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neyland with the death penalty’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Disneyland with the death penalty’ (KOR)

LEE HYUN-SA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Last summer, the war of brothers broke out in Singapore over an old residence of the late Lee Kuan Yew, the first prime minister and founding father of Singapore. Lee died in 2015, and his will stated that the house should not become a memorial and should be demolished. But his eldest son and incumbent Prime Minister Lee Hsien Loong reportedly wanted to build a memorial, and his younger brother and sister protested.

Behind the dispute is the sensitive issue of third-generation power succession. The younger siblings suspect that Lee Hsien Loong is idolizing his father in an attempt to secure the transfer of power to his 31-year-old son Li Hongyi.

Skyscraper-lined Singapore may look different to North Korea, but their politics have something in common. They are both ruled by families. Lee’s wife Ho Ching is the CEO of Temasek Holdings, Singapore’s national wealth fund, and Hongyi, the son in question, oversees the Government Technology Agency under the Prime Minister’s Office. The siblings opposing the monument plan are also the head of the Civil Aviation Authority of Singapore and the director of the National Neuroscience Institute. That’s why foreign media call them the “First Family.”

While Lee Kuan Yew and Lee Hsien Loong’s power transfer is compared to Park Chung Hee and Park Geun-hye, they actually resemble Kim Il Sung and Kim Jong-il more. Park Geun-hye was out of the public eye for a while after Park Chung Hee was killed, but Kim Jong-il and Lee Hsien Loong were trained as heirs under their fathers. The third-generation succession and consequent discord among siblings is also reminiscent of North Korea. Singapore also has an oppressive system of tightly controlling people with capital punishment, lashings, severe fines and a virtual one-party system. A Western journalist called Singapore “Disneyland with the death penalty.”

As Singapore has been named as the site of the U.S.-North Korea summit, its relationship with North Korea is under the spotlight. The two countries are very close, and North Korea installed a trade office in Singapore three years before South Korea. Kim Jong-un’s aunt Kim Kyung-hee stayed in Singapore for rehabilitation from alcoholism.

Lee Kuan Yew may have praised Park Chung Hee, putting him on the same level as Deng Xiaoping and Shigeru Yoshida, but when Lee died, it was Pyongyang that sent a message of condolence, calling him “a close friend of the North Korean people.”

What North Korea is most concerned of is the survival of the ruling family and its political control. It is the reason why North Korea pursued nuclear development and changed the direction to talks. But the system cannot last if the people’s lives are ruined. I hope Kim Jong-un realizes that politics can be similar but economic paths can differ while visiting Singapore.

JoongAng Ilbo, May 14, Page 31

싱가포르와 북한
이현상 논설위원

지난해 여름 싱가포르에서 '형제의 난'이 벌어졌다. 국부(國父)로 추앙받는 리콴유(李光耀) 전 총리가 남긴 낡은 저택의 처리 때문이었다. 2015년 타계한 리 전 총리는 이 집을 성역으로 만들지 말고 허물라는 유언을 남겼다. 그러나 장남인 리셴룽(李顯龍) 현 총리가 유언을 어기고 이 자리에 기념관을 지으려 한다는 보도가 나오자 남동생과 여동생이 들고일어났다. 이들의 갈등 뒤에는 '3세 세습'이라는 민감한 문제가 자리 잡고 있다. 리 총리가 아들 리훙이(李鴻毅·31)에게 권좌를 넘겨주려는 계획에 따라 부친의 우상화에 나서고 있다는 것이 동생들의 의심이다.
화려하고 높은 마천루는 다르지만, 싱가포르의 정치는 북한과 닮은 구석이 있다. 바로 '패밀리 통치'다. 리 총리의 부인 호칭(何晶)은 국부펀드 테마섹의 최고경영자고, 문제의 아들 리훙이는 공공기술부 산하 기관의 책임자다. 리 총리에게 반기를 든 동생들마저 각각 싱가포르민간항공국(CAAS) 회장, 국립 뇌신경의학원 원장 등의 요직을 맡고 있다. 외신에서 이들 가족을 '퍼스트 패밀리'라 부르는 이유다.
흔히 리콴유-리셴룽으로 이어진 권력 승계는 박정희-박근혜와 비교되지만 사실 김일성-김정일과 더 닮았다. 부친의 피살 이후 한때 어둠의 시간을 보냈던 박근혜 전 대통령과 달리 김정일과 리셴룽은 부친의 그늘에서 차근차근 후계자 수업을 받았다. 3세 세습 논란과 이 과정에서 벌어진 형제간 갈등도 북한을 떠올리게 한다. 사형과 태형, 무지막지한 벌금, 실질적인 1당 체제로 국민을 꽁꽁 묶어 놓는 억압적 체제도 북한과 비슷하다. 한 서구 언론인은 싱가포르를 '사형제도로 유지되는 디즈니랜드'라고 비꼬기도 했다.
북·미 정상회담 장소가 싱가포르로 결정되자 북한과 싱가포르의 인연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북한이 한국보다 3년 가까이나 먼저 싱가포르 통상대표부를 설치할 정도로 두 나라 관계는 좋다. 김정은의 고모 김경희가 알코올 중독 치료를 위해 머문 적도 있다. 박정희를 덩샤오핑(鄧小平), 요시다 시게루(吉田茂)의 동렬로 극찬한 리콴유였지만, 북한은 그가 사망하자 '우리 인민의 친근한 벗'이라는 표현을 담은 조전을 보냈다.
북한 정권이 가장 신경 쓰는 것은 체제 보장이다. 무리하게 핵 개발에 나선 것도, 갑자기 방향을 바꿔 대화에 나선 것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인민의 삶이 무너져서는 그 체제가 오래갈 수는 없다. 정치는 비슷하더라도 경제의 길은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싱가포르 방문길에서 느끼고 갔으면 한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