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ina can’t go wobbly (kor)
Published: 05 Apr. 2018, 19:15
News reports say that several Chinese companies stopped repatriating North Korean workers from border cities including Dandong, Liaoning province. UN Resolution 2397, which was adopted last December, stipulates that North Korean laborers working in foreign countries be repatriated within 24 months. China had been following the guideline, but suddenly halted sending them back. Instead, it is reportedly stepping up efforts to arrest North Korean defectors for deportation.
A news report even claimed that 400 female North Korean workers had been dispatched to Helong city, Jilin province, earlier this month. If that is true, it’s a clear violation of UN Resolution 2375, which strictly bans issuance of new work permits to North Korean workers overseas. China underscores its duty to follow the UN guidelines. But it is a country in which leaders’ gestures greatly affect their subordinates. For instance, the smiles of Xi and Kim at their recent summit might have encouraged provincial government officials and merchants to accept North Korean workers.
The Rodong Sinmun, North Korea’s state mouthpiece, declared, “Our leadership led us to grab the most powerful steering wheel” on peninsular issues. North Korea believes the situation is moving as it wishes. But the rogue state returned to the negotiating table because of international pressure and the possibility of military action by the United States. Moreover, China has contributed a lot to the sanctions thanks to its determination to not approve of the North’s possession of nuclear weapons.
China must not go wobbly on the sanctions front. We understand its need to use a North Korea card in fear of being isolated from the negotiation process and in the face of Washington’s mounting trade pressure. But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nvolves not only the peninsula, but also China and other parts of East Asia. If the negotiations fail, it could trigger a nuclear domino effect in Asia, which China will regret most.
JoongAng Ilbo, April 6, Page 30남북 정상회담을 3주여 앞둔 어제 경호와 의전, 보도 사항을 협의하는 실무회담이 열렸다. 전운이 감돌던 북핵 문제가 대화의 틀 속으로 진입한 모양새여서 다행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아직은 비핵화 관련 어떤 합의도 이뤄진 게 없다. 갈 길이 멀다는 걸 뜻한다. 한데 벌써부터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나오게 한 국제사회의 제재 대열이 흔들릴 조짐을 보여 걱정이다. 지난달 말 북·중 정상회담 이후 중국부터 느슨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중앙정부의 공식 발표보다 접경지대 행정기관들의 실제 통제 수준이 훨씬 중요하다. 그런데 랴오닝성 단둥시의 일부 기업이 최근 북한 노동자를 돌려보내는 절차를 멈췄다는 소식이다. 지난해 12월 채택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 2397호는 외국에서 취업 중인 북한 노동자를 24개월 내 송환토록 규정했다. 그동안 이 결의에 따르던 중국이 북·중 정상회담 이후 더 이상 송환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오히려 탈북자를 체포해 강제 북송하는 작업이 이뤄지고 있다고 한다. 이달 초 중국 지린성 허룽시로 400여 명의 북한 여성 노동자가 새로 파견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지난해 9월 발효된 대북제재 결의 2375호는 북한 해외 노동자에 대한 신규 노동허가증 발급을 금지하고 있는데 이 또한 무력화되고 있는 셈이다. 중국 당국은 공식적으론 유엔 결의 준수를 강조한다. 하지만 중국은 눈치로 움직이는 사회다. 북·중 정상이 웃으며 우의를 과시한 모습이 중국 지방정부나 상인들에겐 고무적으로 비쳤을 가능성이 크다. 북한 노동신문은 어제 “우리 주도로 가장 강한 운전대를 틀어쥐었다”고 말했다. 최근 한반도 정세 변화가 북한 뜻대로 진행되고 있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북한이 대화에 나서게 된 건 미국의 대북 선제공격 가능성과 국제사회의 일치된 제재 압박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또 제재가 효과를 낼 수 있었던 건 그동안 ‘빈틈’으로 여겨지던 중국이 힘을 보탰기 때문이다. 비록 북한과 특수관계이긴 하지만 북핵만큼은 절대 인정할 수 없다는 중국의 강한 의지가 배경이 됐다. 이 같은 중국의 초심이 흔들려선 안 될 것이다. 중국은 미국의 대중 무역 압박이 극대화되고 있는 시점에서 ‘북한 카드’를 쓰고 싶은 생각이 굴뚝같을 것이다. 그러나 비핵화 문제는 한반도와 중국 등 동아시아 전체의 운명과 결부된 사안인 데다 이번이 ‘마지막 기회’란 말을 낳을 정도로 고비를 맞고 있는 시점이다. 실패할 경우 동북아에 핵 도미노 현상이 벌어져 중국으로서도 ‘천추의 한’을 남기게 될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나 평화체제 구축 모두 중국의 역할 없이는 어렵다. 우리 정부도 섣부른 남·북·미 3자대화 운운으로 중국을 자극하는 행동을 삼가야 한다. 또한 “남북이 합의한 48개 협력사업 중 약 20개는 유엔 안보리 제재 결의와 무관하게 할 수 있다”며 우리가 먼저 대북제재를 허물 듯한 신호를 보내는 것도 금물이다. 우리가 솔선수범하지 않으면서 누구를 탓할 수 있겠는가. 남북교류에서 행여 대북제재 원칙을 훼손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