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crutinizing modern family roles

Home > National >

print dictionary print

Scrutinizing modern family roles

테스트

Top: Min Ji-young, a wife and a daughter-in-law who appears on the MBC program “Strange World of Myeoneuri,” shares the stress of having a demanding mother-in-law. Above: The documentary film “Myeoneuri: My Son’s Crazy Wife,” released in theaters earlier this year, is about a dispute between a mother and her daughter-in-law.[MBC, SY COMAD, FACEBOOK]

Korea’s daughter-in-laws, or myeoneuri, as they are known locally, have begun to speak honestly about the mistreatment they receive from their mother-in-laws. The MBC television program literally translated as “Strange World of Myeoneuri” aired its first part of a three-episode pilot on April 12, and received a huge response from the public. In the show, cameramen follow the daily lives of three different married couples while the show’s hosts talk about the scenes as they transpire.

Audiences were shocked when actor Min Ji-young had to go to the salon because her mother-in-law insisted she look her best before visiting their house for the first time.

Or when former flight attendant Park Sae-mi, who is currently in her final month of pregnancy, cooked food at her in-law’s house while her husband was away on business. As she worked hard preparing a meal, her mother-in-law prodded, “When are you going to have a third child?”

Kim Dan-bin must face her mother-in-law day and night because they run a restaurant together. All three wives, despite the fact that they are members of the family, are being abused in many ways.

The show took its inspiration from the popular web comic “Myeoneuragi” and the documentary “Myeoneuri: My Son’s Crazy Wife,” which tells the story of a dispute broiling between a wife and her mother-in-law. One of the show’s producers Park Ji-a found herself “surprised when I read the web comic after it was suggested to me by a 26-year-old co-worker of mine.”

The web comic titled “Myeoneuragi” is a word the author created, combining the terms myeoneuri and -gi, which means a certain period. For example, in Korea people use the terms sachunggi to refer to the period of puberty and gaengnyeongi to refer to menopause.

테스트

Famous lines from the web comic “Myeoneuragi” show what many daughter-in-laws in Korea experience. [MBC, SY COMAD, FACEBOOK]

Myeoneuragi is a period that daughter-in-laws go through, where they pursue a loving and supportive relationship with their in-laws. The web comic follows main protagonist Min Sa-rin, who tries hard to be loved by her in-laws, which eventually only backfires and leaves her with stress. For some, this period may last for only one to two years, and for others, it may never end. Many say that the web comic perfectly captures the feelings that daughter-in-laws in Korea experience.

Another of the show’s producers, Lee Yeong-baek, found himself relating to the documentary “Myeoneuri: My Son’s Crazy Wife” when he watched it recently. “[They] may seem like the average family, but if you look from a different angle, there are many problems to consider,” said Lee. “There have been many programs that have showed the conflict between mothers and daughters-in-laws, but none that have had the daughter-in-law as the focus,” he said.

Through “Strange World of Myeoneuri,” Lee wanted to call attention to the issues of hierarchy and gender inequality that arise in families in Korean society.

Since the release of author Cho Nam-joo’s best-seller “Kim Ji Young Born 1982,” a book about the subtle discrimination she faces daily as a Korean woman, there have been many authors who have come out with books describing the difficulties of being a daughter-in-law and a wife.

Author Kim Young-ju, who used to be a stay-at-home mother, wrote a book whose title literally translates to “Daughter-in-law’s Resignation Letter,” which describes the positive life changes she experienced after she threatened to have a divorce. “Although we now have social media, back then, we didn’t have anywhere to share the difficulties we faced as a daughter-in-law,” she said.

“[I know divorce] isn’t the answer [for every woman out there facing similar issues], but I hope that women can at least take away that they can [take a stand for themselves] and live a happy life. If they can be happy, then the family will be happy, and society as a whole.”

Koo Jeong-woo, a sociology professor at Sungkyunkwan University, said, “There is an underlying reason for the spread of the Me Too movement and feminism in popular culture which is the changing roles of women in society. There needs to be an understanding [of this change] and a reorganization of the system.”

BY MIN KYUNG-WON [sung.jieun@joongang.co.kr]



며느리는 오늘도 시댁에 ‘사표’를 내고 싶다

며느리들이 입을 열기 시작했다. 시댁과 갈등 때문에 힘들다고 단순히 토로하는 수준이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모습이 얼마나 비정상적인지 직접 한 번 보라고 권하는 것이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당사자 한쪽의 말을 듣는 것보다 양쪽의 모습을 동시에 지켜보는 것은 매우 효과적이다. 한 발짝 떨어져 바라보면 문제의 실체가 더 잘 보이기도 한다.

12일 첫 방송한 MBC 교양프로 ‘이상한 나라의 며느리’에 대한 뜨거운 반응도 이 때문이다. 3부작 파일럿으로 만들어진 이 프로의 포맷은 단순하다. 부부 세 쌍을 관찰 카메라 형식으로 지켜보고, 패널들은 스튜디오에서 이를 보며 얘기를 나눈다. 시청자들은 경악을 금치 못했다. 첫 시댁 방문에 “예쁘게 하고 오라”는 신신당부에 미용실까지 들렀다가 가는 배우 민지영, 남편이 출장 간 사이 만삭의 몸으로 홀로 시댁에 가서 전을 부치며 “셋째는 언제 낳을 거냐”소리를 듣는 승무원 출신 박세미, 시어머니와 함께 식당을 운영하며 아침저녁으로 얼굴을 맞대야 하는 워킹맘 김단빈 등등. 출연자들은 ‘아들의 부인’이라는 동등한 가족 구성원인데도 일상적이고 동시다발적으로 폭력적인 경험에 시달리는 모습이 드러났다.

이 프로의 제작에는 지난해 페이스북·인스타그램에 연재를 시작해 올초 책으로도 나온 웹툰 ‘며느라기’와 신세대 며느리의 적나라한 고부갈등 극복기를 담아 올초 극장가에 개봉한 다큐멘터리 ‘B급 며느리’(감독 선호빈)가 큰 영향을 미쳤다. 박지아 PD는 “26세 여자 후배가 추천해줘서 웹툰을 봤는데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결혼도 하지 않은 젊은 여성이 맞벌이 직장인인 며느리 심경을 다룬 만화에 공감하는 게 놀라웠단 얘기다.

이는 “‘며느라기’라는 단어가 널리 쓰였으면 좋겠다”는 수신지 작가의 바람대로다. 작가는 ‘며느라기’를 사춘기·갱년기처럼 며느리가 되면 겪게 되는, 시댁에 예쁨 받고 칭찬 받고 싶어하는 시기로 정의한다. 웹툰 주인공 민사린은 시어머니가 시집살이를 독하게 시키지 않아도, 회사일 못지않게 시댁에서도 완벽한 며느리가 되고 싶어 스스로를 다그칠수록 스트레스가 커진다. 누군가는 1~2년이면 지나가지만, 누군가는 평생이 될 수도 있는 이런 기간 동안 겪는 복잡미묘한 기분과 상황이 예리하게 그려진다.

이영백 MBC 콘텐츠협력 2부장은 선호빈 감독과 아내 김진영씨 부부의 실제 경험이 담긴 ‘B급 며느리’에 공감을 표했다. 이 부장은 “평범한 가족처럼 보여도 일상을 조금만 다른 각도에서 보면 함께 생각해볼 문제가 쏟아져 나온다”며 “지난 몇십년간 고부갈등을 다루는 프로그램은 수백편이 있었지만, 며느리가 중심이 된 적은 없었다. 한국 사회의 가족관계에 얽힌 서열과 남녀평등 등 다양한 문제를 보여줌으로써 스스로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생활형 페미니즘은 2016년 11월 출간된 조남주 작가의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70만부 넘게 팔린 베스트셀러가 된 이후 한층 스펙트럼이 넓어졌다. 전업주부였던 김영주씨가 이혼 선언 이후 변화상을 담은 『며느리 사표』, 기자 출신 최윤아씨가 퇴사 후 돈 벌지 않고 살아본 경험을 쓴 『남편은 내가 집에서 논다고 말했다』등 자기고백적 에세이 출간이 이어지며 더욱 다양한 층위의 논의가 전개되고 있다.

『며느리 사표』의 작가 김영주(53)씨는 “지금은 SNS(소셜 네트워크 서비스)가 있지만 우리 때는 며느리로서 고충을 함께 나눌 공간 자체가 없었기 때문에 이런 삶도 있구나 하는 걸 알려주고 싶었다”며 “그것이 답안이 될 순 없지만 거기서 힌트를 얻은 여성이 행복해야 가족이 행복하고, 사회도 행복해질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얼마 전 아들이 “나도 나중에 결혼할 때 ‘며느리 사표’부터 쓰게 할 거야”라고 하는 바람에 반가우면서도 멍했다고 고백했다. 언젠가 자신도 며느리 입장이 아닌 시어머니 입장이 된다는 사실을 자각한 것이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미국에서 시작돼 한국으로 이어진 ‘미투’ 운동이나 대중문화에서 확산되고 있는 페미니즘 열풍의 근본적인 이유는 같다. 변화하고 있는 여성의 역할과 지위에 따라 그에 맞는 이해방식과 체제가 재정립돼야 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민경원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