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layground that kids can call their own : Pyeon Hae-mun adds a bit of adventure to each of his designs

Home > Culture > Features

print dictionary print

A playground that kids can call their own : Pyeon Hae-mun adds a bit of adventure to each of his designs

테스트

1. The first playground made by designer Pyeon Hae-mun is the Miracle Playground in Suncheon, South Jeolla. 2. There is no playground equipment at Miracle Playground, but rather hills and tunnels for children to enjoy. 3. Children in Suncheon helped design Miracle Playground and offered suggestions of what they would like to see. 4. Pyeon’s second playground has a jungle gym made of rope that resembles the Eiffel Tower, an idea suggested by local children. [PYEON HAE-MUN]

The Hoban 3 Park in Suncheon, South Jeolla, is home to what is known to neighbors as the Miracle Playground.

Built two years ago, the play area barely has any of the standard apparatus like slides, swings and seesaws. Instead, there is a grassy hill on top of a wide sandy field, an old hackberry tree, tunnels, an old-fashioned pump where kids can draw water and a shallow water stream.

Suncheon has opened two more similar playgrounds, and is planning to build 10 more around the city by the end of 2020. The mastermind behind the project is playground designer Pyeon Hae-mun.

“When I was young, I had fun running around in the mountain village in Sadang-dong, southern Seoul, where there wasn’t a single decent playground, and I realized how my memory of the freedom I felt back then gave me strength throughout my life. Then I began to wonder what kind of memories children these days hold onto,” said Pyeon in an interview with the JoongAng Sunday, an affiliate of the Korea JoongAng Daily.

The following are edited excerpts from the interview.



Q. What got you so interested in playgrounds?

A. In the past, children would sing when they played. It’s like the game kids used to play; building a “toad house” and singing the song that goes along with it. But children have begun to stop playing such games and the songs have also disappeared. I felt I needed to bring play back [for the children].



Can you explain what you meant when you said ‘It’s safer when it’s dangerous’ in one of your books?

First and foremost, I need to make something clear. I’m not saying we need to let kids put themselves in danger. There are two types of danger - hazard and risk. There are hazards at the playground that kids cannot predict such as a broken piece of glass or a rusty banister, which must be taken care of before kids get hurt. However, I think it is necessary for adults to be open to risks that kids can fully acknowledge and control on their own. Children need to experience getting scratches here and there when they play so that they can avoid bigger accidents. It’s kind of like a vaccination. Children have the right to get bruised. That’s how they learn to avoid getting hurt on their own. It is actually more dangerous for a child to grow up without knowing danger.



테스트

Playground designer Pyeon Hae-mun wants to build 10 more playgrounds that fit the needs of children by the end of 2020. [SHIN IN-SEOB]

But we should not just let kids get hurt, right?

There are about 70,000 playgrounds in the country, and wherever you go, you will see a standardized, boring playground with the following play equipment - an outdoor playset, a swing, a seesaw and a ground mat. People have been too focused on creating a safe playground that the challenging and adventurous aspects of a playground have disappeared. These boring and unexciting playgrounds bring about an even bigger danger. If you have been to a playground even once, you must have seen the words “Please do not ride backwards.” Next to the sign, you will see kids sliding down backwards. Safe playgrounds are actually more exposed to danger. After a long period of research, Germany came up with the conclusion that a safe playground is the most dangerous one. This is because it minimizes curiosity and curtails children from getting hurt by trying something different.



What do you think is the biggest problem with modern playgrounds?

I think we need to redress the proposition that the master of the playground is the equipment and not the children. The playgrounds we see today have been designed and made by adults. They make the assumption that kids will like the equipment without having asked for their opinion. However, a built-in playground cannot help but be ignored by children. I once visited a playground in Seoul that was worth hundreds of millions of won, and saw that no kids were playing with the equipment, but rather there was a group of kids huddled together at the corner of the playground. When I asked them why they weren’t playing with the playground equipment, they said, “[The equipment] isn’t fun. It’s more fun playing here.” I realized that children go to the playground for two big reasons - they go for the open space and to play with the other kids. Adults have forgotten that children do not go to the playground for the equipment. An even bigger issue is that children no longer visit the playground because they’re not fun. We have expensive playgrounds with CCTVs to monitor what’s going on, but all you see are cats running around rather than children.



What inspired you to name your playground the Miracle Playground?

There had not been a children’s library where you could read your books laying down or walking around. However, the Library of Miracles (a child-friendly library that opened in Suncheon in 2003) broke this system, and soon after, libraries all around the nation followed suit. Our Miracle Playground took a step further than the library. We had local preschoolers and elementary students design their own playground. And we used almost all of their ideas. After we invited parents and neighbors to take part in making playground designs, we created a finished project that everyone appreciated. It was the same for our second and third playgrounds as well.



How did the kids react?

When we asked what they liked, they answered, “My friends are here, and I can do anything I want here unlike the other places that are filled with warnings that tell us not to do things.” Here, children can move and break whatever they want. It’s to the point that three to four of the playground’s pump handles break every month. The parents seem to love the playground even more. They say that the kids are less frustrated at home than before. They can’t help but be happy after having a great time at the playground. Also, they said that at first, most of the kids had a hard time climbing up the hill, but now they climb up with ease. Everyone is happy that the children are growing stronger and healthier. On top of this, mothers have begun to look after the other children as well, allowing their parents to take a break, and the neighborhood community has become stronger.



I heard the local government has been supportive as well.

The executive in charge of the city, the county and the town have all come and told me that the local parents pressed them to come and check out the place. As the word spread, it was inevitable for parents to show great interest. With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 decided to oversee projects in changing school playgrounds. I’m currently in the process of making a demonstration at two elementary schools. This also requires the help of the students. A playground is an important space where children can learn democracy. It’s hard to become a democratic citizen from just learning in school. At a playground, kids can each become their own master, experience conflicts with other children with different values and learn how to make peace with others.



But aren’t parents nowadays more interested in sending their kids to academic institutes than playgrounds?

I think it’s necessary for parents to embrace the fact that children need freedom and playtime. Why do children need education? It’s so that they can grow up balanced. How long will parents let their children just play games in their rooms? To kids, play is food.



Is there anything you’d like to say to parents?

I would like to tell them to leave the children be and stop trying to control them. Parents will be able to communicate with kids once they stop trying to teach them and start seeing things from their perspective. Playing is like air to children. It is the parent’s role and responsibility to make sure children are getting what they need. Playing is also important for a child’s health. There are so many kids who suffer from obesity, juvenile diabetes and depression.



Any future plans?

When we ask kids the definition of playground, they say that it is a place where they can go when their parents allow them to go. If we want to change the playground, we must first change the minds of parents. This is why I’m preparing a campaign called “Play Start.” Our aim is to provide information to parents on how they should allow their children to play periodically, from their infant years to when they get older. We face a low birth rate because it’s getting harder to raise children.

BY PARK SHIN-HONG [sung.jieun@joongang.co.kr]



순천 ‘기적의 놀이터’엔 아이들이 다쳐 멍들 권리가 있다


전남 순천에 가면 ‘기적의 놀이터’라는 어린이 놀이터가 있다. 2년 전 조성된 ‘엉뚱발뚱’이란 이름의 놀이터에는 그 흔한 미끄럼틀도, 그네도, 시소도 없다. 넓은 모래밭과 팽나무 고목, 상하수도관 위로 잔디가 덮인 언덕, 마중물을 넣을 수 있는 옛날식 펌프와 얕은 개울이 있을 뿐이다. 하지만 평일엔 200여 명, 주말엔 600여 명의 어린이가 찾는 인기 만점의 놀이터가 됐다.

순천시는 이후 ‘작전을 시작하~지’와 ‘시가모노(시간 가는 줄 모르고 노는 놀이터)’ 등 2·3호를 연 데 이어 2020년까지 시내 곳곳에 기적의 놀이터 10곳을 조성할 계획이다. 아이디어를 내고 기획을 총괄한 주인공은 놀이터 디자이너 편해문(49)씨였다. 어린이날을 맞아 그가 20년 넘게 놀이터에서 아이들과 함께 웃고 떠들며 터득한 ‘아이들만의 비밀’이 뭔지 들어봤다. 겉보기에 평범하기 그지없는 순천의 한 놀이터가 ‘기적’으로 불리게 된 사연도 궁금했다.


어릴 적 신나게 놀던 기억이 삶의 힘 돼

어린이 놀이터에 관심을 갖게 된 계기는.
“어릴 적 서울 사당동 산동네에서 변변한 놀이기구 하나 없이도 신나게 뛰어놀았는데 그때의 자유로웠던 기억이 이후 내 삶의 힘이 된다는 걸 깨달았다. 그러면서 요즘 아이들은 커서 어떤 추억을 갖고 살아가게 될까 싶었다.”

처음엔 어린이 전래동요에 관심이 많았다. 국내 유일의 민속학과가 있던 안동대에 들어갔다. 그가 전국 구석구석을 누비며 할머니 할아버지에게 물어 찾아낸 옛날 아이들 노래만 250곡이 넘는다. 창작과비평사의 좋은 어린이책 공모에서 대상을 받은 뒤 아동문학가로도 활동했다. 그러던 중 자연스레 아이들 놀이에 시선이 쏠리기 시작했다. “예전엔 아이들이 놀면서 노래를 불렀다. 두꺼비집 짓는 놀이와 노래가 함께였듯이 말이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놀이가 사라지면서 노래도 자취를 감추게 됐더라. 놀이를 복원시켜야겠다 싶었다.”

그는 이후 『아이들은 놀이가 밥이다』와 『놀이터, 위험해야 안전하다』를 잇따라 펴냈다. 그러곤 아이들 눈높이에 맞는 새로운 개념의 놀이터를 짓기 시작했다. 기적의 놀이터 성공을 바탕으로 최근엔 서울시와 세종시, 경기도 시흥시에서도 어린이 놀이터 재구성 기획을 맡았다.

위험해야 안전하다는 말이 도발적이다.
“먼저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게 있다. 아이들을 위험천만하게 놔둬야 한다는 뜻이 결코 아니다. 위험에는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해저드(hazard)고 또 하나는 리스크(risk)다. 놀이터에 깨진 병조각이 있거나 난간이 녹슬어서 아이들이 도저히 예상할 수 없는 해저드는 당연히 미리 해소돼 있어야 한다. 하지만 아이들이 충분히 인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리스크에는 열린 마음을 가질 필요가 있다. 놀다가 긁히고 까이면서 조금씩 자주 다쳐야 크게 다치지 않는다. 예방주사와 같은 이치다. 아이들에겐 멍들 권리가 있다. 그러면서 다치지 않는 법을 스스로 터득하게 된다. 오히려 온실 속 화초처럼 안전하게만 자란 아이가 위험이 뭔지 배우지 못해 더 위험하다.”

그래도 다치게 놔둘 수만은 없지 않나.
“국내에 7만여 개의 놀이터가 있지만 어딜 가나 ‘조합놀이대 1대, 그네·시소 2대, 탄성 고무매트 바닥’ 3종 세트의 ‘재미없고 지루한 놀이터’로 획일화되고 있다. 놀이터의 두 가지 덕목 중 ‘안전’만 강조하다 보니 ‘도전과 모험’은 사라져 버렸다. 하지만 이런 지루함과 싫증이 더 큰 사고를 부른다. 놀이터에 한 번만이라도 가보라. ‘절대 거꾸로 타지 마시오’라는 팻말 옆에서 아이들이 미끄럼틀을 거꾸로 타고 있다. 안전하다는 놀이터가 실제로는 훨씬 더 위험에 노출돼 있는 셈이다. 독일도 오랜 기간의 조사 끝에 ‘안전한 놀이터가 가장 위험한 놀이터’라는 결론을 내렸다. 호기심 유발이 안 되니 딴짓을 하다가 다치는 경우가 늘더라는 거였다.”

무엇이 가장 문제인가.
“놀이터의 주인은 놀이기구가 아니라 아이들이란 명제부터 바로 세워야 한다. 지금의 놀이터는 어른들이 기획하고 만들었다. 실제 놀이터를 이용하는 아이들 의견은 전혀 묻지 않은 채 이런 놀이기구를 좋아할 거라고 지레짐작하며. 하지만 붙박이식 놀이기구 위주의 놀이터는 아이들의 외면만 받을 뿐이다. 서울의 한 놀이터에 가봤더니 수억원짜리 놀이기구엔 아무도 없고 한 무리의 아이들이 놀이터 구석에 모여 놀고 있었다. 물어보니 ‘저거 재미없어요. 여기서 노는 게 더 재미있어요’라고 하더라. 아차 싶었다. 아이들을 놀이터에 오게 하는 건 빈 공간과 다른 아이들이지 놀이기구가 아님을 어른들은 잊고 있었던 거다.”

그는 “더 심각한 문제는 놀이터가 재미없다 보니 아이들이 찾지 않는다는 점”이라며 “비싼 놀이기구를 들여 놓고 아파트 안에서도 폐쇄회로TV(CCTV)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볼 수 있게 됐지만 정작 아이들은 없고 고양이만 오가는 게 지금의 놀이터”라고 우려했다.


비싼 놀이기구에 아이들은 없고 고양이만

그는 이 같은 생각을 기적의 놀이터에 적용하기 시작했다. 핵심은 아이들이 직접 만드는 놀이터였다. ‘기적’이란 단어는 기적의 도서관에서 따왔다. “기존에는 책을 엎드려서 보거나 들고 다니면서 볼 수 있는 어린이 도서관이 전무했다. 정작 어린이가 가장 이용하기 어려운 도서관이었던 셈이다. 그런데 기적의 도서관이 편견을 깨니까 전국의 도서관이 따라왔다. 기적의 놀이터는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갔다. 동네 유치원생과 초등학생들이 직접 놀이터를 설계하도록 했다. 디자이너 스쿨에 모인 아이들이 1년 넘게 내놓은 아이디어를 거의 대부분 반영했다. 부모들과 이웃 주민들도 참여하도록 했더니 모두가 만족스러운 놀이터가 완성됐다. 2·3호도 마찬가지다.”

실제 아이들 반응이 어떻던가.
“뭐가 좋냐고 하니까 ‘여기 오면 친구가 있어서, 다른 곳에서는 다 하지 말라는 말뿐인데 여기서는 뭐든 할 수 있어서’라는 답이 많았다. 이곳에서 아이들은 뭐든 옮길 수 있고 망가뜨릴 수도 있다. 주물로 만든 펌프 손잡이가 한 달에 3~4개씩 부러질 정도다. 그런데 부모들이 더 좋아하더라. 아이들이 집에서 짜증을 훨씬 덜 낸다면서다. 실컷 놀고 들어가니 기분이 좋을 수밖에 없다. 또 처음엔 대부분의 아이가 언덕을 못 올라갔는데 이젠 다들 거뜬히 올라간다. 체력이 좋아지니 부모들도 흡족해 한다. 게다가 서로의 아이를 봐주면서 엄마들도 훨씬 여유로워졌고 이웃 간의 커뮤니티도 복원됐다.”

지자체 호응도 크다던데.
“시·군·구 담당간부들이 직접 찾아오길래 어떻게 왔느냐고 물어보니 그 지역 부모들이 빨리 가서 좀 보고 오라며 재촉했다고 하더라. 입소문이 퍼지자 아이를 둔 부모 입장에선 관심이 높을 수밖에 없었던 거다. 서울시교육청과는 학교 놀이터를 바꿔나가기로 했다. 현재 초등학교 두 곳에서 시범 조성 중이다. 중요한 건 학교마다 환경이 다르다는 점을 감안해 현장 상황에 맞는 각각의 놀이터를 꾸며야 한다는 점이다. 이 또한 학생들의 참여가 필수다.”

그러면서 그는 “놀이터의 또 다른 장점은 아이들이 민주주의를 몸소 배울 수 있는 공간이란 점”이라고 강조했다. “학교 학습만으론 민주시민이 되기 어렵다. 놀이터는 이를 훌륭히 보완해줄 수 있다. 각자 주인이 돼서 생각이 다른 아이들과 만나 부딪히고 갈등을 빚으며 자연스레 관계를 익히고 조율하는 법을 깨닫게 된다.

다른 아이들은 다 학원에 가는데 우리 아이만 놀이터에 보낼 순 없는 게 현실 아닌가.
“새도 두 날개로 날듯이 아이들도 공부 말고 자유와 놀이가 필요하다는 걸 받아들일 필요가 있다. 교육을 왜 하느냐. 균형 잡힌 아이로 키우려는 것 아니냐. 언제까지 방에서 게임만 하게 놔둘 건가. 아이들에겐 놀이가 밥이다.”


어른 시각으로 만들면 ‘놀이터 토건’에 그쳐

그의 또 다른 걱정은 역설적으로 최근 놀이터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었다. “지자체는 물론 정부 부처와 대기업들까지 놀이터 만들기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태세다. 그런데 이 거품이 3년 갈까 싶다. 아이를 둘러싼 사회 구성원, 즉 부모와 교사는 물론 공무원과 기업가의 사고가 변하지 않는 한 놀이터만 바꾼다고 아이들 삶이 나아질 것이란 생각은 순진하다. 지금처럼 어른들 시각으로만 밀어붙이면 놀이터 토건, 놀이터 난개발, 놀이터 엔터테인먼트로 흐르기 십상이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아이들과 함께 머리를 맞대고 ‘놀이터 가꾸기’에 힘써야 할 때다.”

어린이날을 맞아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아이들을 제발 좀 놔둬라, 그만 좀 손대라, 부모들에게 이 말을 꼭 전하고 싶다. 아이들을 가르치려고만 하지 말고 눈높이를 맞춰야 비로소 소통할 수 있다. 놀이는 아이들에게 공기와도 같은 거다. 그렇다면 잘 채워지도록 돕는 게 부모의 역할이자 책임이다. 또 놀이는 건강이다. 비만, 소아당뇨,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아이들이 얼마나 많은가.”

앞으로의 계획은.
“아이들에게 놀이터를 정의해 보라면 엄마에게 허락받아야 갈 수 있는 곳이라고 한다. 놀이터가 바뀌려면 부모의 생각이 먼저 달라져야 한다. 이를 위해 ‘플레이 스타트’ 캠페인을 준비 중이다. 영유아 때부터 생애 주기별로 아이들을 어떻게 놀게 해줘야 좋은지 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해 주려는 취지다. 아이를 키우기가 점점 어려워지니 초저출산 문제까지 제기되는 것 아니겠나.

박신홍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