooting a scene,” said Joe, “it suddenly becomes silent. At that moment, I feel so excited and happy. I sometimes do worry about my future, but I trust my future self will be able to handle it.”
BY LEE YU-JEONG [yoon.soyeon@joongang.co.kr]
“인맥도 지식도 없이 도전, 세월 흘러 유명해지면 그 자체가 영화 아닐까요”
“스크립트에 ‘R’은 롤을 의미해요. 디지털 카메라에서 첫 번째 메모리 카드면 R1, 두 번째 메모리 카드면 R2로 써요. ‘S’는 신(scene), ‘C’는 한 컷(cut), ‘T’는 테이크(take)를 의미해요.”
지난 17일 10여 명의 남녀가 서울 서교동의 한 카페에 모였다. 독립영화 관람·제작 동호회 ‘대한독립영화만세’의 회원들이다. 이날은 동호회에서 자체적으로 개설한 촬영반 수업에서 오현도(23)씨가 촬영 현장에서 스크립트 작성법을 알려주고 있었다. 회원들은 실제 촬영 장비를 거리로 들고 나가 1분짜리 실습도 했다.
동호회는 올해 1월 모바일 앱 소모임을 통해 시작됐다. 영화 비(非)전공자들인 평범한 20, 30대가 주축이 돼 일반 극장에서 상영하지 않는 독립영화를 관람하고 궁극적으로 제작도 하는 것이 목표다. 10명도 안 되게 시작한 모임은 1년도 안 돼 250여 명으로 불어났다. 모임장 양지선(31)씨는 “영화계 특성상 인맥이 없으면 힘들더라고요. 없으면 없는 대로 우리끼리 인맥을 만들자고 시작했어요”라고 설명했다.
대학에서 디자인을 전공한 양씨는 의류업계에 오랫동안 종사했다. 우연한 계기에 강남의 한 카페에서 상영하는 단편영화를 보게 되면서 매력에 흠뻑 빠졌다. 정교하게 멋을 부린 상업영화와 달리 서투른 연출이 친근하게 느껴졌다. 지난해 말 불현듯 회사를 그만두고 단편영화를 보러 다니다가 영화를 만들고 싶다는 생각까지 하게 됐다.
운영진 조유남(28·여)씨 역시 뒤늦게 영화감독의 꿈을 꾸고 있다. 그는 남들처럼 평범하게 스펙을 쌓아 첫 직장으로 한 공공기관에 입사했다. 탄탄한 직장이었지만 일하면서 행복하지 않았다. 결국 1년 만에 그만두고 오랜 꿈을 이루기 위해 모임에 들어왔다.
생계는 촬영 현장 스태프, 일일 사무 아르바이트 등으로 유지한다. 안정적인 회사를 다닐 때보단 주머니가 가벼워졌지만 흔히 말하는 ‘아픈 청춘’을 떠올렸다면 오산이다. 조유남씨는 “처음에 회사를 관둔다고 했을 때 엄마가 말리셨던 게 가장 마음에 걸렸어요. 그래도 지금처럼 살아 있다고 느끼고, 신나게 무언가에 몰두하는 게 앞으로도 없을 것 같아요”라고 말했다. 또다른 운영진 조경묵(26)씨는 성우 지망생이다. 틈틈이 공채 시험을 준비하면서 영화 일을 배운다.
동호회 안에는 특정 학교 출신도, 이름 있는 영화감독의 ‘라인’도 없다. 오직 평범한 인맥의 힘으로 굴러간다. 이제 발을 디딘 영화감독, 무명의 배우들이 하나둘 모여 재능 품앗이를 한다. ‘시나리오반’ ‘연기반’ ‘촬영반’ 등 자체 수업을 개설해 영화 공부를 하고 촬영 현장에 인력 지원도 나간다.
운동선수 출신으로 독립영화 연출을 하고 있는 최정한(30)씨는 올해만 네 편의 단편 영화를 찍었다. 세 명의 운영진도 그의 촬영 현장에서 스크립터, 타임키퍼 등으로 참여했다. 그 역시 대학 1학년 때 운동을 그만두고 영화 쪽으로 진로를 틀었다. 영국으로 유학을 다녀온 뒤 한국에 돌아와 영화사에 취직했다. 촬영과 사운드 믹싱 등 밑바닥부터 배웠다. 최씨는 “장편영화가 산문이라면 단편은 시예요. 자본에 구애받지 않고 감독이 원하는 대로 자유롭게 찍을 수 있다는 게 독립영화의 매력”이라고 말했다. ‘연기반’에서 연기를 가르쳐주는 손진영(30)씨는 연극 배우로 활동 중이다.
카메라 작동법과 촬영 기법을 알려주고 있는 오현도씨는 대학에서 영화 전공을 하고 있는 학생이다. 2014년 학교 프로젝트 작품으로 찍은 단편 영화 ‘분실물’이 지난해 한 단편 영화제에서 수상을 하면서 가능성을 인정받았다.
그가 말했다. “영화계에 아무런 인맥, 지식도 없던 사람들이 세월이 흘러 세계적인 감독이 되거나 영화 현장에서 한몫하는 사람으로 성장해 있으면 이거야말로 한 편의 영화가 아닐까요. 이런 영화 같은 낭만 때문에 이 모임을 좋아해요.”
최근 개봉해 호평이 쏟아진 영화 ‘델타보이즈’ 주연 배우 이웅빈(36)씨, 2012년 다큐멘터리 ‘투올드힙합키드’를 연출한 정대건(31)씨 역시 이 모임의 회원이다.
독립영화는 투자·제작사 등 자본 영향력이 작은 만큼 자유롭게 이야기를 꾸려 간다. 단편·장편, 다큐멘터리 등으로 나뉜다. 독립영화의 평균 제작비는 영화진흥위원회의 올해 지원 액수를 기준으로 단편 974만원, 장편은 1억5818만원 정도다. 상업영화의 평균 제작비는 50억~70억원이다.
독립영화로 필모그래피를 쌓아 상업영화로 넘어가는 것이 관례지만 최근엔 그 자체로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가고 있다. ‘용서받지 못한 자’(2005년), ‘똥파리’(2009년), ‘델타보이즈’(2016년) 등 수작들이 꾸준히 나오며 대중적인 인기도 올라갔다. 독립영화관이 생겨나고 멀티플렉스도 전용관이 속속 들어서면서 경쟁도 치열해지고 있다. 서울독립영화제 출품을 기준으로 2008년 623건에서 2016년 1039건으로 늘어났다. 영화제 출품을 하지 않는 영화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더 많다.
이렇다 보니 현실이 마냥 달콤하지만은 않다. 영화 ‘델타보이즈’가 화제된 이유 중 하나는 250만원의 저예산 제작이었으나 그만큼 배우와 스태프의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배우 이웅빈씨는 “독립영화나 저예산 영화일수록 열정페이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 생활인으로서 고민을 다들 한다. 가끔 불안하기도 하지만 영화 자체가 좋았고 제 선택이었기 때문에 후회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에서 배우 활동을 하다가 2012년 한국에 들어왔다.
주연도 조연도 없는 이 ‘현실 드라마’의 엔딩 장면이 문득 궁금해졌다. 조유남씨가 말했다. “촬영 현장에서 슛 들어가면 일순간 조용~해지거든요. 그때 너무 짜릿하고 행복해요. 가끔 미래가 불안해질 때도 있지만 미래의 문제는 그때의 제가 잘 극복해줄 거라고 믿어요.”
이유정 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