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od intentions aren’t enough
Published: 11 May. 2018, 17:06
Deputy Prime Minister and Finance Minister Kim Dong-yeon last week said it would take at least six months before the government could discern the effect of the minimum wage hike on the economy. From the beginning of the year, the basic hourly wage was raised 16.4 percent from last year’s level to 7,530 won ($7). In his presidential election campaign, Moon Jae-in vowed to raise the minimum wage to 10,000 won per hour by 2020. To achieve that goal, the wage must be pushed up more than 16 percent annually over the next two years. The scheme is the keystone of Moon’s economic agenda aimed at stimulating growth through increases in wages and incomes.
Kim said it was premature to jump to conclusions on negative effects from the spike in the minimum wage based on data over the first two or three months. His argument is understandable as time is needed to judge policy effects. But numbers do not lie. Data is important as indications of what lies ahead.
Gross domestic product growth in the first quarter was not bad. Korea’s GDP grew 1.1 percent compared to the October-December period. The manufacturing sector expanded 1.9 percent and construction 3.3 percent. But the services sector — a barometer of the solidity of our domestic economy — did not perform that well. Wholesale, retail, restaurants and lodging industries contracted 0.9 percent from the final quarter of last year. That sector includes convenience stores, diners, hotels and hospitality operators that mostly pay workers minimum wage.
Employment data shows the same pattern. In March, the number of jobless reached 1.26 million to record an unemployment rate of 4.5 percent. The number is the highest for the month of March since 2000. The wholesale, retail, restaurants and lodging category shed 116,000 jobs in March compared to a year ago. Temporary hires decreased by 96,000 while daily hires contracted by 16,000.
Unemployment benefit payouts jumped as a result. The state hands out unemployment compensation for 90 to 240 days to those who have been forced out of jobs. In the first quarter, the benefits went to 628,433 people, up 6.9 percent from the same period last year. That number is the highest since quarterly data became available from 2010.
The data cannot be questioned as it is released by reliable sources: the Bank of Korea, Statistics Korea and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Of course, data can be misleading sometimes. The deputy prime minister has a point to argue for more patience to study the exact impact of the raising of the minimum wage. But dilly-dallying in addressing the problems despite a consistency of negative trends can worsen the situation. Does Kim think that employment numbers will suddenly get better in the second quarter? That is wishful thinking.
The government will soon appoint new members of the Minimum Wage Commission to discuss next year’s minimum wage level. The commission is to draw up an outline for next year’s wage floor by June 29 and submit it to the Minister of Employment and Labor. That means that next year’s minimum wage level will be drafted before the six-month period the government claims it needs to understand the real impact of this year’s hike.
Few oppose the need for a higher minimum wage. But many differ on the government’s speed and scope of the hike. It has never explained why the wage base should hit 10,000 won in three years. Can the economy afford to pay an hourly wage of 10,000 won? Will the livelihoods of low-income workers get better at that level of paycheck? What makes 10,000 won the threshold anyway?
Various studies and polls show that 65 percent to 70 percent of workers paid the minimum wage do not fall into the bottom-income bracket. They are mostly dependants of earners of regular salaries and are working to make side money or allowances.
To increase real incomes for low-wage earners, tax incentives such as an earned income tax credit (EITC) to benefit people with low or moderate income would be more effective. They would be inspired to work harder as they get more tax credits and refunds as their income increases.
It is still not late to undo the wrong. The government must seriously contemplate an appropriate level for the minimum wage and the pace of increases. Pushing its agenda without paying heed to complaints and downsides only forces low-income workers to lose their jobs. Policies based on good intentions do not always turn out to be right. In the real world, they sometimes can do more harm than good.
김종윤 경제부장
“적어도 6개월이 지나야 최저임금 인상 영향에 대한 분석이 가능하다.”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지난 2일 이렇게 말했다. 올해 최저임금은 시간당 7530원. 지난해보다 16.4% 올랐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은 3년 내(2020년까지) 최저임금(이하 시간당) 1만원 달성이다. 올해와 내년에도 16% 이상 올려야 가능하다. 소득을 늘려 성장을 이끈다는 소득주도 성장의 핵심 정책이다.
김 부총리는 “두세 달 숫자만 갖고 (급격한 최저임금 인상 부작용을) 예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정책 효과나 부작용을 따져보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말이다. 성급하게 단정하지 말자는 취지는 이해한다. 하지만 통계 수치를 보면 흐름을 알 수 있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앞날을 내다보는 근거도 숫자에 담겨 있다.
먼저 1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다. 지난해 4분기 대비 1.1% 성장했다. 나쁘지 않은 수치다. 업종별로는 제조업(1.9%)과 건설업(3.3%)이 선방했다. 문제는 서비스업, 그중에서도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이다. 전 분기 대비 0.9% 쪼그라들었다. 편의점, 식당, 숙박시설 등이 주로 여기에 해당한다. 저임금 인력이 많은 업종이다.
이번에는 고용 통계다. 3월 전체 실업자 수는 125만7000명, 실업률은 4.5%까지 치솟았다. 3월 기준으로 놓고만 볼 때 전체 실업자 수는 2000년 이후 가장 나쁜 수치다. 도소매업ㆍ숙박음식점업 취업자 수를 챙겨 봤다. 올 3월에는 지난해 3월보다 11만5000명 줄었다. 임시근로자는 9만6000명, 일용근로자는 1만6000명 줄었다.
실업급여 현황도 눈에 띈다. 폐업·해고 등으로 일자리를 잃은 비자발적 퇴직자가 90일~240일분의 실업급여를 받는다. 올해 1분기 실업급여 수급자는 62만8433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만557명(6.9%) 증가했다. 분기별 수급자를 집계하기 시작한 2010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언급한 세 가지 통계의 신뢰도를 문제 삼을 수는 없다. 통계를 낸 곳이 한국은행ㆍ통계청ㆍ고용노동부이기 때문이다.
물론 통계에는 착시가 있을 수 있다. 김 부총리가 시간을 두고 숫자를 꼼꼼하게 분석하자는 건 타당한 판단이다. 하지만 이미 흐름이 일관성을 보이는데 개선을 고민하지 않고 미적대면 정책은 구렁텅이에 빠진다. 김 부총리는 나빠진 고용 수치가 2분기에는 개선될 것으로 보는 걸까. 그렇다면 헛다리 짚을 공산이 크다.
이미 내년도 최저임금 논의가 시작됐다. 최저임금위원회가 곧 구성된다. 위원회는 6월 29일까지 내년도 최저임금 안을 정해 고용노동부 장관에게 제출해야 한다. 6개월간 최저임금 인상의 효과와 부작용을 검토하기도 전에 내년도 기본 안이 정해진다는 의미다.
최저임금 인상 필요성에 대해 반대하는 게 아니다. 문제는 속도와 폭이다. 왜 3년 안에 1만원이 돼야 하는지 설명이 없다. 한국의 경제 규모를 봤을 때 그 수준이 타당하다는 말인가. 1만원이 되면 노동자는 빈곤에서 벗어나나. 어떤 근거로 1만원이 나왔는지 알 도리가 없다.
한국노동패널 조사나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 등에 따르면 최저임금을 적용받는 노동자의 65~70%가 빈곤 가구 출신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비에 보태거나 용돈을 벌 요량으로 노동 시장에 나온 부(副)소득자나 아르바이트생이 주로 최저임금 대상자라는 의미다.
저소득 노동자에게는 근로소득 금액에 따라 근로장려금을 지급하는 근로장려세제(EITC) 같은 제도를 확대하는 게 더 효과적이다. 일을 열심히 해 소득이 늘수록 장려금을 더 받기 때문에 근로의욕을 높이는 효과도 있다.
늦지 않았다. 지금은 최저임금을 언제까지, 얼마로 조정하는 게 적합한지 따져봐야 할 때다. 사회적 공감대 없는 과다한 최저임금 인상은 오히려 한계선상 노동자의 일자리를 빼앗아 극한으로 내몰게 된다. 착한 정책이 다 좋은 건 아니다. 잘못 운영하면 독이 된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