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 Cho Seong-jin, each performance is time to practice: The pianist talks style and being a perfectionist

Home > Entertainment > Music & Performance

print dictionary print

For Cho Seong-jin, each performance is time to practice: The pianist talks style and being a perfectionist

테스트

[JTBC]

Star pianist Cho Seong-jin’s calendar for the next few years is so booked that it is nearly impossible for local media to sit with Cho for an exclusive interview. Thankfully, the 24-year-old pianist made time to appear as the first guest on the second season of JTBC’s online classical music program, “Classic Today,” which is hosted by this reporter. The first episode, which aired via Facebook and Youtube on Feb. 9, was watched by thousands of viewers. During the interview, Cho talked in detail about how he practices, his style and what he pursues through music.

After becoming the first Korean winner of the highly acclaimed International Frederic Chopin Piano Competition in 2015, Cho has been going nonstop, accomplishing his goals step by step. He made his Carnegie Hall debut last year and toured with the prestigious Berlin Philharmonic Orchestra. Busy performing across the globe, Cho’s few concerts at home have sold out in just seconds, setting a new milestone for the popularity of classical music in Korea. The pianist says he’s going to be performing a lot more this year at home to express appreciation for his Korean fans. The following are the edited excerpts from the recent interview with Cho.



테스트

Pianist Cho Seong-jin, left, appears on JTBC’s online classical music program “Classic Today,” hosted by JoongAng Ilbo reporter Kim Ho-jeong, right. [JTBC]

Q. How do you practice? Do you have any secret tips?

A.
Not at all. For example, when I practiced Ravel’s “Piano Concerto in G major,” which I performed with the Berlin Philharmonic, I repeated the process of playing only the first page of my solo part over and over. I play it at a slow tempo first then build up from there. Then, I try diverse ways of playing by putting emphasis on different areas, try to angle my hands differently and so on. But fundamentally, I don’t really like to pass the bounds of what is written by the composer.



You have so many concerts scheduled that it seems like you don’t have much time to practice. How are you handling it?

This is what I’ve always wanted to do. I especially have fun polishing my performance each time I perform. Sometimes, I make mistakes on stage because I get nervous even if I didn’t have any problems while practicing. When that happens on stage, I mark those parts I got wrong on my music sheet as soon as I return to my waiting room. I make notes using triangles, stars and circles according to which mistakes I’ve made and write them on a post-it. This helps me not to make the same mistakes the next time I perform and repeating this process eventually improves my performance.



So do you think the number of concerts you feel satisfied with have increased over the years?

I feel the happiest when I’m satisfied with my performance. I think I have played Chopin’s “Piano Concerto No. 1” at least 60 times over the last two years since I won the Chopin competition. I stopped counting after the 50th time. Playing the same piece so many times allowed me to really better my performance. So these days, I try to use the same program at least 10 times for different concerts and I am thankful that I have the opportunity to perform that many times.



I don’t think having a good ear is something that you can acquire through practice. On stage, do you perform with the instinct of a pianist?

Actually, it can be acquired through practice. You can achieve just about anything through practice. On the contrary, I believe that being technical is an inborn talent. Anyone can reach their goals through practice. The only difference would be the intensity of the practice depending on what you are born with or without. For example, I like Prokofiev, but his “Sonata No. 7” is very difficult for me to play. I understand in my head that I need to make coarse sounds but it is not easy for me to produce that. Perhaps that is because I have always preferred to make elegant sounds on the piano since I was a kid. Since that style is very different from Prokofiev’s music, it is difficult for me to play.



You seem to be quite sensitive to subtle differences. Do you agree?

I’m a bit of a perfectionist so I had a hard time recording my album. From beginning to end, I try to play all the pieces in one take. That was very difficult. Other than couple of numbers in Debussy’s “Images” and “L’isle Joyeuse,” I was able to record most of the songs in one take.



Usually, pianists edit the album and it is finished by re-recording parts of the pieces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Did you do that?

I realized that I can’t do that when I was recording Chopin’s “Ballade No. 1.” I played it about 30 times. When I listened to the whole album from the beginning, I wasn’t satisfied with one area so I wanted to re-record that section with a different take. When we tried that, it didn’t sound right. It didn’t flow naturally because I played it differently each time. So, when I recorded Debussy’s pieces, I wanted to record them in one take.



On your Debussy album, what was the piece that you played the most? How many times did you play it?

I think I have a strange personality. If I make a mistake while playing, I don’t continue to finish the piece. I just stop playing it completely and start from the beginning. So it was hard for me to play technically difficult pieces. I think I played “Images, Book 1, No. 3” at least 100 times. I have to record until I’m satisfied with the result. If I’m not satisfied with the recording, I have to re-record it until it feels right. Since I am confident playing those pieces, I have to perfect them. It was easier recording the concertos because the pieces tend to flow naturally. But the solo parts are the difficult ones. I tend to be a perfectionist when it comes to music. I don’t think I’m a very meticulous person, but when it comes to music, I turn into a perfectionist.



Ultimately, were you satisfied with the recording?

At the time, I was satisfied but when the producer sent me the final work, I wasn’t. I listened to the whole album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and was satisfied with some pieces and not with some others. In my recent album, my favorite is Debussy’s “Suite Bergamasque.”



How do you find your own sound?

Up until middle school, I thought it was important to be different and stand out from the others. But, later I realized that playing differently from others doesn’t make me special. As long as I play the piano, my own style is bound to be heard. So it’s been a while since I cared about having my own unique sound or style. Rather than being obsessed about how to show my own interpretations of the music, I just play whatever way I feel is right at the moment.



You seem to spend more time studying music scores than actually playing them. Is that true?

I don’t practice that much. When I say this, my friends think I’m being coy, but I think each person has different capacities to practice. I start to get tired after four to five hours of practicing and lose my focus. If that happens, I think practicing isn’t worth all the effort after that. So when I don’t practice, I spend time studying scores.



Since you’ve accomplished many of your goals from a young age, it seems like you have no more goals to tick off. Is there anything else you want to achieve?

After I performed with the Berlin Philharmonic, I was re-invited to perform at the Carnegie Hall. Moreover, after performing with the Berlin Philharmonic, my position in my career has completely changed and I’ve been getting endless invitations to perform. I want to have more opportunities to perform under diverse conductors.



Is performing with a great maestro exciting for you?

I enjoy watching conductors rehearse. I often watch conductors rehearse on Youtube. I especially like to watch performances of maestros like Harnoncourt, Karajan, and Kleiber. I watch and try to figure out what it is they’re thinking about and what kind of sounds they want to achieve and pursue.



Do you have any interest in becoming a conductor in the future?

I want to conduct but I have no interest in becoming a conductor. I want to conduct Mozart Concertos maybe 10 to 20 years from now, but not as a full time conductor who has to be responsible for an orchestra. I don’t think I’m fit to be one.



Do you plan to expand your repertoire?

Yes, I actually realized that there aren’t that many composers. Once, I listed the names of all the composers from A to Z and the number was less than 20. Starting from Bach and Beethoven, to Chopin, and Debussy and Mozart… Oh, there are great composers starting with “S” like Schumann and Schubert. There are so many great compositions to play as a pianist but they are all from those 20 composers. So, I plan to cover all the composers.

BY KIM HO-JEONG [[email protected]]



조성진 "나는 음악할 땐 이상할 정도로 완벽주의자"

“음악할 때는 완벽주의자로 변한다.” 피아니스트 조성진(24)이 연주를 만드는 스타일에 대해서 이야기 했다. 조성진은 지난해 말 JTBC 고전적하루와의 인터뷰에서 자신만의 음악적 목표와 거기에 도달하는 방법을 설명했다.

조성진은 2015년 쇼팽 국제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했고 지난해 뉴욕 카네기홀에 데뷔, 베를린 필하모닉과 협연했다. 국내 무대에 설 때마다 짧은 시간에 티켓을 매진시키는 최근 음악계의 빅스타로 떠올랐다. 고전적하루 조성진 편은 인터뷰와 연주를 포함하고 있으며 9일 1회가 업데이트됐고 23일까지 금요일마다 총 4회가 공개된다. 페이스북과 유튜브에서 볼 수 있다. 조성진은 고전적하루에서 연습 방법, 추구하는 연주 스타일 등에 대해 말했다.



질의 :연습을 어떻게 하나. 비법이 있나.

응답 :“전혀 없다. 예를 들어 베를린필과 협연한 라벨 협주곡 2악장 같은 경우는 솔로 첫 페이지를 계속 쳐본다. 한번은 느리게, 한번은 또 다른 템포로. 그런 다음에 그 안에서 어디를 클라이막스로 둘까, 어떤 부분을 작게 했다가 올라가야 하나, 무게는 어느정도로 해야할까, 손 각도를 어떻게 해야되나 정한다. 기본적으로 작곡가가 적어놓은 것에서 너무 벗어나는 건 안 좋아한다.”



질의 :연습보다 실전 무대가 더 많이 이어지는 스케줄로 보인다.

응답 :“내가 하고 싶었던 일이다. 특히 재미있는 것은 연주를 점점 만족스럽게 만들어보는 것이다. 연습할 때는 괜찮은데 무대에서 긴장한 나머지 잘 못한 부분이 있다. 그런 부분을 끝나자마자 대기실로 가서 악보에 표시를 해본다. 세모, 별표, 동그라미를 치고 포스트잇을 붙여놓는다. 그러면 다음엔 그 부분이 괜찮아진다. 다른 부분이 이상해지면 또 표시를 해놓고 그럼 좀 연주가 나아진다. 그게 재미있다.”



질의 :만족할 수 있는 연주가 점점 많아지나.

응답 :“만족할 수 있는 연주 하는 게 제일 행복하다. 쇼팽 콩쿠르 이후 2년동안 쇼팽 협주곡 1번만 60번 정도 연주했다. 50번 이후부터는 세는 걸 그만뒀다. 근데 그 정도 하니까 만족할만한 연주가 점점 더 나온다. 요즘에는 같은 프로그램을 10번 정도 하는 게 좋은 것 같다. 그리고 그렇게 10번 정도 할 수 있다는 게 행운이다. 쇼팽 콩쿠르 우승 이전에는 이거 했다 저거 했다, 투어는 상상도 못했다.”



질의 :무대에서는 본능적으로 판단해서 연주하나. 음색에 대한 감각 같은 건 연습으로 얻을 수 있는 거 아닌듯 하다.

응답 :“연습으로 된다. 연습으로 웬만한 건 다 된다. 오히려 테크닉이 안되는 것 같다. 기술적인 건 오히려 타고나는 것 같다. 누구든지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데 얼마나 힘들게 가느냐의 문제인 것 같다. 예를 들어 나는 프로코피예프를 좋아하지만 소나타 7번이 어렵게 느껴진다. 거친 소리를 내야겠다는 걸 아는데 그게 쉽게 되진 않는다. 프로코피예프 6ㆍ7ㆍ8번 소나타는 어두우면서 귀에 거슬리는 소리를 내야 하는데 힘들다. 내가 항상 고급스러운 사운드를 어려서부터 추구하고 노래를 하려고 노력했다. 근데 프로코피예프는 노래하고는 거리가 있기 때문에 힘들게 느껴진다.”



질의 :굉장히 미묘한 차이에 대해 예민한 듯하다.

응답 :“좀 완벽주의자라서 음반 녹음하기도 힘들었다. 처음부터 끝까지 거의 모든 곡을 한번에 쳐서 녹음하는 원테이크로 갔다. 정말 힘들었다. 드뷔시 ‘영상’ 몇 곡과 ‘기쁨의 섬’ 빼고는 다 한번에 녹음했다.”



질의 :보통은 마음에 안 드는 부분을 다른 녹음에서 따와서 편집하지 않나.

응답 :“쇼팽 발라드를 녹음할 때 느낀 건데 발라드 1번을 30번 정도 쳤다. 다 들어봤는데 이 부분이 마음에 안 들어서 그 부분을 다른 테이크로 들어보면 흐름이 안 맞았다. 다른 식으로 쳤기 때문이다. 그래서 드뷔시할 때는 웬만하면 원테이크로 가자고 생각했다.”



질의 :이번 드뷔시 앨범에서 가장 많이 연주한 곡은 뭐고 몇번이나 쳤나.

응답 :“내 성격이 좀 이상하다. 치다가 중간에 틀리면 그냥 버리고 끝까지 안 쳤다. 그래서 테크닉적으로 어려운 곡이 힘들었다. 드뷔시 ‘영상’ 1권 3번 움직임은 100번 정도 했던 것 같다. 녹음은 그래도 만족할 때까지 해야된다. 녹음이 만족스럽지 않으면 안된다. 자신 있는 곡이고 만족스럽게 하려고 녹음 하는 거니까. 협주곡 녹음은 오히려 더 쉬웠다. 자연스럽게 흘러가니까. 근데 독주는 더 어려웠다. 음악에 있어서는 완벽주의적 성향이 있다. 꼼꼼한 성격도 아닌데 음악할 때만 꼼꼼하고 완벽주의자처럼 변한다.”



질의 :최종적으로는 만족스러웠나.

응답 :“당시에는 만족스러웠는데 프로듀서가 보내주면 또 만족스럽지가 않다. 한번 쫙 들어보니 마음에 드는 곡과 그렇지 않은 곡이 있었다. 그러면 그 다음부터는 듣지를 않는다. 이번 앨범에서는 베르가마스크 모음곡이 제일 마음에 들었다.”



질의 :자신만의 소리와 해석은 어떻게 찾나.

응답 :“중고등학생 정도까지는 개성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남들과 다르게 치는 게 개성이 아니라는 것을 느꼈다. 내가 피아노를 치는 한 나만의 목소리는 어떻게 해서든 나온다. 그래서 개성에 신경을 안 쓴 지 꽤 됐다. 나만의 해석을 보여주겠다는 생각 보다는 악보를 딱 보고 생각나는 대로 친다.”



질의 :건반을 두드리는 시간보다 악보보며 생각하는 시간이 더 많은 듯하다.

응답 :“연습을 그렇게 많이 하는 스타일이 아니다. 이렇게 말하면 친구들이 내숭이라고 하지만…. 사람마다 맞는 연습량이 있는 것 같다. 나는 너댓시간 이상하면 힘들고 집중도 안된다. 그 이후로는 오히려 실력이 떨어지는 것 같다. 연습 안 할 때는 악보를 보고 고전ㆍ낭만 곡은 여기에서 포인트를 줬구나 하고 깨닫는다. 음악도 듣는다. 사실 음악을 연구하는 시간이 그렇게 많지도 않다. 그냥 누워있고 배고프면 밥 먹는다.”



질의 :그냥 보기에는 더 이상 추구할 목표가 뭘까 싶다.

응답 :“베를린필과 연주가 확정되고 나서 카네기홀에서 재초청을 받았다. 2018-19 시즌에 카네기홀에서 독주회를 또 한다. 베를린필과 연주한 후 경력 면에서 내 위치가 완전히 바뀌고 연주 제의가 정말 많이 들어왔다. 신기했다. 문제는 지휘자다. 더 좋은 지휘자를 만날 기회가 많으면 좋겠다.”



질의 :좋은 지휘자가 자극이 되나.

응답 :“지휘자의 리허설 보는 것을 좋아한다. 유튜브에서 지휘자들의 리허설을 찾아서 만날 본다. 아르농쿠르, 카라얀, 클라이버가 리허설 하는 게 재미있다.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뭘 원하는지 본다.”



질의 :지휘자가 될 생각도 있나.

응답 :“지휘는 하고 싶지만 지휘자가 되고 싶지는 않다. 10년,20년 후에 모차르트 협주곡 정도는 지휘하면서 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지만 악단을 맡아서 하고 싶진 않다. 그릇이 안되는 것 같다.”



질의 :앞으로 어떤 레퍼토리를 늘릴 생각인가.

응답 :“사실 작곡가가 그렇게 많지는 않다. 한번은 A부터 Z까지 작곡가 이름을 나열해봤는데 20명 미만 정도였다. 바흐로 시작해서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 드뷔시…. S는 좀 많아서 슈만, 슈베르트. 그래도 20명이 채 안됐다. 피아노 곡은 많지만 작곡가는 별로 없다. 그러니까 다 해야된다.”


김호정 기자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