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new perspective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A new perspective (kor)

A Korean expat in the United States told me that even though she pledged not to have more children in Seoul, she is now pregnant with her second child in the United States. Three other families in the neighborhood are also having children. I thought of the neighbors in the television drama Reply 1988. That year, the total fertility rate was 1.6.

Why did this family change their mind? First of all, the husband was coming home early, as company outings are rare and there are not many bars in the area. As the father stays home longer, he is more involved in the household. According to an OECD survey, the average American men spends 2 hours and 30 minutes doing housework a day, far longer than Korean men’s 45 minutes. Thanks to the physical distance, the couple isn’t forced to fulfill the expected roles of a daughter and son-in-law. Thanks to company housing, the family has one less thing to worry about. Educational expenses are minimal.

There is a version of this utopia in Korea. The city of Sejong has had the top birth rate for three consecutive years. Last year’s fertility rate was 1.67, close to the OECD average. Stable jobs of civil servants, relatively affordable housing prices and close proximity between workplace and home contributes to the quality of life. Once I had a dinner meeting in Sejong, and a civil servant went home to give dinner to his children and returned 30 minutes later. I thought it was a great place to raise children.

Young people would choose to have children in this kind of environment. But it is nearly impossible to create and takes time. The government’s budget and policies are limited in bringing changes.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is year’s budget, a large sum was allocated to boosting the fertility rate. But large budgets have failed to increase the fertility rate — last year’s was the lowest in history.

Austrian demographer Wolfgang Lutz argues that when the fertility rate falls below 1.5 and stays there, it is hard to bounce back. The population reduction leads to a decrease in fertile women, and the ideal number of children goes down. When young people feel that expected income in the future is not up to their desired spending, they are likely to have fewer children. This is exactly the situation that Korea is in.

Now, we need a new perspective on human resources. Rather than obsessing over the fertility rate, we should consider policies responding to the decrease in production of population and aging, such as automation, AI and robot technologies, as Japan has done. Government policies so far have focused on having and raising children. But many young people ask why they need to have children. They think better job prospects, less traffic, less pollution and lower housing prices would be nicer.

I also want the fertility rate to go up, but objective indicators say otherwise. Young people who don’t know why they need to have children deserve an answer as much as those who ask for support to have children.


JoongAng Ilbo, March 29, Page 34

The author is a deputy editor of JoongAng Sunday.

PARK HYUN-YOUNG


미국에 사는 주재원에게 들은 얘기다. 서울에 있을 때는 아이를 더 안 낳겠다고 한 아내가 둘째를 임신했단다. 이웃 가족도 동시에 아이를 가져 동네에 임신부가 4명이나 됐다고 한다. ‘응답하라 1988’의 골목길 풍경이 떠올랐다. 그해 합계출산율은 1.6이었다. 이 가족은 왜 생각이 바뀐 걸까. 우선 남편의 귀가 시간이 빨라졌다. 저녁 회식 문화가 없는 데다 술집도 흔치 않기 때문이다.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면서 여느 미국 아빠들처럼 집안일도 적극적으로 한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미국 남성의 가사 노동 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30분, 한국 남성은 45분이다. 물리적 거리 때문에 며느리·사위 역할은 면제다. 당분간 집 걱정도 덜었다. 사교육비도 거의 안 든다. 국내에도 비슷한 곳이 있다. 3년째 출산율 1위 세종시다. 지난해 출산율은 1.67로 OECD 평균(1.7)에 가깝다. 공무원이라는 안정적인 일자리, 비교적 싸게 장만한 집, 직장·주거 근접 덕분에 삶의 질이 높다. 한번은 세종시에서 저녁 모임을 하는데 한 남자 공무원이 집에 가서 아이들 식사를 챙겨 주고 돌아온 적이 있었다. 아이 키우기 좋은 곳이라고 생각했다. 이 정도는 되어야 청년층이 출산을 선택할 것 같다. 하지만 모두에게 이런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나라를 새로 세우는 수준의 변화가 필요하다. 불가능에 가깝거나 오래 걸린다. 특히 정부가 예산과 정책만으로 변화를 끌어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 정부는 내년도 예산 지침을 의결하면서 어김없이 저출산 대책에 예산을 중점 투입하기로 했다. 하지만 증액이 능사는 아니다. 10여 년간 거액을 투입했지만 출산율은 오히려 역대 최저(1.05)로 떨어졌다. 오스트리아 인구학자 볼프강 루츠는 ‘저출산의 덫’ 가설에서 출산율이 1.5 미만으로 떨어져 그 수준이 상당히 오래가면 1.5 이상으로 회복하기 매우 어렵다고 주장했다. 가임 여성 수가 줄고, 청년 세대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자녀 수도 줄며, 미래 기대 소득이 소비 열망에 못 미친다고 판단하면서 자녀를 적게 낳는다는 것이다. 딱 한국 상황이다. 이쯤이면 인적 자원에 대한 새로운 시각이 필요하다. 출산에만 매달릴 게 아니라 일본처럼 자동화와 인공지능, 로봇 기술 등 생산인구 감소와 고령화에 대응하는 정책을 함께 펴야 한다. 지금까지 정부 정책은 자녀를 낳고 키우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하지만 대다수 청년은 왜 아이를 낳아야 하느냐고 질문한다. 취업난이 사라지고, 차가 덜 막히고, 오염 배출이 줄고, 집값이 내려가면 좋은 것 아니냐고 묻는다.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출산이 늘면 좋겠다. 하지만 객관적 지표는 그렇지 않다고 말한다. 낳고 싶으니 지원해 달라는 젊은 층뿐아니라 왜 낳아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청년들에게도 응답해야 한다. 박현영 중앙SUNDAY 차장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