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presenting Koreans (kor)
Published: 20 Feb. 2018, 21:59
The opportunity came suddenly in February 1992. Kim was the mayor of Diamond Bar, a city in Los Angeles County, after serving as a CEO at an engineering firm for 20 years. As the population of California was growing, the 41st congressional district that included Diamond Bar was redistricted. While he had only served as a council member and mayor for a year each, he could not pass up the chance to run for a seat in the House of Representatives.
However, mainstream candidates also saw the opportunity and 16 of them, including California assemblyman Chuck Bader and Department of Commerce attorney Jim Lacy, joined the race. In the first opinion poll, local veteran politician Bader got 50 percent support and Lacy got 20 percent, while Kim only got 3 percent. He considered withdrawing, but decided to stick it out.
On April 29, the Los Angeles riots erupted. As many Korean-owned stores were looted and burned down, discord between Koreans and African-Americans was high. It had a critical impact on the election. The situation changed as Koreans were seen protecting the town by themselves even when the authorities could not. Kim was a part of this and was seen as a hero, thus making a name for himself.
His election strategy, to use his business experience to distinguish himself, also worked. At the debate, he said that he did not have accomplishments as a career politician and was not as articulate as a lawyer, but he was an engineer who did not lie. Just as he had operated the city’s finances well and made savings in the bank, he promised to run the government like a company to make sure there was no deficit. In the Republican primary, he defeated other competitors and was nominated as the Republican candidate. In the election in November, he earned 59.6 percent of the votes and became the first Korean-American to be elected to the U.S. House of Representatives. He was reelected in 1994 with 62.1 percent and in 1996 with 58.6 percent and served three terms.
After Kim recounted his story, I asked him if there was a way to make a second Jay Kim in the 2018 midterm election. I was asking about a strategy to move past the current situation, where not a single Korean American has represented the people in Washington for two decades. As 10 Korean-Americans are running, he said, “Elections cannot be won with luck, doctor’s degrees or money.” He also said that the strategy of winning minority votes could not succeed without the support of mainstream voters, who make up 70 percent. Kim said that elections could be won when candidates win white voters’ support and compete against white competitors. He seems to think Korean-American candidates need to stop appealing solely to Koreans to survive.
JoongAng Ilbo, Feb. 20, Page 30
*The author is a Washington correspondent of the JoongAng Ilbo.
JUNG HYO-SIK
미국 이민사 110년이 넘는 동안 한인 연방 의원은 지금까지 제이 김(김창준·79) 전 하원의원이 최초이자 유일하다. 설 직후 김 전 의원에게 전화를 거니 26년 전 1992년 첫 선거의 기억이 지금도 생생했다. 그해 2월 기회가 갑자기 찾아왔다. 엔지니어링 설계회사 대표(CEO)를 20년 한 뒤 로스앤젤레스(LA) 위성도시인 다이아몬드바 시장 시절이었다. 캘리포니아 인구가 팽창해 다이아몬드바를 포함한 하원 지역구(41구)가 새로 생겼다. 시의원과 시장으로서 각 1년여 짧은 행정 경험이 전부였지만 연방 의원에 도전할 기회를 놓칠 순 없었다. 하지만 무주공산의 기회이긴 주류 백인 후보에게도 똑같았다. 척 베이더 주 하원의원, 짐 레이시 미 연방 상무부 변호사 등 16명의 후보가 난립했다. 첫 여론조사에서 지역 정치 베테랑이던 베이더 전 의원이 50%, 레이시가 20%, 김 전 의원은 3%밖에 나오지 않았다. 포기할까 망설였지만 도전을 멈추지 않았다. 4월 29일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미 역사상 최악의 LA 흑인 폭동사태가 벌어졌다. 코리아타운 한인 상점들이 약탈과 방화의 표적이 되면서 한·흑 갈등이 부각되고 한인에 대한 비난여론이 일었다. 선거엔 치명적이었다. 그런데 반전이 생겼다. 무정부 상황에서 한인 스스로 공기총·BB탄총으로 타운을 지키는 모습이 용감한 한인들로 집중 조명을 받은 것이다. 김 전 의원도 영웅 대접을 받으며 부상하는 계기가 됐다. CEO 출신 정치인으로 경쟁 후보와 차별화한 선거전략도 먹혔다. 정당 연설회에서 “직업 정치인으로 내세울 업적도 없고, 변호사처럼 말도 잘 못하지만 엔지니어로 거짓말을 할 줄 모른다”며 “시 재정을 은행에 저축할 정도로 운영했듯이 정부도 기업처럼 적자가 없도록 하겠다”고 해 기립 박수를 받았다. 공화당 경선에서 김 전 의원이 백인 경쟁자들을 모두 제치고 공화당 후보가 되는 이변이 벌어졌다. 이어 11월 본선에서 득표율 59.6%로 민주당 후보를 압도적 표 차로 누르고 첫 한인 연방 하원의원에 당선됐다. 이어 94년, 96년 선거도 62.1%, 58.6%로 승리해 3선을 내리 했다. 이야기를 마친 김 전 의원에게 "2018년 중간선거에서 제2의 제이 김을 만들 방법이 없느냐"고 물었다. 20년째 워싱턴에 한인 대표 한 명 없는 상황에서 벗어날 전략을 물은 것이다. 10명의 한인 후보에게 그는 "선거는 운이나 박사 학위나 돈으로 되지 않는다"는 말부터 했다. 그러면서 70%가 넘는 주류 지지 없이 중국계나 인도계 등 다른 소수민족 지지를 받는 전략은 성공을 못한다고 했다. 결국 백인 사회로 들어가 백인 유권자의 마음을 사고 백인 후보와 경쟁해야 당선 가능성이 있다는 게 김창준의 충고였다. 코리안을 버려야 살아남을 수 있다는 얘기로도 들렸다. 정효식 워싱턴 특파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