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ccident-prone country (kor)
Published: 28 Jan. 2018, 21:13
The fire at the five-story Sejong Hospital caused bigger casualties because the hospital specialized in care for the elderly. The hospital should have taken into account its features in its readiness for an emergency. But witnesses complained that hospital officials were as chaotic as the patients. The Jecheon fire also ended up causing greater damage because the building operator fumbled in its response. The blaze quickly spread due to lack of firefighting facilities. The water sprinklers did not work in the building, but there was no water sprinklers in the first place at Sejong Hospital. Hospital authorities said the building size did not require water sprinklers to be installed. The president held an emergency meeting, and the safety minister and politicians rushed to the scene, another scene we see after every accident.
Investigations are not final, but given the rapid spread of smoke, more lives were lost than should have been due to the unsafe building structure and materials. The hospital also did not have any manual for disasters such as fires and earthquakes. Alarms went off and nurses shouted fire, but the caregivers did not work to evacuate the patients.
The government had promised to make society safer after the sinking of Sewol ferry four years ago. A public safety administration was independently created. But despite all of this, nothing has changed. We witness the loss of lives on the streets and industrial sites and more lives are at risk in multi-functional public facilities.
What the government really must combat is the ills prevalent across the society. We now have become accustomed to the sight of major accidents. Our lives are at risk in a safety-poor society. The public too must become more aware. Instead of all the big talk, the government must show actions and address dangers in the society.
JoongAng Ilbo, Jan. 27, Page 26
경남 밀양시 세종병원 화재 참사는 한국인들이 얼마나 위험한 곳에 살고 있는지를 다시 한번 여실히 보여줬다. 29명의 목숨을 앗아 간 충북 제천시 복합상가 화재가 일어난 지 한 달여 만에 거의 ‘판박이’라 할 수 있는 참극이 재연됐다. 급유선이 낚싯배를 추돌해 15명이 숨지는가 하면, 신생아 중환자실에 있던 미숙아 4명이 병원 과실로 세상을 떠났고, 서울 도심의 숙박업소에서 불이 나 6명이 유명을 달리했다. 모두 최근 한두 달 새 벌어진 일이다. 밀양 화재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고령인 환자들이 많이 입원해 있었기 때문에 큰 인명피해로 이어졌다. 병원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해 정교한 대응책이 마련돼 있어야 했다. 하지만 현장에서 빠져나와 다행히 화를 면한 이들에 따르면 병원 관계자들의 체계적 대응이 없다시피 한 상황이었다. 건물 관리인이 어찌할 바를 몰라 피해를 키운 제천 사건과 흡사하다. 방재 설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아 연기가 삽시간에 퍼진 점도 닮은꼴이다. 제천 상가 건물에는 스프링클러가 있었으나 작동되지 않았고, 세종병원에는 아예 스프링클러가 없었다. 건물 규모가 작아 설치 의무가 없었다고 한다. 청와대에서 회의가 부랴부랴 열리고, 행정안전부 장관과 주요 정당 대표들이 앞다퉈 현장으로 달려가고, 현장에 대규모 인력이 투입된 대응센터가 만들어진 것도 제천 사건의 복사판이다. 화재 원인은 차차 규명되겠지만 이번 참사에서도 연기가 급속히 건물 전체에 퍼진 점으로 미뤄 볼 때 건물 구조나 마감재가 대규모 희생을 불렀을 가능성이 있다. 화재·지진 등의 재난 상황에 대한 매뉴얼이 없거나 있어도 허울뿐이었을 것으로 의심된다. 간호사가 대피하라고 소리만 질렀다거나 비상벨이 울렸지만 간병인이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았다는 생존자 증언이 속속 나온다. 4년 전 세월호 참사가 일어났을 때 다들 안전한 대한민국을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정부는 행정안전부에서 소방과 방재 부문을 떼어내 국민안전처라는 별도의 부처를 운영하기도 했다. 일제 점검을 하고, 관련 인력을 늘리며 야단법석을 떨었다. 정부가 바뀌었지만 달라진 것은 하나도 없다. 크레인이 시내버스를 덮치고, 산업 현장에서의 떼죽음이 잇따른다. 소방 설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다중이용시설이 시민의 생명을 노리고 있고, 대피 통로는 막혀 있기 일쑤다. 진짜로 맞서 싸워야 할 ‘생활 적폐’가 곳곳에 쌓여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국민 안전을 정부의 핵심 국정 목표로 삼고 관리하겠다”고 다짐했지만 잇따른 참사를 지켜본 국민들은 공허하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고귀한 생명들이 한순간에 희생되는 일이 어느덧 익숙한 풍경처럼 됐다. 우리는 여전히 '안전 후진국'에서 갇혀 살고 있는 것이다. 국민 스스로가 나서야 하는 문제이기도 하다. 정부도 이러한 냉엄한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주변의 위험들을 하나씩 없애는 데 앞장서야 한다. 구호 외치기와 법석 떨기로만은 세상을 바꿀 수 없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