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foreign exchange sovereignt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On foreign exchange sovereignty (kor)

On Sept. 22, 1985, Japan’s Finance Minister, Noboru Takeshita, was all smiles as he left the Plaza Hotel in New York. He had just come out of a pleasant meeting with ministers from France, Germany, the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All five had signed a two-line statement agreeing to work toward lowering the value of the U.S. dollar and cooperating on fiscal and monetary policies to reduce external imbalances.

He had no idea that Japan’s two “lost decades” would lie ahead.

Japan was briefly at ease after the Plaza Accord. But the magnitude of yen revaluation ended up being far greater than the expected 15 to 20 percent. Its exchange rate with the dollar went from 240 yen ($2.26) right after the meeting to 120 yen by the end of 1987.

The yen’s rise caused real estate and stock prices to soar. Domestic consumption skyrocketed, creating an economic bubble. When it burst in the 1990s, a long slump followed.

The Plaza Accord was an outcome of the United States trying to solve its own economic issues with international politics after struggling with twin deficits in budget and trade in the 1980s. Washington raised interest rates to control inflation, but the trade deficits continued.

Japan became a U.S. target because it had the biggest trade surplus with the United States. Washington’s leverage was security cooperation. Japan was rather flattered that America, a superpower, was asking for a favor. Japan was confident in its economy and felt it had gotten revenge for its defeat in World War II.

The attitude of the United States toward its free trade agreement (FTA) and exchange rates with Korea reminds me of the way it handled the Plaza Accord 33 years ago. The U.S. trade representative included an agreement on exchange rates among the outcomes of its negotiations with Seoul.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denied rumors of a secret agreement on currency exchange, saying negotiations were still in progress on that front.

The move is meant to help Korea avoid being designated a currency manipulator by the United States, but it could affect our exchange rates. The free trade agreement is about individual products, but exchange rates directly affect overall exports.

The Korean government argues that the free trade agreement and exchange rates are separate issues. But the United States has abandoned the dignified stance of separating economics from politics. President Donald Trump, a businessman, has suggested linking implementation of a new FTA to a meeting on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In Seoul, trade policies fall under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while exchange rates are overseen by the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Washington is playing a game of football with Trump as a player, but Seoul is fielding people who are sticking to their assigned positions.


JoongAng Ilbo, April 2, Page 31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for the JoongAng Ilbo.

LEE HYUN-SANG

앞으로 닥칠 '잃어버린 20년'은 상상도 못 했으리라. 1985년 9월 22일 뉴욕 맨해튼 플라자호텔에서 다케시타 노보루 대장상(지금의 재무상)의 표정은 밝았다. 미·영·독·프 등 다른 G5 재무장관과 함께 화기애애하게 담소를 나누고 20분 만에 두 줄짜리 성명에 서명했다. '미 달러화 가치를 내릴 수 있도록 서로 노력하고 대외 불균형 축소를 위해 재정·통화 정책을 공조한다'.
그러나 일본의 여유는 잠깐이었다. 당초 15~20% 정도로 예상했던 엔화 절상 폭은 예상을 훨씬 뛰어넘었다. 회담 직후 240엔대였던 엔·달러 환율은 87년 말엔 120엔대까지 올라버렸다. 엔고가 되면서 부동산과 주식이 급등하고 내수가 팽창하는 등 거품 경제가 봄날 벚꽃처럼 피었다. 하지만 90년대로 접어들며 거품은 꺼지고, 긴 침체의 터널이 시작됐다.
플라자합의는 1980년대 쌍둥이(무역과 재정) 적자에 시달리던 미국이 경제 문제를 국제 정치로 푼 결과다. 당시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올린 금리 때문에 달러 강세와 무역 적자가 계속되자 최대 무역 흑자국 일본을 타깃으로 삼았다. 협박의 지렛대는 '안보 공조'였다. 막상 당하는 일본은 세계 최강 미국이 자기들 앞에서 아쉬운 소리를 하는 상황이 싫지만은 않았다. 덩치 커진 경제에 자신감을 얻은 일본에서는 "미국에 2차 대전 패배의 복수를 했다"는 정서까지 있었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환율 문제 등을 놓고 나오는 미국의 모양새가 33년 전 플라자 합의 때를 똑 닮았다. 미국무역대표부(USTR)가 '미국의 새 무역정책과 국가 안보를 위한 한국 정부와의 협상 성과'에 '환율 합의'를 집어넣은 대목이 찜찜하다. 기획재정부는 환율 이면합의설을 부인하면서도 '외환시장 미세조정'의 내용을 공개하는 협의는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환율조작국 지정을 피하기 위한 양보라고는 하나, 아무래도 환율 정책이 위축되기 쉽다. FTA는 개별 물품의 문제지만, 환율은 수출 전체와 직결되는 문제다.
우리 정부는 "FTA와 환율 문제는 별개"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상대인 미국은 이미 정치와 경제를 구분하는 '점잖은' 자세를 버렸다. 트럼프는 사업가 대통령 아니랄까 봐 FTA 개정을 북핵 회담과 연계할 뜻까지 비쳤다. 이 와중에 우리는 통상은 통상교섭본부에서, 환율은 기재부에서 알아서 할 문제라고 벽 쌓기에 급급하다. 미국은 대통령까지 같이 뛰는 현대식 '토털 축구'를 펼치는데, 우리는 아직도 각자 포지션에만 매달리는 '동네 축구'를 하고 있다.

이현상 논설위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