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 education fails students (KOR)

Home > Think English > Bilingual News

print dictionary print

Math education fails students (KOR)

KIM NAM-JUNG
*The author is an editorial writer of the JoongAng Ilbo.

An article in the July 2007 issue of Science, a leading American science journal, noted that science education in Korea puts an emphasis on remedial classes and separate tracks.

An engineering student at a prestigious university asked a professor, “What is that curly symbol?” He was talking about the integral symbol. This is the unbelievable but true scene unfolding in Korean university classrooms. The story focused on the declining fundamental academic understanding of freshmen in engineering and science departments. Universities have to offer remedial classes and separate tracks in mathematics and science for students who struggle to keep up.

This is the result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which allows students to choose from different tests for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CSAT). The first generation of the new curriculum — the class of 2005 — could choose from two math tracks, and only those who chose Type 1 learned calculus, probability and statistics and discrete math.

To make matters worse, those who took Type 2 math were allowed to apply for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s even if they were liberal arts students. In Korea, high school education offers two different curriculum tracks —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hat was a move to encourage students to apply to engineering and science majors.

But problems cropped up when those who took Type 2 math got into engineering and science departments. They ended up asking, “What is calculus?”

For those who cannot keep up with lectures, universities offer remedial classes, including different tracks, individualized online lectures and study groups. Seoul National University is not much different. It offers a pre-enrollment program or tutoring from students in higher grades. The university requires all freshmen take the two-credit class “Intro to Calculus.” The university assigns the class to “the most patient professors,” as students have to learn what they missed in high school.

SNU had a curriculum meeting recently and decided to have engineering freshmen take “Intro to Physics” as a requirement instead of Physics, starting with the next school year. Nearly half of the students did not take Physics II in high school, and they will need to catch up on their high school-level physics. This was a prescription to prevent students from giving up on engineering majors.

The declining academic ability in math and science is largely due to the curriculum and college entrance system. But the educational authorities are going backward. The college entrance system needs to be reformed. It is frustrating that the education system claims to nurture talent that will lea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JoongAng Ilbo, June 8, Page 31

‘보충수업’과 ‘우열반’. 김남중 논설위원

미국 유명 과학저널 『사이언스』가 2007년 7월 특집에서 묘사한 한국 과학교육의 한 단면이다. 문제는 이게 고교 얘기가 아니란 거다. "명문대 공대 학생이 적분 기호를 몰라 저 표시가 뭐냐고 교수에게 묻는다." 사이언스가 ‘거짓말 같은 사실’이라며 전한 한국 대학 강의실 풍경이다. 이공계 신입생의 기초학력 저하 실태가 집중 조명됐다. 대학인데도 수학·과학 부진 학생을 위한 보충수업과 우열반이 운영되는 기막힌 현실이 드러났다.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선택형 수능’과 ‘교차지원 허용’이 부추긴 결과였다. 새 교육과정 첫 세대인 05학번부터 수학을 ‘가’형과 ‘나’형 중 고르고 ‘가’형을 선택한 학생만 미분적분·확률통계·이산수학 중 하나를 배웠다. 설상가상으로 '나'형을 배운 문과생에게 이공계 교차지원이 허용됐다. 이공계 기피를 줄이려는 ‘울며 겨자 먹기’식 처방이었다. 이공계 학생인데도 “미분적분이 뭐예요”하는 기현상이 벌어진 까닭이다.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는 이공계 학생 탓에 등장한 고육지책이 보충수업이다. 우열반 수준별 수업에 맞춤형 온라인 강의, 교수 그룹과외 등 각양각색이었다. 서울대라고 나을 게 없었다. 부진한 학생들에게 입학 전 프로그램이나 선배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2012학년도부턴 ‘미적분학의 첫걸음’이란 2학점짜리 별도 과목을 의무적으로 수강하게 했다. 당시 서울대 측 설명은 시쳇말로 웃프다. “가급적 인내심이 뛰어난 교수들을 활용해 고교 시절 미처 배우지 못한 부분을 단기간에 학습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거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제껏 별반 달라진 게 없다는 점이다. 서울대는 엊그제 교과과정위원회를 열고 내년부터 이른바 ‘물알못(물리를 알지 못하는)’ 공대 신입생들이 ‘물리학’ 대신 ‘물리의 기본’을 의무적으로 이수하도록 했다. 고교에서 물리Ⅱ를 배우지 않아 힘들어하는 절반 가까운 학생들에게 고교 수준으로 쉽게 가르치는 수업이다. 어려운 물리학에 좌절해 공학도의 꿈을 접는 사례가 느는 데 따른 처방이란다.
원인 속에 해법이 있게 마련이다. 이공계 학력 저하는 교육과정과 대입제도 탓이 크다. 그런데 교육 당국은 거꾸로 가는 형국이다. ‘기하’를 없애는가 하면 수능에서 ‘과학Ⅱ’를 제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대입을 손질하겠다고 나섰지만 수시·정시모집 비율이나 수능 절대평가에 매달려 변죽만 울린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인재 양성 운운하기가 민망할 지경이니 답답한 노릇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s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